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퇴적물 성상 변화에 따른 섬진강 하구 거머리말의 생장 특성
Growth and Population Dynamics of Zostera marina Due to Changes in Sediment Composition in the Seomjin Estuary, Korea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20 no.1, 2015년, pp.43 - 52  

김정배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박정임 (해양생태기술연구소) ,  이원찬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이근섭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퇴적물 성상 변화에 따른 섬진강 하구 거머리말의 생장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섬진강 하구 조간대 하부에서 수온, 수중 광량, 퇴적물 입도, 유기물, 노출시간 및 영양염 농도의 환경요인과 함께 거머리말의 밀도, 생물량, 형태적 특성과 성장을 2004년과 2009년의 5월부터 12월까지 월별 조사하였다. 수온은 2004년 및 2009년 모두 계절적인 경향을 보였고, 2009년이 유의하게 낮았다. 수중 광량은 2004년 및 2009년 모두 5월 이후 감소하다가 9월 이후 증가 하였고, 2009년이 유의하게 높았다. 노출은 두 해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표층 퇴적물의 입도 조성은 2004년 니사질에서 퇴적물 성상 변화에 의하여 2009년에는 사질로 변형되어 퇴적물 성상이 상대적으로 조립하였고, 퇴적물의 유기물 농도도 낮았다. 해수의 $NH_4{^+}$ 농도는 2004년이 유의하게 높았고, 퇴적물 공극수의 $NO_3{^-}+NO_2{^-}$ 농도는 2009년이 유의하게 높았으나 그 외 영양염 농도는 년도 별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거머리말의 개체 키, 잎 폭 등 형태적인 특성은 2004년 보다 2009년에 유의하게 낮았다. 두 해 모두 거머리말의 키, 잎 길이 및 엽초 길이는 초여름에 증가하고, 가을에 감소하는 계절적인 경향을 보였다. 단위면적당 서식밀도는 연도 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생물량은 2004년 보다 2009년에 유의하게 적었다. 평균 개체당 잎 생산량은 연도 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leaf turnover time은 2009년이 2004년 보다 유의하게 짧았다. 즉, 퇴적물의 성상 변화가 2009년의 거머리말은 개체의 크기와 turnover time을 감소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거머리말 서식지의 물리적인 퇴적물의 성상 변화는 섬진강 하구 조간대에 서식하는 잘피의 생장을 제한하는 요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rowth and population dynamics of eelgrass (Zostera marina) due to changes in sediment composition were examined in the lower intertidal zone of the Seomjin Estuary, Korea. We surveye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ater temperature, underwater irradiance, main types and organic content of sed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1) 퇴적물 성상의 변화가 심각해졌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으며, 이 곳에서식하는 거머리말 군락지에서도 그 영향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4년과 2009년의 섬진강 하구 조간대 동일 장소에 서식하는 거머리말의 생장 특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진강 하구의 평균 수심과 조차는? 83 km2로서 약 50%는 조간대에서 출현하고 있다. 평균 수심은 약 1.5 m이고 조차(mean tidal regime)는 반일주조(semi-diurnal)로 약 3 m이다(Kim et al., 2010, 2013).
잘피의 역할은? 잘피는 해양현화식물로 전 세계 연안에 약 60 여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연안 및 하구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den Hartog, 1970). 잘피는 무기 영양염류 및 오염물질을 흡수 제거하고, 조류와 파랑에너지 감소 및 퇴적물의 안정화로 침식 및 퇴적물의 재부유를 방지하며, 많은 해양동식물들에게 서식지를 제공하여 연안생태계의 종 다양성을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975; Short and McRoy, 1984; Ward et al., 1984; Fonseca and Fisher, 1986).
잘피 서식지가 위협받고 있는 원인은? , 1984; Fonseca and Fisher, 1986). 그러나 매립, 해안공사, 항만건설 등과 같은 직접적인 훼손으로 세계 여러 지역에서 잘피 서식지가 위협받고 있다(Lee and Lee, 2003; MOMAF, 2007). 최근 해양생태계에서 잘 피가 지닌 생태적 중요성으로 인해 잘피 서식지의 감소와 소실에 대해 많은 우려가 제기되고 있으며, 서식지의 보존과 복원에 대한 관심이 깊어지고 있다(Addy, 1947; Fonsec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Addy, C.E., 1947. Eelgrass planting guide. Maryland Conserv., 24: 16-17. 

  2. Boer, 2007. Seagrass-sediment interactions, positive feedbacks and critical thresholds for occurrence: a review. Mar. Biol., 591: 5-24. 

  3. Boese, B.L., K.E. Alayan, E.F. Gooch, and B.D. Robbins, 2003. Desiccation index: a measure of damage caused by adverse aerial exposure on intertidal eelgrass (Zostera marina) in an Oregon (USA) estuary. Aquat. Bot., 76: 329-337. 

  4. Bos, A.R, T.J. Bouma, G.L.J. de Kort, and M.M. van Katwijk, 2007. Ecosystem engineering by annual intertidal seagrass beds: Sediment accretion and modification. Estuar. Coast. Shelf Sci., 74: 344-348. 

