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C 및 GC/MS에 의한 벌꿀 중의 이·삼당류 정성 및 정량 특성과 개선된 동시분석방법의 확립
An Improved Analytical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Di- and Trisaccharides in Honey using GC and GC/M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7 no.1, 2015년, pp.27 - 36  

김종배 (대구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과) ,  장은숙 (대구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과) ,  김인숙 (대구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과) ,  이희진 (대구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과) ,  이혜정 (대구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과) ,  서현선 (대구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과) ,  박남표 (대구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벌꿀에 함유되어 있는 이 삼당류를 정성 및 정량하기 위하여 벌꿀분석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20개의 표준당류를 대상으로 TMS, TMS-oxime, TMS-methoxime 당류를 조제한 다음 GC 및 GC/MS에서 그들의 분리특성과 분리능을 조사하여 정성과 정량이 가능한 완전히 분리된 하나의 당류 피크를 선정하여 이를 벌꿀시료의 이당류와 삼당류 분석에 이용하는 것이다. 실험결과, 세가지 유도체화 당류들의 GC 및 GC/MS 분석에서 당류들은 정성 및 정량이 가능한 한 개 이상의 피크를 나타내었으며, 전반적인 당류들의 피크 분리능은 GC보다 GC/MS에서 좀 더 양호하게 나타났다. 최적 기기분석조건은 DB-5MSUI 컬럼을 사용하여, 초기 oven 온도를 $175^{\circ}C$에서 5분간 두고 $3^{\circ}C$씩 증가시킨 후 $245^{\circ}C$에서 20분간 머무르다가 $7^{\circ}C$씩 증가시킨 다음 $315^{\circ}C$에서 10분간 등온 분석할 때였다. 각각의 유도체화 조건에서 완전한 분리로 정량이 가능한 당류는 TMS 당류에서 sucrose, maltose (1), (2), cellobiose (1), (2), palatinose, ${\alpha},{\beta}$-trehalose, kojibiose (2), melibiose (1), (2), gentibiose, isomaltose (1), (2), raffinose, 1-kestose, erlose, melezitose였고, TMS-oxime 당류에서 sucrose, ${\alpha},{\alpha}$-trehalose, ${\alpha},{\beta}$-trehalose cellobiose (E), maltulose (E), turanose (Z), nigerose (Z), kojibiose (Z), palatinose (E), melibiose (Z), isomaltose (E), (Z)와 삼당류 전체였으며, TMS-methoxime 당류는 sucrose, cellobiose (E), maltulose (E), cellobiose (Z), turanose (E), maltose (Z), ${\alpha},{\alpha}$-trehalose, nigerose (E), (Z), kojibiose (E), (Z), gentibiose (E), melibiose (Z), isomaltose (Z) 등과 삼당류 전체로 나타났으며, 실제 벌꿀시료의 분석에서는 TMS-oxime과 TMS-methoxime 당류만으로도 이 삼당류의 정량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확립한 분석방법은 몇개의 당류들이 동시 용출 또는 유사한 $t_R$을 가짐으로 해서 분석자체에 애로가 있거나 분석 후 다중회귀분석프로그램과 같은 통계처리 과정을 거쳐야 하는 기존의 분석방법과는 달리, 한 개의 capillary 컬럼과 한가지 GC 온도 프로그래밍 조건으로 크로마토그램 상에서 완전히 분리된 하나의 피크를 정량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벌꿀을 연구하는 기관이나 관련 실험실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mproved analytical method with gas chromatography (GC) and GC-mass spectrometry was established to identify and quantify disaccharides and trisacchrides in honey. In this method, the analysis of trimethylsilyl (TMS), TMS-oxime and TMS-methoxime sugars takes into account the determination of a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벌꿀에 존재하는 이당류 및 삼당류의 보다 정확한 정성 및 정량분석을 위해 벌꿀에 함유된 당류 표준물질을 대상으로 3가지 유도체화(TMS, TMS-oxime, TMS-methoxime)를 실시하여 이들 당류들의 GC 및 GC/MS 분리특성과 최적 기기 분석조건을 면밀히 검토하고, 각각의 유도체화 조건에서 정성과 정량이 가능한 완전히 분리된 한 개의 개별 당류피크를 선정한 다음, 실제 벌꿀시료의 정량분석에서 이들 피크들을 이용하여 단지 내부표준법(internal standard method)만으로 개별 이· 삼당류 정량분석이 가능한 개선된 분석방법을 확립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벌꿀의 주성분은? 벌꿀의 주성분은 대부분 당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에 fructose와 glucose를 포함하는 단당류가 약 60-75%, 이당류를 포함한 올리고당류가 약 5-15% 정도 함유되어 있다. 이들 당류들은 다양한 밀원에서 수집된 자당을 포함한 여러 가지 당류들이 전화과정을 거쳐 주성분으로 fructose와 glucose를 만들고, 숙성과정을 거치면서 여러 가지 효소들의 작용과 acid reversion 등으로 서로 다른 위치와 형태에서 glycoside 결합을 이루는 구조적으로 매우 유사성이 높은 이당류와 올리고당류를 생성함으로서 벌꿀은 천연물 중에서 가장 복잡한 당류 조성을 가진 산물 중의 하나로 보고되고 있다(1,2).
벌꿀에 함유되어 있는 이당류와 올리고당류의 분석에는 어떤 방법이 사용되는가? 벌꿀에 함유되어 있는 이당류와 올리고당류의 분석은 전처리가 비교적 간편한 HPLC법(3-6)을 사용하고 있으나 벌꿀에 함유된 다양한 당류들을 완전히 분리하고 정량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capillary GC를 이용한 trimethylsilyl (TMS) ether 유 도체화 방법이 약간의 시약과 시간이 소요되는 전처리 과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TMS-oxime 유도체화 방법은 먼저 환원당류에 존재하는 anomeric 중심탄소의 안정을 위해 oxime화를 실시하고, 2단계로 TMS 유도체를 만들어 크로마토그램 상에 syn (E)과 anti (Z)-form과 같은 보다 간결한 2개의 이성질체를 생성함으로서 벌꿀의 당류 분석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7-15).
TMS-oxime 유도체화 방법을 활용하는데 어려움은? 하지만, 이러한 TMS-oxime 유도체 분석의 훌륭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실제 벌꿀시료의 분석 시 동시 용출되거나 유사한 tR을 가지는 수개의 이당류가 존재함으로써 해당 당류들의 정량을 어렵게 만든다. Gomez Barez 등(10)은 GC를 이용한 단당 및 올리고당류의 분석에서 이당류인 turanose (E), nigerose (E), maltose (E), turanose (Z)와 palatinose (E), kojibiose (Z) 피크가 겹쳐 분리됨을 보고하였고, 2개의 컬럼을 사용한 Sanz 등(14)의 연구에서도 비극성컬럼(SPB-1)에서는 20개 이상의 이당류 피크가 8개 부분에 걸쳐 overlap되고, 중간극성컬럼(Rtx-65TG)에서도 이와 유사한 양상을 나타낸다고 보고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Huidobro JF, Santana FJ, Sanchez MP, Sancho MT, Muniategui S, Simal-Lozano J. Diastase, invertase and beta-glucosidase activities in fresh honey from northwest Spain. J. Apic. Res. 34: 39- 44 (1995) 

