$\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 남녀의 채소, 과일 섭취와 천식 유병률의 관련성: 2013-2017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Association of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with asthma: based on 2013-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3 no.4, 2020년, pp.406 - 415  

김은경 (건국대학교 의료생명대학 식품학전공) ,  주세영 (건국대학교 의료생명대학 식품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3-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만 19-64세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채소·과일 섭취에 따른 일반적 사항과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상태를 파악하고 채소·과일의 섭취와 천식 유병률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전체 대상자의 천식 유병률은 2.6% 이었고, 채소·과일의 섭취량에 따라 1.8%-3.1%로 나타났다. 채소·과일 섭취량이 많을수록 평균 연령과 가구소득은 높았고 교육수준은 낮았으며, 흡연자의 비율과 알코올 섭취 빈도도 낮았다. 채소·과일의 섭취량이 많은 군이 우유 및 유제품을 제외한 모든 식품군의 섭취량이 많았고, 에너지를 포함한 영양소의 섭취량도 많았다. 열량영양소의 섭취비율의 경우, 채소·과일의 섭취량이 많은 군이 적은 군에 비해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섭취비율은 높고, 지방의 섭취비율은 낮았다. 채소와 과일 섭취량에 따른 3사분위군의 천식에 대한 위험도는 최하위 사분위군 대비 각각 35%, 40%까지 감소하였다. 그러나 최상위 사분위군의 경우, 최하위 사분위군과 비교하여 천식에 대한 위험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권장량 수준의 적절한 채소·과일의 섭취가 천식을 예방 및 관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채소·과일의 섭취가 천식의 발생과 치료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장기간의 코호트 연구와 임상시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of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with asthma in Korean adults. Methods: Data on 16,528 adults aged 19-64 were collected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daily food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Patel 등 [22]의 연구에 의하면 과일과 비타민 C의 섭취가 천식의 유병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과일과 채소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제가 호흡기 질환을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조사되었다 [8]. 이에 본 연구는 2013–2017년도 국민 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만 19–64세 성인 16,528명을 대상으로 하루 채소·과일섭취량에 따른 일반적 사항과 식품,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하였고, 천식 유병의 위험도를 조사하여 채소 및 과일의 섭취와 천식의 유병률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식은 무슨 질환인가? 천식은 아토피피부염, 알레르기 비염 등과 함께 대표적인 알레르기 질환 중의 하나이며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천식의 유병률은 보통 성인보다는 어린이에게 높게 나타나지만, 2016년 질병관리본부의 통계자료에 의하면 천식의 유병률이 18세 미만에서와 18세 이상의 성인에서 8.
천식의 유병률은 일반적으로 누구에게 높게 나타나는가? 천식은 아토피피부염, 알레르기 비염 등과 함께 대표적인 알레르기 질환 중의 하나이며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천식의 유병률은 보통 성인보다는 어린이에게 높게 나타나지만, 2016년 질병관리본부의 통계자료에 의하면 천식의 유병률이 18세 미만에서와 18세 이상의 성인에서 8.3%로 같은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1].
식생활을 포함한 라이프 스타일은 천식을 비롯한 알레르기 질환에 어떤 영향이 있는가? 천식을 비롯한 알레르기 질환은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 및 식생활을 포함한 라이프 스타일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5,6]. 특히 최근의 사회적 변화에 따른 과일과 채소 섭취의 감소, 식이섬유와 포화지방산이 많은 가공 및 편의 식품 섭취의 증가 등에 따른 식생활의 변화가 천식을 포함한 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을 높이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7-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Data, statistics, and surveillance: asthma surveillance data [Internet]. Atlanta (G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0 [cited 2020 Jan 23]. Available from: https://www.cdc.gov/asthma/asthmadata.htm. 

  2. Korean Academy of Asthma,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Korean Academy of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National Strategic Coordination Center for Clinical Research. Korean guideline for asthma [Internet]. Seoul: Korean Academy of Asthma,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Korean Academy of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2015 [cited 2020 Jan 28]. Available from: http://www.allergy.or.kr/file/150527_01.pdf. 

  3. Fukutomi Y, Taniguchi M, Watanabe J, Nakamura H, Komase Y, Ohta K, et al. Time trend in the prevalence of adult asthma in Japan: findings from population-based surveys in Fujieda city in 1985, 1999, and 2006. Allergol Int 2011; 60(4): 443-448. 

  4. Song WJ, Kang MG, Chang YS, Cho SH. Epidemiology of adult asthma in Asia: toward a better understanding. Asia Pac Allergy 2014; 4(2): 75-85. 

  5. Seyedrezazadeh E, Moghaddam MP, Ansarin K, Vafa MR, Sharma S, Kolahdooz F. Fruit and vegetable intake and risk of wheezing and asthm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Nutr Rev 2014; 72(7): 411-428. 

  6. McKeever TM, Lewis SA, Cassano PA, Ocke M, Burney P, Britton J, et al. Patterns of dietary intake and relation to respiratory disease,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 and decline in 5-y forced expiratory volume. Am J Clin Nutr 2010; 92(2): 408-415. 

  7. Tabak C, Wijga AH, de Meer G, Janssen NA, Brunekreef B, Smit HA. Diet and asthma in Dutch school children (ISAAC-2). Thorax 2006; 61(12): 1048-1053. 

