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전통 음료의 문헌적 고찰 및 조리법 연구 - 수정과(水正果)를 중심으로 -
Literature Review of Korean Traditional Beverage Recipes - Focus on Sujeonggwa -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0 no.1, 2015년, pp.8 - 19  

최남순 (배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jeonggwa" is a traditional korean beverage made from dried persimmon, cinnamon, and ginger and is often garnished with pine nu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ingredients, recipes, and processing of "sujeonggwa" in Korean cookbooks published since 1400. The name suj...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련수정과라는 명칭은 아니지만 순정과와 가련화채도 에 함께 포함시킨 이유는 가련수정과와 재료와 제조방법이 매우 유사하여 음료간의 관계와 명칭의 변화를 좀 더 명확하게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첨부하였다.
  • 수정과의 재료 및 제조방법의 변화 연구를 위해 1400년대이후의 문헌 중 수정과에 관한 기록이 있는 고조리서, 식생활 관련 문헌 등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한문으로 기록된 문헌의 경우 번역본을 이용하되 번역본의 경우는 원본의 내용과의 비교 · 확인함으로써 고문헌 원문의 내용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유의하였다.
  • 또한 제조공정에 대한 조리모형의 작성을 통해 재료 및제조방법의 변화를 시대별로 분류하고 이를 고찰하였다. 음청류의 역사적 변화과정을 고찰함으로써 사라져가는 우수한전래 음청류의 맥을 잇고 현대의 기호와 식생활 양식에 맞게 제품으로 개발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사라져가는 전통음료의 계승과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1400년대 이후부터 현대까지의 문집이나, 고조리서 등을 중심으로 수정과에 대한 기록과 유래, 사용된재료와 국물의 base, 그리고 제조방법의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제조공정에 대한 조리모형의 작성을 통해 재료 및제조방법의 변화를 시대별로 분류하고 이를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 조상들은 계절에 따라 음료를 달리 마셨으며, 음료 문화가 매우 발달했음을 보여주는 기록 내용에는 무엇이 있는가?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계절에 따라 음료를 달리하여 마셨으며, 음료문화가 매우 발달했음을 보여주는 기록이 많이 나타난다. 「Geugonyoram (閨要覽)」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ed. 2010)에서 “2~3월에는 참꽃[진달래꽃] 화채, 4~5월에는 앵두화채, 6~7월에는 복숭아화채, 8~9월에는 식혜에 국화 띄워 놓고, 동지섣달에는 배숙, 정이월에는 수정과”라 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통해 마시는 음료가 매우 다양하였고, 수정과는 대개정월에 마셨던 것을 알 수 있다.
수정과는 어떤 재료를 넣어 만든 음료인가? 우리나라에서 전래되어 온 전통음료는 크게 오미자에 녹말묵이나 녹말가루를 진달래꽃에 묻혀 살짝 삶아 건진 것 등을 넣어 만든 것, 화채류, 수정과류, 수단류, 차류 등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Kim 2004). 수정과는 얇게 저민 생강과 계피를 끓여서 식힌 후 여기에 곶감을 넣어 맛이 우러나도록 만든 음청류이다. 생강과 계피를 끓인 물에 추출하면서 생성되는 독특한 향과 기능성분을 함유하게 되어 맛 뿐만 아니라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라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에 화채, 밀수, 식혜, 수정과 등의 음청류가 발달하게 된 배경은?   조선시대에는 숭유억불(崇儒抑佛)정책으로 인해 불교의 쇠퇴와 함께 차(茶)문화가 쇠퇴되고, 차 대신에 화채, 밀수, 식혜, 수정과 등의 음청류가 발달하게 되었다(Lee 2005). 그러나 Kim (2005)의 전통 음료에 대해 연구한 바에 의하면 최근 전체 음료시장에서 우리 전통음료 시장은 극히 일부에 불과한 실정이며, 신세대가 알고 있는 전통음료는 식혜, 수정과, 쌀음료 등 몇 가지에 불과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Eumsigbangmun (飮食方文) the mid 1800s 

  2. Kunhakhoedeung (群學會騰) the mid 1800s 

  3. Kyugonyoram (閨要覽). 1896. I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editor. 201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yeonggi-do, Korea 

  4. Seungjeongwon Ilgi (承政院日記)1-20. In: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editor. 2006. Korea Classics Database 