  2. Echigo T, Ezawa M. Studies on the formation of honey sugars. III. Formation of 1-kestose by pollen invertase. Agr. Biol. Chem. Tokyo 48: 575-577 (1974) 

  3. Ouchemoukh S, Schweitzer P, Bey MB, Djoudad-Kadji H, Louaileche H. HPLC sugar profiles of Algerian honeys. Food Chem. 121: 561-568 (2010) 

  4. Gangola MP, Jaiswal S, Khedikar YP, Chibbar RN. A reliable and rapid method for soluble sugars and RFO analysis in chickpea using HPAEC/PAD and its comparison with HPLC/RI. Food Chem. 154: 127-133 (2014) 

  5. Roderick JW, Lise KB. The oligosaccharide composition of some New Zealand honeys. Food Chem. 64: 33-37 (1999) 

  6. Da Costa Leite JM. Trugo LC, Costa LSM Quinteiro LMC, Barth OM, Dutra VML, De Maria CAB. Determination of oligosaccharides in Brazilian honeys of different botanical origin. Food Chem. 70: 93-98 (2000) 

  7. Bartolozzi F, Bertazza G, Bassi D, Cristoferi G. Simultaneous of soluble sugars and organic acids their trimethylsilyl derivatives in apricot fruits by gas-liquid chromatography. J. Chromatogr. A 758: 99-107 (1997) 

