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전북지역 교사의 비만도에 따른 체중조절 행동, 식습관 및 건강관련 생활습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eight Control Behaviour, Eating Habits and Health-related Life Habits According to Obesity Degree of Teacher in Jeonbuk Province, Korea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0 no.1, 2015년, pp.105 - 117  

장혜순 (군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weight control behaviour, eating habits, and health-related life habits according to degree of obesity among normal, overweight, and obese groups. Self-perception of weight and desire for weight control in males (p<0.001) and females (p<0.001) varied among th...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본인의 남녀 교사를 대상으로 한 체지방률 기준 비만도에 따른 영양소 섭취와 혈중지질에 관한 연구(Chang 2012)인 선행연구에 이어서 비만도 분류에 따라 체중조절 행동, 식습관, 건강관련 생활습관에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조사하고, 선행연구에서 분석된 신체계측치와 섭취식품에 대한 식습관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봄으로서 비만도에 따른 식습관과 건강관련 생활습관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는 식행동의 개선을 통한 올바른 식행동 정립으로 비만 이환율을 낮추고 이에 따라 만성퇴행성질환 예방 또는 유병률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건강교육과 영양교육 프로그램에 도움을 주고 올바른 다이어트와 체형관리에 대한 영양교육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본인의 남녀 교사를 대상으로 한 체지방률 기준 비만도에 따른 영양소 섭취와 혈중지질에 관한 연구(Chang 2012)인 선행연구에 이어서 비만도 분류에 따라 체중조절 행동, 식습관, 건강관련 생활습관에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조사하고, 선행연구에서 분석된 신체계측치와 섭취식품에 대한 식습관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봄으로서 비만도에 따른 식습관과 건강관련 생활습관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는 식행동의 개선을 통한 올바른 식행동 정립으로 비만 이환율을 낮추고 이에 따라 만성퇴행성질환 예방 또는 유병률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건강교육과 영양교육 프로그램에 도움을 주고 올바른 다이어트와 체형관리에 대한 영양교육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방합성 억제호르몬의 분비감소는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40대 이상의 주요 사망원인인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당뇨병, 간질환 등의 만성 퇴행성질환과 고혈압에 대한 유병률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Nam et al. 2003;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2), 또한 가령에 따른 지방합성 억제호르몬의 분비감소는 근육량 감소와 체지방량 증가라는 체성분의 변화를 진행시켜 복부와 내장의 지방 축적으로 인한 복부비만의 발생으로 성인병의 발생 위험도를 증가시킨다(Kim & Kim 2002; Moon & Kim 2005). 비만의 효과적 관리를 위해서는 비만을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며 비만 판정에 주로 쓰이는 체지방의 분포양상은 대사성 증후군의 발생률과 높은 관련성이 지적되었다(Kim et al.
40대 이상의 주요 사망원인은 무엇인가? 40대 이상의 주요 사망원인인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당뇨병, 간질환 등의 만성 퇴행성질환과 고혈압에 대한 유병률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Nam et al. 2003;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2), 또한 가령에 따른 지방합성 억제호르몬의 분비감소는 근육량 감소와 체지방량 증가라는 체성분의 변화를 진행시켜 복부와 내장의 지방 축적으로 인한 복부비만의 발생으로 성인병의 발생 위험도를 증가시킨다(Kim & Kim 2002; Moon & Kim 2005).
비만관리가 필요한 비만인들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의 비만도 분류는 체지방률을 적용하였다. 비만인은 일반적으로 식습관 및 식이섭취 실태가 정상인에 비하여 불규칙적이고, 식사속도가 빠르며, 짜게 먹고, 간식으로부터의 섭취 열량이 높았다. 특히 고 열량, 고당질 식품을 선호하고 지방과 콜레스테롤의 섭취는 많았으나, 비타민이나 무기질의 함량이 많고 식이섬유소 함량이 높은 과일과 채소류는 부족하게 섭취하고 있었으며, 신체 활동량이 정상인에 비해 적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im et al. 2005b;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iospace. 2005. Examination of body composition. Diagnosis and measure of obesity. Biospace, Korea, pp 31 

  2. Chang HS. 2010. Nutrient intakes and blood lipids according to obesity degree by body fat percentage among middleaged women in Gunsan city. Korea J. Community Nutr., 15(1):15-26 

  3. Chang HS. 2012. A study of nutrient intakes, blood lipids and bone mineral density according to obesity degree by percentage of body fat and age among male and female teacher in Jeonbuk province,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17(1): 49-68 

  4. Chang HS, Kim MR. 2006. A study on body composition and food behaviour of middle-aged men living in Jeonbuk province by percentage of body fat. Korean J. Community Nutr., 11(1):72-82 

  5. Jung SL, Lee SH, Huh MD. 2009. Effects of aerobic exercise and combined aerobic exercise with muscle strength exercise program on body fat distribution in obese women. J. Sport Leis. Stud., 35(2):881-888 

  6. Kim DJ, Kwon CK, Choi DJ, Ka KH, Kim TM, Kim BT, Lee BK, Hwang JH, Ann ES, Kim DY. 2009. Effects of nutritional education and exercise intervention on improvement of diet intakes and metabolic risk factors in obese middle aged women. J Exerc. Nutri. Biochem, 13(3):179-184 