  5. Sieuijunseo (是議全書). End of 1800's. In: Lee HJ editor. 2004. Shinkwang Publishers, Seoul, Korea 

  6. Sunchomujajinjaguigwe (純祖戊子進爵儀軌)1828. In: Lee YK editor. 2006. Bogosa, Seoul, Korea 

  7. Yoon's Umsikbup (尹氏飮食法)1854 

  8. Bang SY. 1917. Josun yorijebup (朝鮮料理製法) In: Lee SW editor. Hankook Gomunhunjipsung (韓國古文獻集成). 1992. Suhaksa, Seoul, Korea 

  9. Bang SY. 1957. Woorinara umsikmandenenbup. Jangchung Co., Seoul, Korea 

  10. Chang CH. 2008, Study on the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Jokwaryu (韓國 傳來 造菓類 製造史 硏究). Soohaksa, Seoul, Korea 

  11. Choi SA, Jung LN. 2011. The culinary review of sujeonggwa. Abstracts of international symposium and annual meeting. Korean society of Food and Science and Nutrition, Seoul, Korea. pp 436 

  12. Choi YN. 1925. Haedongjukji (海東竹枝). Janghaksa, Seoul 

  13. Choi YN. 1925. Joseondaesesigi 1-4. Haedongjukji (海東竹枝). In: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editor. 2003-2007.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Seoul, Korea, pp 295 

  14. Han HS, Hwang HS, Lee HK. 1957. Leejokungjungyoritongko (李朝宮廷 料理通攷). Hakchongsa, Seoul, Korea 

  15. Hong SM. 1849. Donggooksesigi (東國歲時記). In: Lee SH editor. 1982. Daeyang Books, Seoul, Korea 

  16. Hwang HS, 1976. Hankook yoribaekkwasajun (韓國料理百科事典). Samjungdang, Seoul, Korea 

  17. Jo JH. 1943. Josun Yoribup (朝鮮料理法) In: Lee SW editor. Hankook Gomunhunjipsung (韓國古文獻集成). 1992. Suhaksa, Seoul, Korea 

  18. Kang IH. 1987. Hankook's Mat. Daehangyogwaseo Co. Ltd., Seoul, Korea 

  19. Kim HJ. 2005, The survey of beverage preference and sales trends. Master's degree thesis, Sukmyung University, Seoul, Korea 

  20. Kim NM, Kim DH. 2000. Quality Change of Cinnamon Extract Prepared with Various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 Nutr., 13(2):152-157 

  21. Kim SB. 2004, The reality of Royal Banquet Dishes of Joseon Dynasty (朝鮮王朝 宮中宴會食 儀軌飮食의 實際), Suhak Co. Ltd., Seoul, Korea, p 306 

  22. Lee HJ. 2005. The taste and Mut of Korean foods. Shinkwang Publishers, Seoul, Korea 

  23. Lee JG, Jang HJ, Kwag JJ, Lee DW. 2000. Comparison of the Volatile Components of Korean Ginger (Zingiber officinal Roscoe)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Korean J. Food & Nutr., 13(1):66-70 

  24. Lee SW. 1984. The history of Korean food and society (韓國食品社會史) Kyomunsa, Seoul, Korea 

  25. Lee YJ, Byun GI. 2006. A Study on the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f Korean Traditional Beverages. Korean J. Food Culture, 21(1):8-16 

  26. Lee YK. 1930. Josunmussangsinsikyorijebup (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In: Lee SW editor. Hankook Gomunhunjipsung (韓國古文獻集成). 1992. Suhaksa, Seoul, Korea 

  27. Pinghugak Lee (憑虛閣 李氏). 1809. Kyuhapchongseo (閨閤叢書)In: Jung YW editor. 1987. Bojinjea Co., Kyongggido, Korea 

  28. Seo JH, Sung TH, Kim MR.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jongkw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5):370-378 

  29. Seo YK. 1827. Iimwonsibyukji (林園十六志) Jungjoji(鼎俎 志). In: Lee HJ, Cho SH, Jung RW, Cha GH. editor. 2007. Gyomunsa, Paju 

  30. Yoo JL. 1766. Jeungbosanlimgyeongje (增補山林經濟). In: Lee KJ editor. 2003. Shinkwang Publishers, Seoul, Korea 

  31. http://sillok.history.go.kr 

  32. http://www.itkc.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