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천 여울의 분류 및 물리, 수리학적 특성 분석
Classification of Riparian Riffles and Their Physical and Hydraulic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8 no.2, 2015년, pp.137 - 147  

김성환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양전영 ((주)호반건설 토목부) ,  김진홍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플랜트공학과)

초록

본 논문에서는 홍천강과 섬진강을 대상으로 하천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의 여울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물리적 및 수리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여울의 길이와 폭 비율을 기준으로 긴 형태와 넓은 형태로 분류하고, 상 하류 폭의 변화 정도를 기준으로 집중 형태와 확산 형태로 분류하였다. 또한 흐름의 물결 형태에 따라 떨어지는 형태, 미끄러지는 형태, 약한 파도 및 약한 도수로 분류하였다. 떨어지는 형태와 미끄러지는 형태는 주로 큰 돌 주위의 다양한 입경을 지닌 하상에서 발생하였으며, 약한 파도와 약한 도수는 주로 잔 돌 주위에서 발생하였다. 여울의 흐름 방향 경사는 가운데 부분에서 위로 볼록하였으며, 하류측으로 갈수록 경사가 커졌다. 여울의 종적 구조에 따른 물결형태를 구분하여 보면, 여울의 집중 형태에서는 흐름 방향으로 약한 파도, 미끄러지는 형태 및 약한 도수가 발생하였다. 긴 형태의 경우, 흐름방향으로 약한 파도, 미끄러지는 형태 및 떨어지는 형태가 발생하였다. 넓은 형태의 여울에서는 약한 파도, 약한 도수 및 약한 파도, 약한 도수가 발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erformed the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the various types of riffles and analyzed their physical and hydraulic characteristics at the Hongcheon River and Seomjin River. The riffles are classified into the long type and the wide type by their ratio of length and width, and also classif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현지 하천조사를 통하여 하천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의 여울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물리적 및 수리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섬진강과 홍천강을 대상으로, 현지 조사를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여울이 어떠한 수리학적 특성을 가지고 형성되며, 각각의 여울 형태에 따른 물결 모양, 규모, 경사 및 하상 입경 등을 측정,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울은 언제 발생하는가? 여울은 하천의 중, 상류 급경사 구간과 사행이 발달된 구간에서 많이 발생된다. 하상 경사가 급하여 흐름의 유속이 크고 수심이 얕으며 하상은 암반으로 구성된 경우에서도 발생되나 일반적으로 큰 자갈로 덮여있는 곳에서 많이 발생한다. 경사의 정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여울이 분포하며 폭기 현상으로 인한 산소전달이 원활하여 수중 용존산소를 풍부하게 하여 수질을 개선시키는 자정작용을 지니고 있다.
여울이란? 하천이 사행하게 되면 여울과 소가 반복적으로 자연스럽게 나타난다. 여울이란 큰 돌이나 자갈에 물이 부딪치고 빠르게 흘러가며, 일반적으로 얕고 산소 공급이 활발한 부분을 말한다. 반면 소는 물의 흐름이 느리고 깊은 곳이다.
깊은 소는 어류에게 무슨 역할을 하는가? 대부분의 어류가 밤이 되면 소에서 잠을 잔다. 깊은 소는 홍수 때나 다른 동물들의 공격으로부터 어류가 피할 수 있는 피난처이며, 유영력이 약한 치어들의 생육장소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ovee, K.D. (1998). Stream Habitat Analysis Using Instream Flow Incremental Methodology. Information and Technology Report USGS/BRD-1998-0004, Fort Collins, U. S. Geological Survey. 

  2. Chibana, T., Iwamoto, H., and Tsujimoto, T. (2006).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Hydraulic Conditions of Riffles in the Tama River", Academic Research, No. 262, The Tokyu Foundation for Better Environment, pp. 1-10. 

  3. Chibana, T., Tsujimoto, T., Miyake, M., and Iwamoto, H. (2005). "Hierarchical Analysis of Physical Environment in Riffles."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9, No. 1, pp. 1-6. 

  4. Choi, S.W., and Bae, H.D. (2011). "Gradation and Transport Characteristics of Bed Materials in Pool-Riffle Sequence in the Gap Stream, Kore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4, No. 1, pp. 67-72. 

  5. Frissell, C.A. (1986). "A Hierarchical Framework for Stream Habitat Classification, Viewing Streams in a Watershed Context." Environmental Management, Vol. 10, No. 2, pp 199-214. 

  6. H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2000). Flow Measurement at Water Basin of Bukhan River.Anseong Stream. 

  7. Hong I., Gang, J.G., and Yeo, H.G. (2012).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iffle-Pool Sequence in the Namdae Stream." Proceedings 2012 Conference of KWRA. Taebaek, Kangweondo, p. 972. 

  8. Iksan Regional Construction Management Administration. (1999). Investigation of Usage of Yeongsan.Seomjin River Water and Estimation of Instream Flow. 

  9. James, L.C., and Steven, V.F. (2001). "Inter-Annual Changes in Benthic Community Structure of Riffles and Pools in Reaches of Contrasting Gradient." Hydrobiologia, Vol. 459. pp. 187-200. 

  10. Lee, J.H., Kim, Y.J., and Lee, S.H. (2012). "A Study on Numerical Simulation of Hydraulic Charateristics of Surface-Groundwater Mixed Zone at Riffle-Pool Sequence" Journal of Korean Wetland Society, Vol. 14, No. 1, pp. 75-87. 

  11. Webb, P.W., and Gerstner, C.L. (2000). Fish Swimming Behaviour, Predictions from Physical Principles. Biomechanics in Animal Behaviour. Oxford, England, pp. 59-77. 

  12. Webb, P.W., and Weihs, D. (1983). Fish Biomechanics. Biology, New York. 

  13. Yang, J.Y. (2006). "A Study on Fish Swimming Behavior by Riffle Characteristics." Master's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