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합교육 핵심요인과 기대효과에 대한 델파이 분석
A Study of the Key Factors and Expected Outcomes of Convergence Education using a Delphi Technique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5 no.1, 2015년, pp.37 - 58  

조은별 (서울대학교) ,  이선영 (서울대학교) ,  신종호 (서울대학교) ,  홍윤정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개념적 혼란이 지속되고 있는 융합교육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융합교육의 현장경험을 가진 교사 19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3차의 델파이 연구가 실시되었으며, 융합교육의 특성으로서 핵심요인과 기대효과를 도출하였다. 융합교육의 전제 조건인 핵심요인은 학습자의 다양한 질적 경험을 위해 교육내용과 교육방식의 개방적이고 융통적인 활용을 강조하는 '교육설계', 교사, 교사-동료 간, 교사-학습자 간의 관계 속에서 발휘되는 교사의 역량을 의미하는 '교사전문성', 다양한 교육주체의 심리적 지원을 통해 융합교육을 가능하도록 하는 '교육환경'으로 유형화되었다. 융합교육의 기대효과는 '학습자의 인지적 특성',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교사 및 교육체제' 차원에서의 변화를 포함하였으며, 융합교육이 교육 본연의 가치를 실현하는 하나의 틀로서 인식되었다. 본 연구에서 융합교육은 다수의 일반적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적 가치 실현을 지향하며, 다양한 교육내용과 교육방식을 적용하고 교사의 전문성을 비롯한 관련 교육주체의 심리적 요인이 중요한 핵심요인으로 다루어진다는 특성을 나타냈다. 연구의 결과는 융합교육의 실체를 다각적인 이해의 틀을 가지고 교육 현장의 맥락에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education through the Delphi survey targeting 19 teaching professionals. The Delphi survey was completed three times, drawing key factors and expected outcomes which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education.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융합이란? 최근의 ‘융합 기술’, ‘융합 연구’, ‘융합 산업’ 등에 대한 관심은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돌파구로서 ‘융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보여준다. ‘녹아서 하나로 합쳐진 상태’를 의미하는 융합(convergence, 融合) (국립국어원, 2014)의 정의에 따르면, 이러한 관심은 둘 이상의 대상이 완전하게 하나로 합쳐지는 현상이 지니는 긍정적 가치에 주목하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교육 맥락에서 융합에 대한 논의는 다수의 교과를 연계하는 교육방식에 대한 관심의 연장선에 있다.
현재 융합교육의 교육방법은 무엇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가? 융합교육의 교육방법은 교육 활동의 구체적인 형식과 특정한 교수학습모형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다. 교육방법은 운영 방식을 기준으로, 교과 연계 활동이나 교과 외 활동(창의적 체험활동, 동아리 활동)을 포함하는 형식교육 방식과 각종 학교 밖 연계 프로그램 및 이벤트를 포함하는 비형식교육으로 구분된다(백윤수 외, 2012).
STEAM의 현장 적용 시 어떤 융합교육 실천의 어려움이 우려되고 있는가? 결과적으로 융합교육에 대한 관심을 짧은 시간에 고조시킨 것은 사실이나, 한편으로는 교육 실천의 어려움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우선, 과학(S), 기술(T), 공학(E), 예술(A), 수학(M)이라는 특정 교과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프로그램, 실천 방안, 실천 단계들이 우선적으로 현장에 전달되면서(김진수, 2011b), 일부에서는 전문가 집단이 제시한 수업모형에 따라 단편적으로 S, T, E, A, M 각각의 요소를 획일적으로 포함해야 한다는 부담을 호소하기도 하였다(조향숙, 김훈, 허준영, 2012). 혹은 단지 현장에 즉시 적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의 부족이 융합교육 활성화를 저해하는 문제점이라는 의식이 공유되기도 하였다(최유현 외, 2012). 이러한 미시적이고 실천적인 차원에서의 문제의식이 높아지면서, 융합교육의 방식이 STEAM으로 보편화되는 것에 대한 근본적인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태진미 외,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강현석 (2004). 교과별 지식이론을 통한 교과교육 이론화 방안의 서설적 연구. 교육과학연구, 35(2), 157-188. 

