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계 석탄층메탄가스(CBM) 개발전망
Prospects for Worldwide CBM(Coalbed Methane) Development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8 no.1, 2015년, pp.65 - 75  

김영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ReSEAT 프로그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980년 중반에 개발된 석탄층메탄가스(Coalbed Methane) 개발기술은 석탄층에 흡착된 메탄가스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다. CBM은 개발이 쉽고 매장량도 풍부하다. 따라서 CBM 산업은 온실가스 배출규제에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자원으로서의 잠재력이 매우 크다. 석탄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메탄가스 폭발에 대비한 선행적 광산 보안조치로 CBM을 개발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가스시장의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을 뿐더러 지구온실가스 감축에도 CBM은 유리한 입장에 있다. ECBM(Enhanced Coalbed Methane)은 석탄층 메탄가스의 새로운 생산 기법으로 석탄층에 $CO_2$$N_2$ 가스를 주입하여 석탄에 흡착된 메탄가스를 탈착시켜 생산하는 방법이다. 특히 $CO_2$-ECBM 공법은 저탄소 녹색성장 기술로서 메탄가스의 생산성 향상뿐 만 아니라 온실가스 저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CBM개발은 캐나다, 호주,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40여개 국가에서 개발이 진행되고 있고 생산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현재의 석탄-석유 에너지원에서 비전통 가스로의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에 CBM이 일조할 전망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BM(Coalbed Methane) development technology being developed in mid 1980s is the technology to produce the methane gas absorbed in the coal bed. CBM is easy to be developed and its coal deposit is abundant. Therefore, the CBM industry has a large potential as an energy source as well as to deal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글의 목적은 CBM자원의 부존과 개발전망, 그리고 석탄층 메탄 회수증진(ECBM; Enhanced Coalbed Methane) 등 새로운 기술들을 살펴봄으로서 지구온난화 문제와 가스로의 에너지 패러다임이 이행되는 시기를 포착하여 국내 에너지 믹스를 재조정하기 위함과 에너지자원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한 자주 개발률 향상에 일조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석탄층메탄가스(Coalbed Methane) 개발기술이란? 1980년 중반에 개발된 석탄층메탄가스(Coalbed Methane) 개발기술은 석탄층에 흡착된 메탄가스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다. CBM은 개발이 쉽고 매장량도 풍부하다.
현재의 석탄/석유 에너지자원을 대체할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평가되고 있는 것은? 세계 에너지 자원의 패러다임은 현재의 전통 에너지 자원에서 비전통 에너지 자원으로 이행되고 있다. 특히 비전통 가스(UG; unconventional gas) 에너지 자원은 현재의 석탄/석유 에너지자원을 대체할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평가되고 있다. 대표적인 비전통 가스에너지 자원은 셰일가스, 치밀가스, CBM, 가스하이드레이트가 대표적이다.
CBM산업이 온실가스 배출규제에 대처하고 에너지자원 확보차원에서 잠재력이 매우 큰 이유는? 부존량이 풍부한 CBM는 미국이 주도하여 상업화에 성공했고 최근 캐나다, 호주, 중국, 몽골, 인니 등 석탄 자원 부국들이 CBM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CBM는 셰일가스보다 개발이 비교적 쉽다. 셰일가스는 지하 2,000~3,000미터에 부존하지만 CBM은 그 보다 얕고 개발기술도 그만큼 쉬우며 매장량도 풍부하다. 따라서 CBM산업이 온실가스 배출규제에 대처하고 에너지자원 확보차원에서 잠재력이 매우 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ill Gunter et al. (2005) Enhanced Coalbed Methane (ECBM) Field Test at South Qinshui Basin, Shanxi Province, China, p.17, 35 

  2. Carbon Capture, Use and Storage:CCUS (2015) Concept of enhanced coalbed methane (ECBM) enabling exploitation of the natural gas (methane) found in coal, http://www.captage-stockage-valorisation-co2.fr/en/coal-seams#!prettyPhoto 

  3. Cho, J.-D. and Kim, J.-H. (2014) Global Trends of Unconventional CBM Gas Science Information, p.351-352. 

  4. Electronic Newspaper (2014) Greenhouse gases should be reduced up to 70% by 2050, http://m.etnews.com/20140413000065 

  5. Gareth D. Mitchell (2015) Some of the Parameters Used by ASTM for the Classification of Coals by Rank, American Iron and Steel Institute, http:// www.steel.org/Making%20Steel/How%20Its%20Made/Processes/Processes%20Info/Coal%20Utilization%20in%20the%20Steel%20Industry.aspx 

  6. Kim, H.-W. (2014) Noncoventional Gas Development Technology and Future Energy Industries Outlook, Plant Journal, v.10, n.3, p.7. 

  7. Kim, Y.I. (2014) Trend for CBM development in Russia, The Conference of The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p.552-553. 

  8. Lee, S. and Kim, S. (2008) Technology for the Preparation of Ash-free Coal from Low Rank Coal(LRC), p.444-445. 

  9. Maria Mastalerz (2014) Coal and Coalbed Gas: Reserves, Production and Future Outlook, p.151. 

  10.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Korea (2014) 5th overseas Mineral and Energy Resource Development Plan, p.34. 

  11. Nam, S.-G. and Park, C. (2012) Research Review of Carbon Dioxide Storage in Underground Geological Formations, p.205-206. 

  12. Romeo M. Flores (2014) Coal and Coalbed Gas: Coalification, Gasification, and Gas Storage, p.176, 186, 221-221. 

  13. Ronny Pini et al. (2011) Coal characterization for ECBM recovery: gas sorption under dry and humid conditions, and its effect on displacement dynamics, p.2158-2159. 

  14. Tshifhiwa Maphala, Nicola J. Wagner (2012) Effects of $CO_2$ storage in coal on coal properties, Energy Procedia, v.23, p.426-438. 

  15. Yu, Y.-I. (2012) Technology Development Strategy for Unconventional Gas, KETEP Issue Paper 2012-v.2, p.12-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