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한 폐경이행 구조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Healthy Menopausal Transitio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5 no.1, 2015년, pp.64 - 75  

홍은영 (거제대학교 간호학과) ,  강영실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nstruct and tes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healthy menopausal transition in middle-aged women in order to identify variables affecting healthy menopausal transition. Methods: Participants, 276 women, 45 to 60 years of age, with menopausal symptom score hi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Meleis 등[7]의 이행이론의 개념틀을 기반으로 하여 선행 연구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도출된 이행의 조건 및 반응패턴인 중간지표와 결과지표를 포함하여 중년여성의 건강한 폐경이행을 설명하는 구조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하여 폐경이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직·간접 효과를 규명하여 건강한 폐경이행을 위한 효과적 간호전략 개발의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Meleis 등[7]의 이행이론과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중년여성의 건강한 폐경이행을 설명하는 구조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하여 폐경이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직·간접 효과를 규명하여 건강한 폐경이행을 위한 효과적 간호전략 개발의 지침을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년여성의 건강한 폐경이행 모형의 적합도와 폐경이행 영향요인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Meleis 등[7]의 이행이론과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중년여성의 건강한 폐경이행을 설명하는 구조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하여 폐경이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직·간접 효과를 규명하여 건강한 폐경이행을 위한 효과적 간호전략 개발의 지침을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Meleis 등[7]의 이행이론의 관점에서 중년여성들의 건강한 폐경이행과 그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건강한 폐경이행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함으로써, 중년여성의 폐경이행 상태에 대한 이해와 건강한 폐경이행을 촉진할 수 있는 간호전략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토대로 중년여성의 건강한 폐경이행에 관한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부합도와 모형에서 제시한 가설을 검정하는 횡단적 구조모형검정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들의 건강한 폐경이행을 설명하기 위해 Meleis 등[7]의 이행이론에서 제시된 개념틀을 토대로 이행이론에서 제시된 개념인 이행의 조건 및 반응패턴인 중간지표와 결과지표를 선행 연구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규명하고 이들을 포함하는 구조모형을 구축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건강한 폐경이행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규명하여 직·간접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경기는 어떠한 기간인가? 6세[1]로 평균 폐경나이가 49세[2]임을 감안한다면 폐경기간이 30년 이상으로 여성은 폐경 상태로 일생의 1/3 이상의 기간을 살아가게 된다. 폐경기는 생식기에서 비생식기로 전환되는 시기로 건강과 삶의 질에 있어서 일시적 변화가 있는 기간이며[3], 폐경이행(menopausal transition)은 중년기, 노화, 역할변화와 연관되어 있는 정상적인 발달 경험으로서 여성의 삶에서 복잡하고도 혼란스러운 시기이자 건강한 노년을 위한 준비 단계이기도 하다[4-6]. 이 시기는 중년여성들이 폐경이행에 관심을 갖고 폐경이라는 안정된 단계로 건강하게 폐경이행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간호중재가 적극 요청된다.
폐경을 경험하는 중년여성에게 페경이행 경험에 대한 적극적 간호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폐경은 발달적 이행의 일종으로[7] 폐경이행(menopausal transition)은 폐경 이전의 안정된 삶의 단계에서 폐경이라는 안정된 삶의 단계로의 통과로 볼 수 있으며, 폐경을 기점으로 신체적, 정신심리적, 사회문화적으로 많은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이다[9]. 그러므로 폐경을 경험하는 중년여성이 폐경이라는 안정된 상태에 도달하도록 하기 위해 폐경이행 경험이 건강한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돕는 적극적인 간호가 필요하다.
이행이란 무엇인가? Meleis 등[7]은 이행을 간호학의 중심이 되는 개념 중 하나로 소개 하면서 이행이론(transition theory)을 제안하였다. 이행이란 상당히 안정된 상태들 사이의 기간으로 삶의 한 단계에서 다른 단계로, 한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한 상황에서 다른 상황으로의 통과를 의미 한다[7]. 이행은 변화(change)와는 다르며 인간이 그들의 삶 또는 환경에서 변화에 직면할 때 겪게 되는 과정으로, 장기간에 걸쳐 이루 어지며, 상당히 안정된 한 상태에서 다른 상당히 안정된 상태로의 통과(passage)라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2012 life tables for Korea [Internet]. Daejeon: Author; 2013 [cited 2013 December 20].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portal/korea/kor_nw/2/2/7/index.board. 