  2.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08). 국가융합기술 발전 기본계획(2009-2013). 

  3. 국립국어원 (2014).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main.jsp (검색일: 2014. 9.10) 

  4. 권난주, 안재홍 (2012). 융합 및 통합 과학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265-278. 

  5. 권성호, 강경희 (2008). 교양 교육에서의 융합적 교육과정으로의 접근 - 한양대 사례를 중심으로 -. 교양교육연구, 2(2), 7-24. 

  6. 교육과학기술부 (2010).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2011년 업무보고서. 

  7. 교육과학기술부 (2011). 융합인재교육(STEAM) 활성화 방안. 융합인재교육(STEAM) 수도권 설명회. 

  8. 김도연, 배형준, 오헌석, 유상옥 (2013). 융합교육 시스템 구축 및 발전의 역동과 성공요인. 교육종합연구, 11(2), 297-335. 

  9. 김성원, 정영란, 우애자, 이현주 (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이론적 모형의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388-401. 

  10. 김진수 (2011a). STEAM 교육을 위한 큐빅모형.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2), 124-139. 

  11. 김진수 (2011b). 창의적인 과학기술인재 양성을 위한 과학기술-예술융합(STEAM) 교육 강화방안. 교육정책포럼. 215, 4-7. 

  12. 김진수 (2012). STEAM 교육론. 경기도: 양서원. 

  13. 노상우, 안동순 (2012). 학문융합 관점에서 본 현대교육의 이론적-실천적 변화 모색. 교육종합연구, 10(1), 67-88. 

  14. 맹희주 (2013). 융합영재교육의 발전 과제와 연구 방향에 대한 논의. 영재교육연구, 23(6), 981-1001. 

  15. 방담이, 강순희 (2012). 학문 통합적 과학 교육에 대한 초중등 교사들의 인식. 대한화학회지, 56(1), 115-127. 

  16.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박종윤,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2011).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 11(4), 149-171. 

  17. 손연아, 정시인, 권슬기, 김희원, 김동렬 (2012). STEAM 융합인재교육에 대비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인식 분석. 인문사회과학연구, 3(1), 255-284. 

  18. 신영준, 한선관 (2011). 초등학교 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식 연구. 초등과학교육, 30(4), 514-523. 

  19. 양승지, 권난주 (2013). 국내 과학예술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현황 분석을 통한 현장 적용방안 탐색. 교육논총, 33(2), 149-160. 

  20. 오헌석 (2012). 과학기술분야 융합연구자의 융합연구 입문과 과정에 관한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3(4), 297-335. 

  21. 이재분 외 (2012). 초?중등 영재학급 및 영재교육원의 융합인재교육(STEAM) 적용 방안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2. 이종성 (2001). 델파이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23. 이효녕, 손동일, 권혁수, 박경숙, 한인기, 정현일, 이성수, 오희진, 남정철, 오영재, 방성혜, 서보현 (2012). 통합 STEM 교육에 대한 중등 교사의 인식과 요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1), 30-45. 

  24. 조순자, 김효남 (2013). STEAM 교육의 이론적 고찰을 통한 교육과정 구성요소 분석. 초등교과교육연구, 18, 19-39. 

  25. 조향숙, 김훈, 허준영 (2012). 현장 적용 사례를 통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이해. 한국과학창의재단. 

  26. 최유현, 노진아, 이봉우, 문대영, 이명훈, 장용철, 박기문, 손다미, 임윤진, 이은상 (2012). 창의적 융합인재양성을 위한 STEAM 교육과정 모형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3), 63-87. 

  27. 최태호, 박명옥 (2011). 융합형 영재교육의 가능성 모색. 영재교육연구, 21(3), 683-702. 

  28. 태진미 (2011). 창의적 융합인재양성, 왜 예술교육에 주목하는가. 영재교육연구, 21(4), 1011-1032. 

