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남녀 대학생의 소변 중 Salt Signal로 추정한 소금 섭취량에 따른 소금 섭취 관련 식태도, 식행동, 영양지식에 관한 연구
Salt-Related Dietary Attitudes,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of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Estimated Salt Intake Using Urinary Salt Signal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2, 2015년, pp.226 - 233  

김미현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민다운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은경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연지영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영양안전국 영양안전정책과) ,  김종욱 (식품의약품안전처 기획조정관 국제협력담당관실) ,  배윤정 (신한대학교 식품조리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성인기 초반에 있는 대학생 118명을 대상으로 나트륨 섭취를 간단하게 평가할 수 있는 소변 중 salt signal을 사용하여 나트륨 섭취량을 추정하고 이에 따른 나트륨 섭취 관련 식행동 및 식태도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령 및 신체계측 분석 결과 소변 중 salt signal에 따른 과잉섭취군의 경우 남자 대상자의 비율이 적정섭취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수축기혈압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체질량지수는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생활습관 조사 결과 과잉섭취군의 경우 음주를 하는 비율이 적정섭취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나트륨 관련 식태도에 대해 분석한 결과 11가지 항목에 대한 식태도 총 점수는 적정섭취군과 과잉섭취군에서 각각 35.50점과 33.45점으로 적정섭취군이 과잉섭취군에 비해 긍정적인 나트륨 관련 식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나트륨 관련 식행동에 대해 분석한 결과 식행동 총점은 소변 중 salt signal에 따른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나트륨 관련 영양지식을 조사한 결과 나트륨 관련 영양지식 총점에서 12점 만점 중 적정섭취군이 9.77점으로 과잉섭취군의 8.82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P<0.05). 소변 중 salt signal과 나트륨 관련 식태도, 식행동 및 영양지식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연령, 성별 및 체질량지수를 보정했을 때 소변 중 salt signal에 따른 소금 함량은 나트륨 관련 식태도 총점과 음의 관련성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대학생에서 소변 중 salt signal에 따라 과다한 소금 섭취를 보인 대상자의 경우 적정섭취를 보인 대상자에 비해 나트륨 관련 식태도가 좋지 않고 영양지식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소변 중 salt signal로 추정한 나트륨 섭취와 나트륨 관련 식행동과의 관련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alt-related dietary attitudes,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according to urinary salt signal of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urinary salt signal, we classified subjects into an "adequate Na intake (ANI)" group (n=52) (salt ${\leq}6g$)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성인기 초반에 있는 대학생 118명을 대상으로 나트륨 섭취를 간단하게 평가할 수 있는 소변 중 salt signal을 사용하여 나트륨 섭취량을 추정하고 이에 따른 나트륨 섭취 관련 식행동 및 식태도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령 및 신체계측 분석 결과 소변 중 salt signal에 따른 과잉섭취군의 경우 남자 대상자의 비율이 적 정섭취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수축기혈압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성인기 초반에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나트륨 섭취를 간단하게 평가할 수 있는 소변 중 salt signal을 사용하여 나트륨 섭취량을 추정하고 이에 따른 나트륨 관련 식태도, 식행동, 영양지식 등을 조사하였다. 아침 첫 소변 중 salt signal에 따라 적정섭취군(6 g 이하)으로 분류된 대상자의 경우 과잉섭취군(6 g 초과)에 비해 음주를 하는 비율이 낮았고 나트륨 관련 식태도 및 영양지식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소변 중 salt signal에 따른 소금 함량은 나트륨 관련 식태도와 유의적인 음의 상관성을 보여 아침 첫 소변으로 검사한 salt signal로 추정한 나트륨 섭취와 나트륨 관련 식행동과의 관련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 또한 중년층에 비해 성인기 초반의 젊은 층의 경우 외식, 배달음식, 라면 등 나트륨 함유량이 높은 음식의 섭취가 높다는 선행연구들도 보고되고 있다(17).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인기 초반에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나트륨 섭취를 간단하게 평가할 수 있는 소변 중 salt signal을 사용하여 나트륨 섭취량을 추정하고, 나트륨 섭취 관련 식행동 및 식태도를 조사하여 나트륨 섭취 감소 프로그램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대학생에서 소변 중 salt signal에 따라 과다한 소금 섭취를 보인 대상자의 경우 적정섭취를 보인 대상자에 비해 나트륨 관련 식태도가 좋지 않고 영양지식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소변 중 salt signal로 추정한 나트륨 섭취와 나트륨 관련 식행동과의 관련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인 사망원인 통계에 따른 결과는? 2012년 한국인 사망원인 통계에 의하면 사망원인 1위는 악성신생물(암)(27.6%)이 차지하였으며, 2위 심장질환 9.9%, 3위 뇌혈관질환 9.6%, 4위 당뇨병 4.3%의 순으로 나타나 암, 심혈관질환 등 만성질환으로 인한 건강 위험이 큰 것으로 보인다(1). 이와 같은 만성질환들은 유전적 인자, 신체활동 정도, 음주, 흡연 등의 환경적 인자와 열량 섭취의 과다, 동물성 지방, 콜레스테롤, 나트륨 등의 과잉섭취, 식이섬유소, 칼슘 등의 섭취 부족 등과 같은 식이성 인자의 상호작용으로 유발될 수 있다.
나트륨 측정을 위해 24시간 소변 검사법대신 spot urine을 이용하는 이유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2006년부터 정확한 나트륨 섭취 정도의 평가를 위해서 24시간 소변 검사법을 “gold standard”로 추천하고 있다(12). 그러나 실질적으로 24시간 동안의 소변 채집의 어려움 때문에 24시간 소변 중 나트륨 함량과 상관성이 높은 spot urine을 이용한 나트륨 섭취량 측정도 사용되고 있다(13,14). Salt signal은 소변 중 식염 농도의 측정을 위해 개발된 도구로 소변에 salt signal(strip 형태)을 담근 후 색의 변화에 따라 전일 소금 섭취량을 추정할 수 있다.
만성질환들의 원인은 무엇인가? 3%의 순으로 나타나 암, 심혈관질환 등 만성질환으로 인한 건강 위험이 큰 것으로 보인다(1). 이와 같은 만성질환들은 유전적 인자, 신체활동 정도, 음주, 흡연 등의 환경적 인자와 열량 섭취의 과다, 동물성 지방, 콜레스테롤, 나트륨 등의 과잉섭취, 식이섬유소, 칼슘 등의 섭취 부족 등과 같은 식이성 인자의 상호작용으로 유발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Statistics Korea. 2013. A statistical table of the cause of death, 2012. Statistics Korea, Daejeon, Korea. 

