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0년에 국내 10개 영양염 분석 실험실을 대상으로 실험실간 상호비교실험이 실시되었다. 균질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영양염 농도가 각기 다른 3종의 멸균해수(Bottle 130, 131, 132)가 이용되었으며, 각 실험실은 아질산염(Nitrite), 질산염(Nitrate), 인산염(Phosphate), 규산염(Silicate)의 항목을 5회이상 반복 분석하여 결과를 회신하였다. 각 실험실의 측정정밀도와 실험실간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서 분석결과를 통계처리 하였다. 대부분의 실험실이 모든 분석항목에서 10%이내의 측정정밀도를 보였고, 이상치를 제거한 실험실 간 차이는 모든 분석항목에서 4~63%의 상대표준편차를 보였다. 상대백분율차이는 0.04~2217%였다. 각 실험실에서 분석한 영양염 농도의 차이는 우연오차(random error)보다는 계통오차(systematic error)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균질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시료 131을 이용하여 각 실험실의 분석결과를 보정한 결과, 보정 후 실험실 간 차이는 모든 분석항목에서 상대표준편차와 상대백분율차이가 현저히 향상되었다. 본 상호비교실험결과를 종합하면, 본 실험에 참가한 국내 영양염 분석 실험실 내 측정정밀도는 양호한 편이므로 적절한 기준물질을 사용하여 분석자료를 보정할 경우 실험실 간 차이가 줄어들어 다른 실험실에서 생산된 자료와의 자료 공유에 대한 수월성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영양염 시료 분석 시 균질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표준물질을 사용하여 다른 실험실과의 비교가능성과 소급성을 확립할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inter-laboratory comparison campaign on nutrient analysis in seawater was carried out in 2010. Sets of three sterilized seawater samples (Bottle 130, 131, 132) which have enough homogeneity and stability were distributed to 10 laboratories. Participants analyzed the nutrients in their own labor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에서도 QA/QC를 위한 상호비교실험이 몇 차례 실시되었으나 참가실험실 수가 많지 않았고, 아직까지 상호비교실험 이후에 실험실간 영양염 자료의 비교가능성 및 소급성에 관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 생산된 영양염 자료의 공유의 수월성 확보를 위하여 균질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해수 시료를 이용한 해수 중 영양염 분석 비교실험을 실시하였다.
  • 실험실간 차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자료를 일정한 기준에 대해 보정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는 이러한 목적으로 기준물질을 사용하는데, 본 비교실험에서 사용된 시료 역시 기준물질과 마찬가지로 균질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물질이므로, 이를 사용하여 각 실험실의 자료에 대한 보정을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학자들이 해상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영양염을 측정하는 이유로 영양염의 중요성은 어떤 것이 있는가? 해양에서 영양염은 생명 현상의 필수 요소이자 해양에서 낮은 농도로 존재하여 해양의 일차 생산량을 좌우하는 제한 요소로서 질소, 인, 규소 등을 말한다. 해수 중 영양염의 분포는 해역, 계절, 수심 등에 따라서 달라지며, 해양생태계와 해수순환 그리고 해류의 변화 등 해양환경을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해수 중 영양염의 중요성 때문에 많은 해양학자들이 해양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영양염을 측정하고 있다.
영양염 농도의 차이는 무엇에 기인하는가? 04~2217%였다. 각 실험실에서 분석한 영양염 농도의 차이는 우연오차(random error)보다는 계통오차(systematic error)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균질성과 안정성이 확보된 시료 131을 이용하여 각 실험실의 분석결과를 보정한 결과, 보정 후 실험실 간 차이는 모든 분석항목에서 상대표준편차와 상대백분율차이가 현저히 향상되었다.
해양에서 영양염은 무엇을 뜻하는가? 해양에서 영양염은 생명 현상의 필수 요소이자 해양에서 낮은 농도로 존재하여 해양의 일차 생산량을 좌우하는 제한 요소로서 질소, 인, 규소 등을 말한다. 해수 중 영양염의 분포는 해역, 계절, 수심 등에 따라서 달라지며, 해양생태계와 해수순환 그리고 해류의 변화 등 해양환경을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minot, A. and D. Kirkwood, 1995. Report of the results of the fifth ICES intercomparison exercise for nutrients in sea water. ICES, Copenhagen, ICES Cooperative Research Report No. 213, 79 p. 

  2. Aoyama, M. 2006. 2003 Intercomparison Exercise for Reference Material for Nutrients in Seawater in a Seawater Matrix. MRI, Tokyo, Technical reports of the meteorological research institute No. 50, 91 p. 