  29. 태진미 (2014). 영재를 위한 융합교육(STEAM) 자료 개발 및 적용. 영재교육연구, 24(4), 703-728. 

  30. 태진미 외 (2014). 영재융합교육자료(중등). 서울: 서울특별시과학전시관. 

  31. 한국과학창의재단 (2011). 융합인재교육(STEAM) 활성화 방안. 융합인재교육(STEAM) 수도권 설명회 자료집. 

  32. Akins, A., & Akerson, V. L. (2002). Connecting science, social studies, and language arts: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Educational Action Research, 10, 479-497. 

  33. Aladwani, A. M., & Palvia, P. C. (2002). Developing and validating an instrument for measuring user-perceived web quality. Information & management, 39(6), 467-476. 

  34. Applebee, A. N., Adler, M., & Flihan, S. (2007). Interdisciplinary curricula in middle and high school classrooms: Case studies of approaches to curriculum and instructio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4(4), 1002-1039. 

  35. Caspell, S. (2007). Exploring the Influence of the ROC Integrated High School Program. Pathways: The Ontario Journal of Outdoor Education, 19(3), 20-27. 

  36. Drake, S. M., & Burns, R. C. (2004). Integrated curriculum. VA: Association for Si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ASCD). 

  37. Fink, A., & Kosecoff, J. (1985). How to conduct surveys A Step-by-Step Guide. CA: SAGE Publications, Inc., Newbury. 

  38. Goolad, J. (2000). Foreword. In S. Wineburg & P. Grossman (Eds.),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Challenges to implementation (pp. 7-12).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9. Klein, J. T. (2006). A platform for a shared discourse of interdisciplinary education, Journal of Social Science Education, 5(2), 10-18. 

  40.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41. McGinn, C., Gagnon, M.-P., Shaw, N., Sicotte, C., Mathieu, L., Leduc, Y., Grenier, S., Duplantie, J., Abdeljelil, A. B., & Legare, F. (2012). Users' perspectives of key factors to implementing electronic health records in Canada: a Delphi study. BMC Medical Informatics and Decision Making, 12(1), 105-117. 

  42. Morrow, L. M., Pressley, M., Smith, J. K., & Smith, M. (1997). The effect of a literature based program integrated into literacy and science instruction with children from diverse backgrounds. Reading Research Quarterly, 32(1), 54-76. 

  43. Martino, J. P. (1972). Technological Forecasting for Decision Making. New York, NY: Elsevier Publishing. 

  44. Nissani, M. (1997). Ten cheers for interdisciplinary: The case for interdisciplinary knowledge and research. The Social Science Journal, 34(2), 201-216. 

  45. Okoli, C., & Pawlowski, S. D. (2004). The Delphi method as a research tool: an example, design considerations and applications. Information & Management, 42(1), 15-29. 

  46. Park, M. (2008). Implementing curriculum integration: the experiences of Korean elementary teachers.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9(3), 308-319. 

  47. Petrie, H. G. (1992). Interdisciplinary education: Are we faced with insurmountable opportunities?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 18, 299-333. 

  48. Rowe, G., & Wright, G. (1999). The Delphi technique as a forecasting tool: issues and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forecasting, 15(4), 353-375. 

  49. Rowe, G., & Wright, G. (2001). Expert opinions in forecasting: the role of the Delphi technique. In Principles of forecasting (pp. 125-144). Springer US. 

  50. Saklofske, D., Michaluk, B., & Randhawa, B. (1988). Teachers' efficacy and teaching behaviors. Psychological Report, 63, 407-414. 

  51. Staub, F. C., & Stern, E. (2002). The nature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beliefs matters for students' achievement gains: Quasi-experimental evidence from elementary mathematic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4(2), 344-355. 

  52. Yakman, G. (2010). STEAM education: An overview of creating a model of integrative education. Retrived September 10, 2014. from http://www.steamedu.com. 

  53. Yakman, G. (2011). Introducting Teaching STEAM as a Practical Educational Framework for Korea. STEAM 교육 국제 세미나 및 STEAM 교사연구회 오리엔테이션 자료집. (pp. 40-76).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