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근관 증후군의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논문 고찰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Korean Medicine for Carpal Tunnel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Published in Korea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29 no.1, 2015년, pp.79 - 84  

이종호 (대한민국 공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review is to investigate studies of Korean medical treatment of carpal tunnel syndrome published in Korea and the evidence of it's effects in order to suggest a better research method in the future. Four Korean web databases were searched by using key words such as 'carpal', and ch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수근관증후군의 증상과 상당히 유사하며 과거부터 한의학적 이론을 통해 이러한 증상을 치료해 왔음을 알 수 있다2). 저자는 수근관증후군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국내 학술지 연구를 고찰하여 치료의 효용성을 검증하고 추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근관증후군이란 무엇인가? 수근관증후군은 수부의 정중신경이 분포하는 지역에 저린감각, 통증, 이상감각 등의 증상과 무지구군의 약화를 주소로 하는 증후군으로 상지에서 가장 흔한 빈도로 나타나는 압박신경병증으로 알려져 있다1).
수근관증후군이 주로 나타나는 나이대는 어디인가? 수근관증후군은 30~60세 사이에 주로 나타나며, 여성이 남성의 5배 정도로 많으며, 정확한 원인이나 유발인자는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으나 수근관의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상황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2).
수근관증후군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무엇이 있는가? 수근관증후군에 대한 진단은 임상증상과 Phalen's test, Tinel's sign, 근력평가 등의 이학적 검사와 근전도 및 신경전도 검사를 통하여 진단하지만, 확진을 위한 신경전도검사를 시행하기가 어려운 상황에서는 이학적 검사 및 임상증상을 고려하여 진단하는 경우가 많다2). 치료는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NSAIDs)을 투여하거나 splinting을 이용한 운동제한법, 재활운동요법 및 외과적 수술요법 등이 행해지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Phalen, G.S. The carpal tunnel syndrome : Seven years experience in diagnosis and treatment of six hundred fifty-four hands.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19: 521, 1994. 

  2.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of Korean Medicine. Korean rehabilitation Medicine. Seoul, Koonja, p 83, 113, 119, 2003. 

  3. Stanley, H. Physical Examination of the Spine and Extremities. Seoul, Korea medical publishing company, p 512, 1989. 

  4. Bodofsky, E. Treating carpal tunnel syndrome with laser and TENS. Arch Phys Med Rehabil 83(12):1806-1807, 2002. 

  5. Bae, H.S., Jung, W.S., Hong, J.W., Choi, C.M., Na, B.J., Park, S.U., Moon, S.K., Park, J.M., Ko, C.N., Cho, K.H., Kim, Y.S. Comparison of Therapeutic Effect on Carpal Tunnel Syndrome between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Society, 35(3):87-93, 2007. 

  6. Heo, S.Y. Six Cases of Carpal Tunnel Syndrome with Taping Therapy for Carpal Tunnel Expansio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huna Manual Medicine for Spine and Nerves 7(1):67-74, 2012. 

  7. Lee, S.M., Lee, B.H., Kim, J.S., Lee, K.M. Case Study on the effect of Hua-Tuo-Jia-Ji-Xue(華陀夾脊穴) Acupuncture Treatment of Patient with Carpal Tunnel Syndrome. The journal of east-west medicines 35(3):57-65, 2010. 

  8. Jung, J.Y., Kim, Y.G. The Clinical Study 5 Cases through Hot Acupuncture for Treating the Carpal Tunnel Syndrome. Journal of Korean medicine institute, Daejeon university 19(1):9-15, 2010. 

  9. Choi, C.H., Song, H.S. Effect of Hapgok Needling and Bee Venom Acupuncture Complex Treatment on Patients with Carpal Tunnel Syndrome.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Society 27(3):159-166, 2010. 

  10. Choi, S.K., Park, P.B., Oh, S.J. A Case Report of Carpal Tunnel Syndrome with Raynaud's Phenomenon Treated by Bee Venom and Carthami Flos Pharmacopuncture. Journal of Pharmacopuncture 12(1):103-108, 2009. 

  11. Lim, N.R., Kim, S.C., Jang, E.H., Na, W.M., Lim, S.G., Shin, J.B., Lee, G.M. Case Study of Oriental Medicine Treatment with Acupotomy Therapy of the Carpal Tunnel Syndrome.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25(4):163-170, 2008. 

  12. Shin, D.S., Lee, H. The clinical study on 2 cases of patients of carpal tunnel syndrome. Journal of Korean medicine institute, Daejeon university 15(1):79-85, 2006. 

  13. Kim, I.D., Oh, H.H., Byun, J.Y., Moon, H.C., Koh, K.H., Park, S.Y., Chang, B.S. Clinical study on the Patients with Carpal tunnel syndrome.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19(6):61-66, 2002. 

  14. Kim, I.H. Clinical Study on Five Cases of Carpal tunnel syndrome. Journal of Pharmacopuncture 4(3):39-45, 2001. 

  15. Ku, J.Y., Lee, K.H., Cho, S.W., Lee, S.C., Youn, H.M., Jang, K.J., Song, C.H., Ahn, C.B., Kim, C.H. Comparison of the Effects between Sweet Bee Venom Pharmacopuncture and Scolopendrid Pharmacopuncture on Carpal Tunnel Syndrome(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Journal of Pharmacopuncture 13(4):75-89, 2010. 

  16. Choi, S.W., Shin, M.S., Park, M.H., Lim, S.T., Shin, J.C., Lee, B.Y., Lee, S.S., Yook, T.H. Clinical Study on Treatment of the Carpal Tunnel Syndrome with CF Herbal Acupuncture. Journal of Pharmacopuncture 8(2):39-45, 2005. 

  17. Lim, J.A., Kim, S.C., Kim, S.N, Lee, S.Y., Moon, H.C. Clinical study on treatment of Carpal tunnel syndrome using Scolopendrid herbal acupuncture. Journal of Pharmacopuncture 8(1):13-20, 2005. 

  18. S. Brent Brotzman, Kevin E. Wilk. Clinical Orthopaedie Rehabilitation. Seoul, Han-mi medical, pp 34-39, 200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