  5. Bruun, P., 1962. Sea level rise as a cause of shore erosion. Journal Waterways and Harbors Division, American Society Civil Engineers, 88: 117-130. 

  6. Davis, R.C. and F.T. Short, 1997. Restoring eelgrass, Zostera marina L., habitat using a new transplanting technique: The horizontal rhizome method. Aquat. Bot., 59: 1-15. 

  7. Day, J.W., C.A.S. Hall, W.M. Kemp, and Y. Alejandro, 1989. Estuarine ecology.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Chichester, Brisbane, Toronto, Singapore, 558 pp. 

  8. den Hartog, C. 1970. The seagrass of the world. North-holland Publishing Company, Amsterdam, Netherlands, 275 pp. 

  9. Dennison, W.C., 1987. Effects of light on seagrass photosynthesis, growth and depth distribution. Aquat. Bot., 27: 15-26. 

  10. Dennison, W.C. and R.S. Alberte, 1987. Role of daily light period in the depth distribution of Zostera marina (eelgrass). Mar. Ecol. Prog. Ser., 25: 51-61. 

  11. Dennison, W.C., R.J. Orth, K.A. Moore, J.C. Stevenson, V. Carter, S. Kollar, P.W. Bergstrom, and R.A. Batiuk, 1993. Assessing water quality with submersed aquatic vegetation. BioScience, 43: 86-94. 

  12. Duarte, C.M., 2002. The future of seagrass meadows. Environ. Conserv., 29: 192-206. 

  13. Folk, R.L. and W.C. Ward,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 Sediment. Petrol., 27: 3-26. 

  14. Fonseca, M.S., 2007. What has changed with seagrass restoration in 58 years? In: 19th Estuarine Research Federation Abstracts. Providence, Rhode Island, 64 pp. 

  15. Fonseca, M.S., W.J. Kenworthy, and F.X. Courtney, 1996. Development of planted seagrass beds in Tampa Bay, FL, USA: I. Plant components. Mar. Ecol. Prog. Ser., 132: 127-139. 

  16. Fonseca, M.S. and J.S. Fisher, 1986. A comparison of canopy friction and sediment movement between four species of seagrass with reference to their ecology and restoration. Mar. Ecol. Prog. Ser., 29: 5-22. 

  17. Gacia, E. and C.M. Duarte, 2001. Sediment retention by a Mediterranean Posidonia oceanica meadow: The balance between deposition and resuspension. Estuar. Coast. Shelf Sci., 52: 505-514. 

  18. Greve, T.M. and T. Binzer, 2004. Which factors regulate seagrass growth and distribution? In: Borum, J., C.M. Duarte, D. Krause- Jensen and T.M. Greve (eds), European seagrasses: an introduction to monitoring and management. pp. 19-23. The Monitoring and Managing of European Seagrasses (M&MS) project. 

  19. Kentula, M.E. and C.D. McIntire, 1986. The autecology and production dynamics of eelgrass in Netarts Bay, Oregon. Estuaries, 9: 188-199. 

  20. Kim, J.B., J.-I. Park, W.-J. Choi, C.-S. Jung, P.-Y. Lee, and K.-S. Lee, 2009. Distributional range extension of the seagrass Halophila nipponica into coastal waters off the Korean peninsula. Aquat. Bot., 90: 269-272. 

  21. Kim, J.B., J.-I. Park, W.-J. Choi, J.S. Lee, and K.-S. Lee, 2010. Spatial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Zostera marina and Zostera japonica in the Seomjin Estuary. Kor. J. Fish. Aquat. Sci., 43: 351-361. 

  22. Kim, J.B., W.-C. Lee, K.-S. Lee, and J.-I. Park, 2013. Growth dynamics of eelgrass, Zostera marina, in the intertidal zone of Seomjin Estuary, Korea. Ocean Sci. J., 48: 239-250. 

  23. Kim, T.H., S.R. Park, Y.K. Kim, J.H. Kim, S.H. Kim, J.H. Kim, I.K. Chung, and K.S. Lee, 2008. Growth dynamics and carbon incorporation of the seagrass, Zostera marina L. in Jindong Bay and Gamak Bay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lgae, 23: 241-250. 

  24. Kim, Y.K., J.H. Kim, S.H. Kim, J.W. Kim, S.R. Park, and K-S. Lee, 2012. Growth dynamics of the seagrass, Zostera marina in Jindong Bay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lgae 27: 215-224. 

  25. Koch, E.W., 2001. Beyond light: Physical, geological and geochemical parameters as possible submersed aquatic vegetation habitat requirements. Estuaries, 24: 1-17. 

  26. Lee, K.-S. and K.H. Dunton, 2000. Effects of nitrogen enrichment on biomass allocation, growth, and leaf morphology of the seagrass Thalassia testudinum. Mar. Ecol. Prog. Ser., 196: 39-48. 

  27. Lee, K.-S. and S.Y. Lee, 2003. The seagrasses of the republic of Korea. In: World Atlas of Seagrasses: present status and future conservation, edited by Green EP, Short FT and Spalding M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USA., 193-198. 

