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성근로자의 음주동기, 음주거절 효능감, 직무 스트레스가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Factors associated with Problem Drinking in Korean Male Employees for Drinking Motivation, Job Stress, and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4 no.1, 2015년, pp.48 - 56  

하영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노인건강연구센터) ,  정미라 (한영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drinking motivation,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job stress and problem drinking, and identify contributing factors on employees' problem drinking. Methods: A total of 191 employees recruited from two worksites. Data were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금주행위를 시작하고 이를 지속하기 위해서 음주거절 효능감이 중요한 예측변인임에도 불구하고 근로자의 음주문제와 관련하여 음주거절 효능감의 영향력을 살펴본 연구는 매우 드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업장 근로자의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서 음주동기, 음주거절 효능감, 직무 스트레스가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근로자의 건강증진 뿐만 아니라 건강한 사업장 문화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 이러한 고위험 음주는 문제음주로 이어질 수 있는데, 문제음주는 알코올 의존이 진행되기 전 단계로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에 문제를 경험하는 단계를 말하며, 알코올의존에 비해 문제 발생 정도나 신체적 의존 현상은 경미하나 알코올 의존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문제음주 평가도구는 세계보건기구에서 위험 음주자를 사전에 선별하여 과도한 음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 조기에 개입하여 폐해를 감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국내실정에 맞게 한국어판 문제음주 측정도구(Korean version of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K)를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문제음주율은 남자 32.
  • 본 연구는 근로자의 음주동기, 음주거절 효능감, 직무스트레스와 문제음주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근로자의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업장 근로자들의 절주 혹은 금주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사업장 근로자의 음주동기, 음주거절 효능감, 직무 스트레스와 문제음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음주동기, 음주거절효능감, 직무 스트레스, 문제음주의 관계를 파악하고, 사업장 근로자의 문제음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음주동기의 하위요인인 대처동기와 음주거절 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압력이 근로자의 문제음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사업장 근로자들의 대처동기와 사회적 압력이 음주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근로자의 바람직한 음주행위로의 변화를 위해 근로자 개인에 대한 집중교육과 함께 사업장 조직 전체에서 근로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건전한 음주 문화 조성 캠페인이나 조직문화 형성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주동기의 형태는? 음주동기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어떤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음주를 하는데(Cox & Klinger, 1988), 개인의 음주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이 사람마다 모두 다르기 때문에(Cooper,1994) 음주동기와 선행요인을 이해하면 문제음주 위험성을 예측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음주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음주동기는 슬픔이나 화를 풀기 위해서 혹은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술을 마시는 대처동기와 사람들과 어울리고 친해지기 위한 목적으로 음주를 하는 사교동기, 자신의 즐거운 감정을 유지하거나 증진시키기 위해서 술을 마시는 고양동기 등의 형태가 있다(Cooper, 1994). 그 중스트레스나 부정적 정서를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음주를 하게 되는 대처동기는 대개 만취할 때 까지 음주를 하게 되어 폭음이나 문제음주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졌다(Shin, 1999).
자기효능감이란? 7% 감소한다고 하였다. 자기효능감은 개인이 어떤 결과를 산출하기 위해 요구되는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신념으로, 특정업무를성취하기위해필요한행동을 조직, 수행하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판단이다(Bandura, 1997). 음주거절 효능감은 금주행위에 요구되는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신념을 의미하며, 음주거절 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음주상황에서 술을 거절할 수 있으며 금주행위를 지속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인다.
우리나라 성인의 문제음주가 심각한 이유는?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성인의 문제음주가 심각한 것으로 조사되었다(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4).일반적으로성인남성에비해근로자들의 음주율과 문제음주율이 높다고 알려졌는데(Jekarl, Kim, & Lee, 2010; Ryu, Kang, & Lee, 2011), 특히 남성근로자들은 직장 내 스트레스나 열악한 근로환경, 남성음주를 관대하게 바라보는 사회적 영향으로 음주에 노출될 기회가 많으며 이로 인해 음주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서 사업장 근로자의 음주문제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Y: W.H. Freeman and Company. 

  2. Chang, S. J., Koh, S. B., Kang, D. M., Kim, S. A., Kang, M. G., Lee, C. G., et al. (2005).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7 (4), 297-317. 

  3. Cooper, M. L. (1994). Motivations for alcohol use among adolescent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our-factor model. Psychological Assessment, 6 (2), 117-128. http://dx.doi.org/10.1040-3590.6.2.117 

  4. Cox, M., & Klinger, E. (1988). A motivational model of alcohol use.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7, 168-180. http://dx.doi.org/10.1037/0021-843X.97.2.168 

  5. Jekarl, J., Kim, K. K., & Lee, J. T. (2010).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drinker's characteristics, work environment, and alcohol problems among employee.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28, 5-31. 