  8. Wood LG, Gibson PG. Dietary factors lead to innate immune activation in asthma. Pharmacol Ther 2009; 123(1): 37-53. 

  9. Cardinale F, Tesse R, Fucilli C, Loffredo MS, Iacoviello G, Chinellato I, et al. Correlation between exhaled nitric oxide and dietary consumption of fats and antioxidants in children with asthma. J Allergy Clin Immunol 2007; 119(5): 1268-1270. 

  10. Hosseini B, Berthon BS, Wark P, Wood LG. Effects of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on risk of asthma, wheezing and immune respons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Nutrients 2017; 9(4): 341. 

  11. Barros R, Moreira A, Fonseca J, de Oliveira JF, Delgado L, Castel-Branco MG, et al. Adherence to the Mediterranean diet and fresh fruit intake are associated with improved asthma control. Allergy 2008; 63(7): 917-923. 

  12. Han YY, Blatter J, Brehm JM, Forno E, Litonjua AA, Celedon JC. Diet and asthma: vitamins and methyl donors. Lancet Respir Med 2013; 1(10): 813-822. 

  13. Takaoka M, Norback D. Diet among Japanese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asthmatic symptoms, infections, pollen and furry pet allergy. Respir Med 2008; 102(7): 1045-1054. 

  14. Varraso R, Kauffmann F, Leynaert B, Le Moual N, Boutron-Ruault MC, Clavel-Chapelon F, et al. Dietary patterns and asthma in the E3N study. Eur Respir J 2009; 33(1): 33-41. 

  15. Brigham EP, Kolahdooz F, Hansel N, Breysse PN, Davis M, Sharma S, et al. Association between Western diet pattern and adult asthma: a focused review. Ann Allergy Asthma Immunol 2015; 114(4): 273-280. 

  16. Thorburn AN, Macia L, Mackay CR. Diet, metabolites, and "western-lifestyle" inflammatory diseases. Immunity 2014; 40(6): 833-842. 

  17. Nagel G, Linseisen J. Dietary intake of fatty acids, antioxidants and selected food groups and asthma in adults. Eur J Clin Nutr 2005; 59(1): 8-15. 

  18. Li J, Xun P, Zamora D, Sood A, Liu K, Daviglus M, et al. Intakes of long-chain omega-3 (n-3) PUFAs and fish in relation to incidence of asthma among American young adults: the CARDIA study. Am J Clin Nutr 2013; 97(1): 173-178. 

  19. Baker JC, Tunnicliffe WS, Duncanson RC, Ayres JG. Dietary antioxidants and magnesium in type 1 brittle asthma: a case control study. Thorax 1999; 54(2): 115-118. 

  20. Riccioni G, Bucciarelli T, Mancini B, Di Ilio C, Della Vecchia R, D'Orazio N. Plasma lycopene and antioxidant vitamins in asthma: the PLAVA study. J Asthma 2007; 44(6): 429-432. 

  21. Allen S, Britton JR, Leonardi-Bee JA. Association between antioxidant vitamins and asthma outcome measur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horax 2009; 64(7): 610-619. 

  22. Patel BD, Welch AA, Bingham SA, Luben RN, Day NE, Khaw KT, et al. Dietary antioxidants and asthma in adults. Thorax 2006; 61(5): 388-393. 

  23. To T, Stanojevic S, Moores G, Gershon AS, Bateman ED, Cruz AA, et al. Global asthma prevalence in adults: findings from the cross-sectional world health survey. BMC Public Health 2012; 12(1): 204. 

  24. Arif AA, Delclos GL, Lee ES, Tortolero SR, Whitehead LW.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asthma and wheezing among US adults: an analysis of the NHANES III data. Eur Respir J 2003; 21(5): 827-833. 

  25. Kim SY, Jung JY, Park MS, Kang YA, Kim EY, Kim SK, et al. Increased prevalence of self-reported asthma among Korean adults: an analysis of KNHANES I and IV data. Lung 2013; 191(3): 281-288. 

  26. Peters U, Dixon AE, Forno E. Obesity and asthma. J Allergy Clin Immunol 2018; 141(4): 1169-1179. 

  27. Villeneuve T, Guilleminault L. Asthma and obesity in adults. Rev Mal Respir 2020; 37(1): 60-74. 

  28. Lim MS, Lee CH, Sim S, Hong SK, Choi HG. Physical activity, sedentary habits, sleep, and obesity are associated with asthma, allergic rhinitis, and atopic dermatitis in Korean adolescents. Yonsei Med J 2017; 58(5): 1040-1046. 

  29. Lee J, Shin A. Vegetable and fruit intake in one person household: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J Nutr Health 2015; 48(3): 269-276. 

  30. Palaniappan U, Jacobs Starkey L, O'Loughlin J, Gray-Donald K.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is lower and saturated fat intake is higher among Canadians reporting smoking. J Nutr 2001; 131(7): 1952-1958. 

  31. Azagba S, Sharaf MF. Disparities in the frequency of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by socio-demographic and lifestyle characteristics in Canada. Nutr J 2011; 10(1): 118. 

  32.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5. 

  33. Romieu I, Varraso R, Avenel V, Leynaert B, Kauffmann F, Clavel-Chapelon F. Fruit and vegetable intakes and asthma in the E3N study. Thorax 2006; 61(3): 209-215. 

  34. Kim H, Oh SY, Kang MH, Kim KN, Kim Y, Chang N. Association between kimchi intake and asthma in Korean adults: the Fourth and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1). J Med Food 2014; 17(1): 172-178. 

  35. Park SH, Park BJ, Jung DH, Kwon YJ. Association between household food insecurity and asthma in Korean adults.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19; 16(12): E21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