  2. Chobanian AV, Hill M. 2000.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workshop on sodium and blood pressure: a critical review of current scientific evidence. Hypertension 35: 858-863. 

  3. Fonseca-Alaniz MH, Brito LC, Borges-Silva CN, Takada J, Andreotti S, Lima FB. 2007. High dietary sodium intake increases white adipose tissue mass and plasma leptin in rats. Obesity (Silver Spring) 15: 2200-2208. 

  4. Neeland IJ, Turer AT, Ayers CR, Powell-Wiley TM, Vega GL, Farzaneh-Far R, Grundy SM, Khera A, McGuire DK, de Lemos JA. 2012. Dysfunctional adiposity and the risk of prediabetes and type 2 diabetes in obese adults. JAMA 308: 1150-1159. 

  5. Yoon YS, Oh SW. 2013. Sodium density and obesity;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0. Eur J Clin Nutr 67: 141-146. 

  6. Park B, Shin A, Park SK, Ko KP, Ma SH, Lee EH, Gwack J, Jung EJ, Cho LY, Yang JJ, Yoo KY. 2011. Ecological study for refrigerator use, salt, vegetable, and fruit intakes, and gastric cancer. Cancer Causes Control 22: 1497-1502. 

  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hungbuk, Korea. p 484-524. 

  8.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Korea. p xxviii. 

  9. Lee HS, Duffey KJ, Popkin BM. 2013. Sodium and potassium intake patterns and trends in South Korea. J Hum Hypertens 27: 298-303. 

  10. Son SM, Huh GY, Lee HS. 2005.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validity of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DFQ) and short DFQ using Na index for estimation of habitual sodium intake. Korean J Community Nutr 10: 677-692. 

  11. Son SM, Park YS, Lim WJ, Kim SB, Jeong YS. 2007.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validity of short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DFQ) for estimation of habitual sodium intake for Kore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12: 838-853. 

