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공업 남성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우울, 음주
Occupational Stress, Depression, Drinking of Heavy Industrial Male Workers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7, 2015년, pp.4758 - 4767  

김은정 (호남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공업 남성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우울, 음주를 파악하고 이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과 음주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행하였다. Y시에 위치하고 있는 일개 중공업에 근무하고 있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2014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312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t-test, ANOVA, 사후검정은 scheffe-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직무 스트레스는 $53.77({\pm}6.33)$점 이었고, 우울은 $12.10({\pm}7.44)$점, 음주는 $10.32({\pm}7.55)$점이었다. 직무 스트레스와 우울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직무스트레스와 음주, 우울과 음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음주의 설명력은 15.9%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와 음주, 우울과 음주가 서로 강화할 수 있으므로 근로자의 건강관리 시 함께 관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중공업 남성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한국인 남성 직무스트레스의 평균보다 높으므로 직무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우울과 음주수준이 높은 근로자를 대상으로 우울관리와 절주프로그램을 통하여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관리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depression, drinking among heavy industrial male worke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12 workers in a local heavy industry.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 using questionnaires from May to June, 2014. The data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자는 중공업 남성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음주를 파악하고, 이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과 음주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결과는 중공업 남성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정확히 파악하고 우울 및 음주 예방 등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무에서 경험하는 과도한 스트레스가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기업은 근로자에게 이전보다 더 많은 자격과 다양하고 높은 수준의 능력을 요구하고, 근로자들은 과도한 업무, 직장상사와 동료사이의 갈등, 진급이나 승진에서의 경쟁, 고용 불안정, 작업 환경 등으로부터 다양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1]. 특히, 직무에서 경험하는 과도한 스트레스는 직장인 개개인에게는 직무 만족도 저하, 결근, 재해, 자발적 실업 등으로 이어져 사회 부적응과 같은 사회적 문제와 건강악화로 인한 의료비 증가와 삶의 질 저하, 사업주에게는 재해 및 사고 증가로 인한 비용의 손실 및 부담, 생산성 저하를 유발하여 경영 악화나 도산으로 이어지며, 지역사회나 국가적인 차원에서는 경쟁력 하락으로 인한 국가 및 지역사회 발전저해 등의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2]. Chang등[2]의 연구에서 6,977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잠재적 스트레스군이 73%, 고위험 스트레스군이 22%, 건강군이 5%로 근로자의 스트레스가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의 특징은 무엇인가? 스트레스로 인해 나타나는 가장 일반적인 증상인 우울은 재발률이 매우 높으며 근로자의 가정적, 사회적, 직업적인 측면과 개인의 삶의 질 저하에 큰 영향을 미친다[5]. 또한 기업에서는 근로자가 출근을 하더라도 의욕 및 집중력 저하로 근로자의 생산성이 떨어지고, 우울이 심해 결근하면 그로 인한 근로시간 저하와 그로 인한 대체 인력 투입 등으로 비용 증가가 큰 질병중의 하나이다[6]. 직장인 남성인들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이 높다는 연구[7], 건설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이 높은 상관관계가 있고 특히 직무요구, 근무경력,직무불안정이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고 선행연구[8]에서 보고하고 있다.
근로자들이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음주에 의존하는 것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근로자의 경우 직장생활에서의 여러 가지 스트레스나 역할 갈등, 우울 등을 해소하는 일환으로 음주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더 심각한 신체적 질병이나 심리, 정서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9]. 또한, 직무스트레스나 갈등, 우울 등을 해소하기 위해 시작한 음주가 습관성 문제 음주로 발전하고, 이를 해소하기 보다는 더 심각한 심리적인 문제나 행동의 문제를 야기하는 등 부정적인 사건을 겪게 되고 이로 인해 우울한 기분이 일어나며 다시 기분을 변화시키기 위해 또 음주를 하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 될 수 있기 때문이다[10].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직장인들은 스트레스 해소의 방법으로 음주에 의존하는 경향이 많음이 보고되고 있다[7,1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M. Jang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depression of flight attenda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hwa women's University, Seoul, 2009. 

  2. S. J. Chang, S. B. Koh, D. Kang, et al.,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7, pp.297-317, 2005. 

  3. K. C. Park, K. J. Lee, J. B. Park, et al.,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Symptoms among White-collar Male Workers in an Automotive Company",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 pp.215-224, 2008. 