  3. Aoyama, M, J. Barwell-Clarke, S. Becker, M. Blum, E.S. Braga, S.C. Coverly, E. Czobik, I. Dahllof, M.H. Dai, G.O. Donnell, C. Engelke, G.C. Gong, G.-H. Hong, D.J. Hydes, M.M. Jin, R. Kerouel, M. Knockaert, N. Kress, K.A. Krogslund, S.S.C. Leterme, Y. Li, T.M. Moutin, G. Nausch, M.K. Ngirchechol, A. Nybakk, J. van Ooijen, J.M. Pan, C. Payne, O. Pierre-Duplessix, M. Pujo-Pay, T. Raabe, C. Schmidt, K. Saito, K. Sato, M. Schuett, T.M. Shammon, J. Sun, T. Tanhua, L. White, E.M.S. Woodward, P.J. Worsfold, P. Yeats, T. Yoshimura, A. Youenou, J.Z. Zhang, 2008. 2006 Inter-laboratory comparison study for reference material for nutrients in seawater. MRI, Tokyo, Technical reports of the meteorological research institute No. 58, 104 p. 

  4. Aoyama, M, C. Anstey, J. Barwell-Clarke, F. Baurand, S. Becker, M. Blum, S.C. Coverly, E. Czobik, F d'Amico, I. Dahllof, M. Dai, J. Dobson, O. Pierre-Duplessix, M. Duval, C. Engelke, G.-C. Gong, O. Grosso, A. Hirayama, H. Inoue, Y. Ishida, D. J. Hydes, H. Kasai, R. Kerouel, M. Knockaert, N. Kress, K. A. Krogslund, M. Kumagai, S.C. Leterme, C. Mahaffey, H. Mitsuda, P. Morin, T. Moutin, D. Munaron, A. Murata, G. Nausch, H. Ogawa, J. van Ooijen, J. Pan, G. Paradis, C. Payne, G. Prove, P. Raimbault, M. Rose, K. Saito, H. Saito, K. Sato, C. Schmidt, M. Schutt, T.M. Shammon, S. Olafsdottir, J. Sun, T. Tanhua, S. Weigelt-Krenz, L. White, E.M.S. Woodward, P. Worsfold, T. Yoshimura, A. Youenou, and J.-Z. Zhang, 2010. 2008 Inter-laboratory comparison study for a reference material for nutrients in seawater. MRI, Tokyo, Technical reports of the meteorological research institute, No. 60, 134 p. 

  5. Bindoff, N.L., J. Willebrand, V. Artale, A. Cazenave, J. Gregory, S. Gulev, K. Hanawa, C. L. Quere, S. Levitus, Y. Nojiri, C. K. Shum, L. D. Talley, A. Unnikrishnan, 2007. Observations: Oceaninc Climate Change and Sea Level. In: S Solomon, D Qin, M Manning, Z Chen, M Marquis, KB Averyt, M Tignor, HL Miller (eds)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nada, pp 385-433. 

  6. Clancy, V. and S. Willie, 2003. NOAA/NRC Intercomparison for Nutrients in Seawater. NOAA, Washington DC, NOAA Technical Memorandum NOS NCCOS CCMA 158, pp 32. 

  7. Dux, J.P. 1990. Handbook of Quality Assurance for the Analytical Chemistry Laboratory, 2nd edn.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203 p. 

  8. Gordon, L. I., J. C. Jennings, JR., A. A. Ross, and J. M. Krest, 1993. A suggested protocol for continuous flow automated analysis of seawater nutrients. In WOCE Operation Manual. WHP Office Report 90-1, WOCE Report 77, 68/91: 1-52. 

  9. ICES (International Council for the Exploration of the Sea), 1977. The International Intercalibration Exercise for Nutrient Methods. ICES, Copenhagen, ICES Cooperative Research Report No. 67. 44 p. 

  10. Kirkwood, D.S., A. Aminot, and M. Pettila, 1991. Report on the results of the fourth ICES Intercomparioson Exercise for Nutrients in Seawater. ICES, Copenhagen, ICES Cooperative Research Report, No. 174, 83 pp. 

  11. Koroleff, F., 1983. Report of the Working Group on Nutrients. In Second Biological Intercalibration Workshop, Ronne, Denmark. Baltic Sea Environment Proceedings 9: 82-87. 

  12. Koroleff, F. and Palmork, K.H. 1972. Report on the ICES/SCOR nutrient intercalibration experiment. ICES, Copenhagen, ICES CM/1972/C:21. 

  13. Ota, H., H. Mitsuda, M. Kimura, T. Kitao, 2010. Reference Materials for Nutrients in Seawater: Their Development and Present Homogeneity and Stability. In: Comparability of nutrients in the world's ocean, (Eds.) Aoyama, M., A.G. Dickson, D.J. Hydes, A. Murata, J.R. Oh, P. Roose, Woodward EMS, Tsukuba, pp. 11-30. 

  14. Taylor, J.K. 1987. Quality Assurance of Chemical Measurements. Lewis Publishers, Chelsea, 328 p. 

  15. Topping, G. 1997. QUASUMEME: quality measurements for marine monitoring. Review of the EU project 1993-1996. Mar. Pollt. Bull., 35: 1-21. 

  16. UNESC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09. 2009 International Nutrients Scale System (INSS) Workshop Report, UNESCO, Paris, France, 10-12 February, 2009, IOC Workshop Report No 224, UNESCO 2009, 43 p. 

  17. Willie, S. and Clancy, V. 2000. NOAA/NRC Intercomparison for Nutrients in Seawater. NOAA Technical Memorandum NOS NCCOS CCMA 143, 176 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