  7. Kim JY, Jee JH, Kim HJ, Lee BW, Chung YJ, Chung JH, Min YK, Lee MS, Lee MK, Kim KW. 2005a. Effects of aging and obesity on insulin secretion and sensitivity. Kor. Diabetes Assoc., 29(1):39-47 

  8. Kim KJ, Lee WJ, Lee SJ, Ahn NY, Oh HR, Shin YJ, Park JS, Hong CB, Kim SH, Kim EM, Lee JE, Kim EJ, Jang JS. 2005b. Health status and lifestyle including diet, fat distribution in adult men. Kor. Sport Res., 14(5):1529-1540 

  9. Kim OH, Jung HN, Kim JH. 2007. Comparison of food intakes and serum lipid levels in overweight and obese women by body mass index. Korean J. Community Nutr., 12(1):40-49 

  10. Kim SH. 1998. Resting metabolic rate and body fat changes following weight loss by continuous aerobic exercise. Korean J. Soc Aerobic. Exerc., 2(1):41-47 

  11. Kim SK, Sunwoo JG. 2007. The analysis of the dietary factors related to climacteric symptoms in middle-aged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12(1):25-39 

  12. Kim YH, Kim YN. 2002. A study on body mass index and associated factors of the middle aged women in small city. Korean J. Community Nutr., 7(4):506-515 

  13. Ko SK. 2005. The effect of BMI and %Fat as an obesity index on the diagnosis of lipoprotein in adult men. Sport Sci., 14(1):21-30 

  14. Koo JO, Park SY. 2011. Analysis of BMI, body composition, weight control, dietary behaviors of adult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16(4):454-465 

  15. Lee BS. 2007. Changes in body composition, health status, and dietary behavior for middle-aged obese women in a weight control program at a community health center. Korean J. Food & Nutr., 20(4):433-439 

  16. Lee JE. 2006. Study on the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 by obesity in Korean adults. Fam. Environ. Res., 44(10):67-77 

  17. Lee JS, Lee HO, Yim JG, Kim YG, Choue RW. 2005. Effects of medical nutrition therapy on changes of anthropometric measurements, dietary pattern and blood parameters in over weight or obese women. Korean J. Nutr., 38(6):432-444 

  18. Lee JW, Lee MS, Kim JH, Son SM, Lee BS. 2011. Nutritional Assessment. 3rd ed. Kyomunsa, Korea, pp 128 

  19. Lee MS. 2004. The characteristics of dietary habits of obese, over weight or normal subjects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9(2):167-172 

  20. Lee YA, Kim KN, Chang NS. 2008.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weight control and diet quality in middleaged women. Korean J. Nutr., 41(1): 54-64 

  21. Moon HK, Kim EG. 2005. Comparing validity of using body mass index, waist to hip ratio, and waist circumference to cardiovascular risk factors of middle aged Koreans. J. Korean Diet. Assoc., 11(3):365-374 

  22. Nam JH. 2006. Effect of weight control program on obesity degree and blood lipid levels among middle-aged obese women. Korean J. Food & Nutr., 19(1):70-78 

  23. Nam KH, Shin MS, Yoo JH, Bae JJ, Lee SH, Kim SS, Hong YS, Byun JJ, Park HK. 2003. The effect of exercise program during 16 weeks on leptin, HbA1c, BMI and body composition in middle aged men with obesity and NIDDM. J. Sport Leisure Studies, 20(2):1115-1126 

  24. Oh SI, Park SK, Hwang YS. 2008. The effects of dance sports and diet control on body composition and obesity related factors of middle-aged obese women. J. Sport Leisure Studies, 34(2):1127-1134 

  25. Park BS. 2009. The Study on walking program of public health center for obesity women. J. Sport Leisure Studies, 35(1):343-350 

  26. Segal KR, Dunaif A, Gutin B. 1987. Body composition, not body weight, is related to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sex hormones in men. J. Clin. Invest., 80:1050-1055 

  27. Sum CF, Wang KW, Choo DCA. 1994. The effect of a 5-month supervised program of physical activity on anthropometric indices, fat-free mass and resting energy expenditure in obese male military recruits. Metabolism, 43:1148-1152 

  28. Won YD, Cho WJ, Moon HH. 2009. The effect of walking program o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d change of blood components in obese middle-aged women. J. Sport Leisure Studies, 37(2):1141-1150 

  29. Yoo HS, Park SH, Byun JC. 2005. Effects of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acute inflammatory markers and t-PA and cholesterol levels in obese men. Kor J. Phys. Edu., 44(4):323-335 

  30. Yoon YS. 2000. A study on the effects of obesity management for reducing body fat. J. Kor. Soc. Cosm, 6(1):165-187 

  31. Yoon YS. 2004. Obesity of women; Background of epidemiology.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04 Spring scientific conference, Korea, pp 211-224 

  32. Yun IS, Jung SJ, Park JE, Cha YS. 2007. A study on food habit and nutrition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Jeonbuk area. Korean J. Hum. Ecol., 10(1):71-80 

  33.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3). 2010. Korea Health Statistics 2009-Available from http://www.knhanes.cdc.go.kr [accessed 27 Aug 2014] 

  34.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2012. Korea Health Statistics 2012-Available from http://www.knhanes.cdc.go.kr [accessed 27 Aug 2014] 

  35.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2. The results statistical death and cause of death. Available from http://www.nso.go.kr [accessed 27 Aug 2014] 

  36. KSSO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07. Available from http://www.kosso.or.kr [accessed 27 Aug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