  2. Kim SG, Kim YG, Cho AJ, Kim HR, Im SE. The 2009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family health and welfare in Korea. Seoul: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9. Report No.: Research Paper 2009-33. 

  3. Harlow SD, Gass M, Hall JE, Lobo R, Maki P, Rebar RW, et al. Executive summary of the stages of reproductive aging workshop+10: Addressing the unfinished agenda of staging reproductive aging. Fertility and Sterility. 2012;97(4):843-851. http://dx.doi.org/10.1016/j.fertnstert.2012.01.128 

  4. Breheny M, Stephens C. Healthy living and keeping busy: A discourse analysis of mid-aged women's attributions for menopausal experience. Journal of Language and Social Psychology. 2003;22(2):169-189. http://dx.doi.org/10.1177/0261927X03252282 

  5. Kim MJ, Kim JH. How long do menopausal hot flushes really last?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nopause. 2009;15(2):73-78. 

  6. Yoon JH, Han JH.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phenomenon experienced by menopausal middle-aged women.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13;14(4):2195-2212. 

  7. Meleis AI, Sawyer LM, Im EO, Hilfinger Messias DK, Schumacher K. Experiencing transitions: An emerging middle-range theory. AN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2000;23(1):12-28. 

  8. Schumacher KL, Meleis AI. Transitions: A central concept in nursing. Image: Th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1994;26(2):119-127. 

  9. Yeo JH. Correlational study on management of menopause, marital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4;34(2):261-269. 

  10. Lee KH, Chang CJ. Korean urban woman's experience of menopause New life. The Korean Journal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Nursing. 1992;2(1):70-86. 

  11. Im EO, Meleis AI. A situation-specific theory of Korean immigrant women's menopausal transition. Image: Th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1999;31(4):333-338. 

  12. Hong E, Kang YS, Ha Y. Factors affecting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teachers with middle-aged women experiencing menopaus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3;22(1):66-74. 

  13. Park CH, Oh EJ, Park JS. The relationships between menopausal symptoms, menopausal knowledge, menopausal attitude and menopausal management of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2;16(1):89-99. 

  14. Song AR. Development of and educational program for the management of menopause and it's effec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8;28(2):280-290. 

  15. Lee KH. Relationships between role adaptations and identity formation of married mid-life women [dissertation]. Daegu: Keimyung University;1998. 

  16. Byeon WJ, Kim CK. Effects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nal systems on ego-identity of middle-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006;44(12):155-165. 

  17. Kim KS, Kim JR. The effects of ego-identity and crisis on quality of life in midlife marri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001;39(4):105-120. 

  18. Song HO, Park AC, Choi SY. A structure model analysis between a family environment, perceived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ego-identity of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0;17(2):109-129. 

  19. Jung YJ, Hong SR. Mediating effects of school life satisfaction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s on the relations between self-efficacy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2012;14(3):239-257. 

  20. Royal College of Nursing. Menopause: Lifestyle and therapeutic approaches: RCN guidance for nurses, midwives and health visitors [Internet]. London, UK: Author; 2010 [cited 2013 March 2]. Available from: http://www.rcn.org.uk/development/publications. 

  21. Ro YJ. An analytical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middle-aged in Seoul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88. 

  22. Lee YM, Schwarzer R, Jerusalem M. Korean adaptation of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Internet]. 1994 [cited 2013 June 2]. Available from: http://userpage.fu-berlin.de/-health/korean.htm. 

  23. Bowen M. Theory in the practice of psychotherapy. In: Guerin PJ, editor. Family therapy: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NY: Gardner Press; 1976. p. 42-90. 

  24. Je SB.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dysfunctional behavior [dissertation]. Busan: Pusan National University; 1989. 

  25. Heinemann LA, Potthoff P, Schneider HP. International versions of the menopause rating scale (MRS).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2003;1:28. http://dx.doi.org/10.1186/1477-7525-1-28 

  26. Heinemann LA, DoMinh T, Strelow F, Gerbsch S, Schnitker J, Schneider HP. The menopause rating scale (MRS) as outcome measure for hormone treatment? A validation study.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2004;2:67. http://dx.doi.org/10.1186/1477-7525-2-67 

  27. Kim GS.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2010. 

  28. Lee S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ed adult's level of self differentiation and their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Family Relations. 2000;5(1):23-43. 

  29. Kim JT, Sim H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Bowen's psychodynamic family therapy in the context of self-differentiation. Journal of Korean Family Therapy. 1993;1(1):31-45. 

  30. Kim YH, Ha EH, Shin SJ. A study on the menopausal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3;33(5):601-6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