  28. Lee, K.-S., J.-I. Park, I.K. Chung, D.W. Kang, and S.H. Huh, 2004. Production ecology of the seagrass Zostera marina in Jindong Bay, Korea. Algae, 19: 39-47. 

  29. Lee, K.-S., S.R. Park, and J.B. Kim, 2005. Production dynamics of the eelgrass, Zostera marina in two bay systems on the south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Mar. Biol., 147: 1091-1108. 

  30. Lee, K.-S., S.R. Park, and Y.K. Kim, 2007. Effects of irradiance, temperature, and nutrients on growth dynamics of seagrasses: A review. J. Exp. Mar. Biol. Ecol., 350: 144-175. 

  31. Lee Long, W. and R.M. Thom, 2001. Improving seagrass habitat quality. In: Global Seagrass Research Methods, edited by Short, F.T., R.G. Coles and C.A. Short, Elsevier, Amsterdam, pp. 407-424. 

  32. Mackenzie, F.T., 1998. Our changing planet: An introduction to earth system science and global environmental change. 2nd edition. Upper Saddle River, NJ, USA: Prentice Hall. 

  33. Manzanera, M., M. Perez, and J. Romero, 1998. Seagrass mortality due to oversedimentation: an experimental approach. J. Coast. Conserv., 4: 67-70. 

  34. Marba, N.M. and C.M. Duarte, 1994. Growth responses of the seagrass Cymodocea nodosa to experimental burial and erosion. Mar. Ecol. Prog. Ser., 107: 307-311. 

  35. Marsh, J.A. Jr., W.C. Dennison and R.S. Alberte, 1986. Effects of temperature on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in eelgrass (Zostera marina). J. Exp. Mar. Biol. Ecol., 101: 257-267. 

  36. Mills, KE. and M.S. Fonseca, 2003. Mortality and productivity of eelgrass Zostera marina under conditions of experimental burial with two sediment types. Mar. Ecol. Prog. Ser., 255: 127-134. 

  37. MLTM(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0. Establishment of action plans for management of estuary system (III), Seomjin Estuary, Korea, 419 pp. 

  38. MOMAF(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2007. Study on environmental management of environment protect area in Deukryang Bay. 171 pp. 

  39.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975. Underexploited tropical plants with promising economic valu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Washington, DC. USA, 188 pp. 

  40. Noh, J.W., J.-Y. Lee, and J.-K. Shin, 2011. Analysis of saltwater intrusion by flushing discharge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J. Env. Imp. Ass., 20: 325?335. 

  41. Park, J.-I. and K.-S. Lee, 2007. Site-specific success of three transplanting methods and the effect of planting time on the establishment of Zostera marina transplants. Mar. Pollut. Bull., 54: 1238-1248. 

  42. Park, J.-I., K.-S. Lee, and M.H. Son, 2011. Growth dynamics of Zostera marina transplants in the Nakdong estuary related environmental changes. Kor. J. Fish. Aquat. Sci., 44: 533?542. 

  43. Park, J.-I., J.Y. Park, K.-S. Lee, and M.H. Son, 2012. Adaptation success of Zostera caespitosa transplants. Korean J. Environ. Biol., 30: 47?53. 

  44. Parsons, T.R., Y. Maita, and C.M. Lalli, 1984.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mon Press, New York, 173 pp. 

  45. Short, F.T., 1983. The seagrass, Zostera marina L. plant morphology and bed structure in relation to sediment ammonium in Izembek Lagoon, Alaska. Aquat. Bot., 16: 149-161. 

  46. Short, F.T., 1987. Effects of sediment nutrients on seagrasses: literature review and mesocosm experiment. Aquat. Bot., 27: 41-57. 

  47. Short, F.T., W.C. Dennison, and D.G. Capone, 1990. Phosphate limited growth of the tropical seagrass Syringodium filiforme in carbonate sediments. Mar. Ecol. Prog. Ser., 62: 149-174. 

  48. Short, F.T. and C.P. McRoy, 1984. Nitrogen uptake by leaves and roots of the seagrass Zostera marina L. Bot. Mar., 27: 547-555. 

  49. Ward, L.G., W.M. Kemp, and W.R. Boynton, 1984. The influence of waves and seagrass communities on suspended particulates in an estuarine embayment. Mar. Geol., 59: 85-103. 

  50. Waycotta, M., C.M. Duarte, T.J.B. Carruthers, R.J. Orth, W.C. Dennison, S. Olyarnik, A. Calladine, J.W. Fourqurean, K.L. Heck, Jr., A.R. Hughes, G.A. Kendrick, W.J. Kenworthy, F.T. Short, and S.L. Williams, 2009. Accelerating loss of seagrasses across the globe threatens coastal ecosystems. Proc. Natl. Acad. Sci., USA, 106: 12377-12381. 

  51. Wetzel, R.L. and P.A. Penhale, 1983. Production ecology of seagrass communities in the lower Chesapeake Bay. Mar. Technol. Soc. J., 17: 22-31. 

  52. Zieman, J.C., 1974. Methods for the study of the growth and production of turtle grass, Thalassia testudinum Konig. Aquaculture, 4: 139-14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