  6. Joe, K., Chai, S., Park, A., Lee, H., Shin, I., & Min, S. (2009). Optimum cut-off score for screening of hazardous drinking using the Korean version of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AUDIT-K).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diction Psychiatry, 13 (1), 34-40. 

  7. Joo, J. (2009). Korean culture of heavy drinking and directions on policy related to Aalcoholism. Journal of Public Welfare Administration, 19 (1), 73-115. 

  8. Kim, H. G. (2007). A study on motivation for alcohol use and drinking behavior of employees by social pressur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6 (2), 197-204. 

  9. Kim, S. N. (2006). A study drinking motives, self-efficacy, drinking problem in male adults. Journal of Korean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5 (3), 270-280. 

  10. Kim, S. W. (2009). The problem with binge drinking and industrial accidents employees. The Korean Public Health Association, 67, 48-51. 

  11. Kim, J. S., Lee, J. K., & Chung, S. K. (2013). Meta-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problem drinking.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14 (2), 1-18. 

  12.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2012 National Health Statistic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5th Year 3. Retrieved November 25, 2014, from http://www.cdc.go.kr/CDC/info/CdcKrInfo1001.jsp?menuIdsHOME001-MNU1155-MNU1083-MNU1084&fid3081&q_type&q_value&pageNum31 

  13. Kweon, G. Y. (2005). Factors influencing drinking of employees: Focus on the white collar employees. Korean Journal of Social of Welfare, 57 (2), 93-118. 

  14. Lee, S. Y. (2006). Study on factors having effect on drinking behavior of office workers.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7 (2), 113-136. 

  15. Lee, B. O., Lee, C. H., Lee, P. G., Choi, M. J., & Namkoong, K. (2000).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K)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Addiction Psychiatry, 4 (2), 83-92. 

  16. Lee, J., & Choi, H. (2010). The effects of alcohol expectancies on alcohol-related problems among college students: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and binge drinking as a mediating factor. Studies on Korean Youth, 21 (4), 229-246. 

  17. Oh, S. W., Jung, K. T., & Park, J. Y. (2007). The association of health risks with absenteeism and presenteeism.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9 (4), 304-314. 

  18. Oei, T. P., Hasking, P. A., & Young, R. M. (2005).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Questionnaire-revised (DRSEQ-R): A new factor structure wi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rug and Alcohol Dependence, 78 (3), 297-307. http://dx.doi.org/10.1016//j.drugalcdep.2004.11.010 

  19. Oei, T. P., & Morawska, A. (2004). A cognitive model of binge drinking: The influence of alcohol expectancies and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Addictive Behaviors, 29 (1), 159-179. http://dx.doi.org/10.1016/S0306-4603 (03)00076-5 

  20. Park, H. J. (2013). Factor influencing health-related life quality of the male worker among commuter coup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gju Women's University, Gwangju. 

  21. Park, J. H., Lee, M. K., & Jang, Y. E. (2010). A study on the effect of stress of employees to depression: Moderating effect of quantities and frequencies of drinking.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11 (1), 1-14. 

  22. Ryu, J. S., Kang, K. H., & Lee, J. H. (2011). Factors of problem drinking among Korean adults. Journal of Alcohol Science, 12 (1), 29-42. 

  23. Shin, H. U.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motives and drinking problem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Social Issues, 5 (1), 93-109. 

  24. Shin, W. W. (2010). A study on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vulnerability factors on alcohol problems: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drinking motives. Annals of Social Science, 21 (3), 81-105. 

  25. Shin, H. U., & Han, S. Y. (1999). A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ing drinking motives scal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Social Issuses, 5 (1), 77-92. 

  26. Shin, W. W., & Yoo, C. Y. (2007). The effect of drinking motives on alcohol problem: Focusing on adult population in a communit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35, 363-387. 

  27. Tak, Y. R., An, J. Y., & Woo, H. Y. (2008).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Questionnaire-Revised (DRSEQ-R) in Kore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2), 344-352. 

  28. Yang, J. S. (2012). Korean drinking culture, and family. Gyeonggido: Gyeonggido Family & Women's Research Institute. 

  29. Yoo, I. Y., Choi, J. Y., & Jung, M. H. (2004). Level of problem drinking, health status and perception of need for moderate drinking by male blue-collar workers in steel factory.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6 (4), 467-4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