  12.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6. Less salt, less risk of heart disease and stroke. Report of a WHO Forum and Technical Meeting. Geneva, Switzerland. 

  13. Tanaka T, Okamura T, Miura K, Kadowaki T, Ueshima H, Nakagawa H, Hashimoto T. 2002. A simple method to estimate populational 24-h urinary sodium and potassium excretion using a casual urine specimen. J Hum Hypertens 16: 97-103. 

  14. Ilich JZ, Blanusa M, Orli? ZC, Orct T, Kostial K. 2009. Comparison of calcium, magnesium, sodium, potassium, zinc, and creatinine concentration in 24-h and spot urine samples in women. Clin Chem Lab Med 47: 216-221. 

  15. Jung EJ, Shim E. 2008. Salt-related dietary behaviors and sodium intakes of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578-588. 

  16. Lee KA. 2014. Salt-related dietary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buk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1122-1131. 

  17. Park YS, Son SM, Lim WJ, Kim SB, Chung YS. 2008.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sodium intake by gender and age. Korean J Community Nutr 13: 1-12. 

  18. Lee YK, Son SM, Lee JJ, Lee HJ, Shin EK, Park MJ. 2007. A study on a scheme to reduce sodium intake, report of management center for health promotion. Report of Korean Health Promotion Center, Seoul, Korea. 

  19. Kim HH, Jung YY, Lee YK. 2012. A comparison of salty taste assessments and dietary attitudes and dietary behaviors associated with high-salt diets in four regions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17: 38-48. 

  20. Sarmugam R, Worsley A, Wang W. 2013. An examination of the mediating role of salt knowledge and belief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discretionary salt use: a cross-sectional study. Int J Behav Nutr Phys Act 10: 25. 

  21. Shatenstein B, Nadon S, Godin C, Ferland G. 2005. Diet quality of Montreal-area adults needs improvement: estimates from a self-administere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urnishing a dietary indicator score. J Am Diet Assoc 105: 1251-1260. 

  22. Yi SS, Kansagra SM. 2014. Associations of sodium intake with obesity,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and weight. Am J Prev Med 46: e53-e55. 

  23. Koliaki C, Katsilambros N. 2013. Dietary sodium, potassium, and alcohol: key players in the pathophysiology,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uman hypertension. Nutr Rev 71: 402-411. 

  24. Duffy VB, Peterson JM, Bartoshuk LM. 2004. Associations between taste genetics, oral sensation and alcohol intake. Physiol Behav 82: 435-445. 

  25. Rittmueller SE, Corriveau A, Sharma S. 2012. Dietary quality and adequacy among Aboriginal alcohol consumers in the Northwest Territories, Canada. Int J Circumpolar Health 71: 17341. 

  26. Konstantinidis I, Chatziavramidis A, Printza A, Metaxas S, Constantinidis J. 2010. Effects of smoking on taste: assessment with contact endoscopy and taste strips. Laryngoscope 120: 1958-1963. 

  27. Dyer AR, Elliott P, Stamler J, Chan Q, Ueshima H, Zhou BF. 2003. Dietary intake in male and female smokers, exsmokers, and never smokers: the INTERMAP study. J Hum Hypertens 17: 641-654. 

  28. Perron M, Endres J. 1985. Knowledge, attitudes, and dietary practices of female athletes. J Am Diet Assoc 85: 573-576. 

  29. Takachi R, Ishihara J, Iwasaki M, Ishii Y, Tsugane S. 2014. Self-reported taste preference can be a proxy for daily sodium intake in middle-aged Japanese adults. J Acad Nutr Diet 114: 781-787. 

  30. Lallukka T, Laaksonen M, Rahkonen O, Roos E, Lahelma E. 2007. Multiple socio-economic circumstances and healthy food habits. Eur J Clin Nutr 61: 701-710. 

  31. Papadakis S, Pipe AL, Moroz IA, Reid RD, Blanchard CM, Cote DF, Mark AE. 2010.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urs related to dietary sodium among 35- to 50-year-old Ontario residents. Can J Cardiol 26: e164-e169. 

  32. Jang JY, Kim MJ, Han JS. 2009. A study on food frequency,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the elderly who intake high sodi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362- 13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