  8. Adams MA, Chen Z, Landman P, Colmer TD. Simultaneous determination by capillary gas chromatography of organic acid, sugar and sugar alcohol in plant tissue extracts as their trimethylsilyl derivatives. Anal. Biochem. 266: 77-84 (1999) 

  9. Horvath K, Molmir-Perl I. Simultaneous quantitation of mono-, di- and trisaccharides by GC-MS of their TMS ether oxime derivatives: II. In honey. Chromatographia 45: 328-335 (1997) 

  10. Gornez Barez JA, Garcia-Villanova RJ, Elvira Garcia S, Gonzalez Paramfis AM. Optimization of the capillary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of mono- and oligosaccharides in Honeys. Chromatographia 50: 461-469 (1999) 

  11. Molngr-Perl I, Horvgth K. Simultaneous quantitation of mono-, di- and trisaccharides as their TMS ether oxime derivatives by GC-MS: I. In model solutions. Chromatographia 45: 321-327 (1997) 

  12. Sanz ML, Sanz J, Marffnez-Castro I. Characterization of O-trimethylsilyl oximes of disaccharides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Chromatographia 56: 617-622 (2002) 

  13. Sanz ML, Diez-Barrio MT, Sanz J, Martnez-Castro I. GC behavior of disaccharide trimethylsilyl oximes. J. Chromatogr. Sci. 41: 205-208 (2003) 

  14. Sanz ML, Sanz J, Ruiz-Matute I. Gas chromatographic-mass spectrometric method for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disaccharides and trisaccharides in honey. J. Chromatogr. A 1059: 143-148 (2004) 

  15. Ruiz-Matute AI, Beaki M, Soria AC, Snaz ML, Martinez-Castro I. Gas chromatographic-mass spectrometric characterization of triand tetrasaccharides in honey. Food Chem. 120: 637-642 (2010) 

  16. Fuente EDI, Sanz ML, Mart ez-Castro I, Sanz J. Development of a robust method for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disaccharides in honey by gas chromatography. J. Chromatogr. A 1135: 212-218 (2006) 

  17. Fuente E, Ruiz-Matute AI, Valencia-Barrera RM, Sanz J, Martinez-Castro I. Carbohydrate composition of Spanish unifloral honeys. Food Chem. 129: 1483-1489 (2011) 

  18. Rodriguez- Sanchez S, Sanz ML, Martinez-Castro I. Derivatization of carbohydrates for GC and GC-MS analyses. J. Chomatogr. B 879: 1226-1240 (2011) 

  19. Doner LW, White JW Jr, Phillips JG. Gas-liquid chromatographic test for honey adulteration by high fructose corn syrup. J. Assoc. Off. Anal. Chem. 62: 186-189 (1979) 

  20. Paulin N, Wahjudi ME, Patterson, SL, Jennifer KY, Catherine S, Mao WN, Lee WNP. Measurement of glucose and fructose in clinical samples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Clin. Biochem. 43: 198-207 (2010) 

  21. Huang Xin, Gong Yi-Fei, Yu Ke, Cheng Yi-Yu.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based on metabonomics study of carbon tetrachloride-induced acute liver injury in mice. Chin. J. Anal. Chem. 35(12): 1736-1740 (2007) 

  22. Montilla A, Ruiz-Matute AI, ,Sanz ML Martnez-Castro I, del Castillo MD. Difructose anhydrides as quality markers of honey and coffee. Food Res. Int. 39: 801-806 (2006) 

  23. Manley-Harris M, Richards GN. Di-d-fructose dianhydrides and related oligomers from thermal treatments of inulin and sucrose. Carbohyd. Res. 287: 183-202 (1996) 

  24. Kamering JP, Vliegenthart JFG. Mass spectrometry of pertrimethylsilyl aldosyl oligosaccharides. Tetrahedron 27: 4275-4288 (1971) 

  25. Kamering JP, Vliegenthart JFG. Mass spectrometry of pertrimethylsilyl oligosaccharides containing fructose units. Tetrahedron 28: 4375-4387 (1972) 

  26. Ruiz-Matute AI, Sanz ML, Martinez-Castro I. Use of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or identification of new disaccharide in honey. J. Chromatogr. A 1157: 480-483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