  4. J. Wang, N. Schmitz, C. dewa, S. Stansfeld. "Changes in perceived job strain and the risk of major depression: Results from a population-based longitudinal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69(9), pp.1085-1091, 2009. 

  5. R. C. Kessler, W. T. Chiu, A. Demler, et al., "Prevalence, Severity, and Comorbidity of Twelve-month DSM-IV Disorder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NCS-R)",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2, pp. 617-627. 2005. 

  6. W. F. Stewart, J. A. Ricci, E. Chee, et al., "Cost of Lost Productive Work Time Among US Workers With Depressio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9, pp.3135-3144, 2003. DOI: http://dx.doi.org/10.1001/jama.289.23.3135 

  7. S. H. Yoon, J. Y. Bae, S. W. Lee, et al.,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Depression, Drinking and Smoking among Korean Men",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19, pp.31-50, 2006. 

  8. M. R. Le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of Construction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 pp.279-288, 2011. 

  9. B. R. Choi, S. J. Park, S. C. Choi. "The Impact of Married Worker's Work - Family Conflict and Problem Drinking on De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3, pp.53-74, 2010. 

  10. S. Y. Choi.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Drinking Behavior and Practice Level of Dietary Guidelines in Male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Jeonju, 2011. 

  11. D. R. Jo. "Workers' Job Stress Status and Related Factors -Using Korean Occupational stress Questionnaire Short Form-",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5, pp.58-71. 2006. 

  12. K. S. Jung. "The Cancer Incidence of Male Workers in A Shipyar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lsan university, Ulsan, 2009. 

  13.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2 Industrial accident analysis",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pp.1- 441, 2013. 

  14. J. H. Yoo. "Risk Assessment Program in the Shipbuiding Industry", Journal of the KSME, 48(6), pp.66-69, 2008. 

  15. W. H. Kim. "The Development of a Checklist for Quantitative Assessment of Risk Factors of Musculoskeletal Complaints in Shipbuilding Workers", Physical Therapy Korea, 16, pp.42-51, 2009. 

  16. E. Y. Park, W. H. Kim. "A Path Analysis of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Related Factors in Shipbuilding Workers", Physical Therapy Korea. 15, pp.53-61, 2008. 

  17. Y. H. Kim, R. J. Park, W. J. Park, et al., "Predictors of Metabolic Syndrome Among Shipyard Workers and its Prevalence",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1, pp.209-217, 2009. 

  18. S. D. Kim. "Relationships of Job Stress, Fatigue & Depression among one ship-building Supply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 pp.2789-2796.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5.2789 

  19. L. S. Radloff.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pp.385-401, 1977. 

  20. M. J. Cho, K. H. Kim.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 -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2, p.381-399. 1993. 

  21. J. B. Saunders, O. G. Aasland, T. F. Babor, et al., "Development of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of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AUDIT) : WHO collaborative project on early consumption-II", Addiction, 88, p.791-804. 1993. 

  22. B. O. Lee, C. H. Lee, M. J. Choi, et al.,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AUDIT-K):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diction Psychiatry, 4, pp.83-92, 2000. 

  23. M. K. OH, B. K. Park, et al., "Screening Criteria of Alcoholism by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AUDIT) in Korea.", Kor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0, pp.1152-1159, 1999. 

  24. H. R. Kim, Y. J. Yi, K. J. Lee, et al.,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for Job Stress in Bus Driv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3, pp.20-27. 2014. 

  25. H. Y. Lim. "Job stress and Depression of Male Industry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2007. 

  26. S. D. Jo, J. B. Park.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Alcohol-use Disorders among Fire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Hazard Mitigation, 12, pp.133-140. 2012. 

  27.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3)", Ministry of Heath & Welfare, 2013. 

  28. H. S. Kim, E. Y. Choi, S. M.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Stress Coping Method of Office Workers in Honam Area",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9, pp.147-154, 2011. 

  29. I. S. Jang. "A Study on the Correlation among Occupational Stress, Depression, Health - Related Behavior and Type A Behavior Patterns of Male Workers at a Steel Factor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8, pp.153-164, 2009. 

  30. M. R. Kabir, M. Al-Amin, M. A. Siddique. "Andropause: The male climacterium", Journal of Teachers Association, 21, pp.87-92. 2008. 

  31. Y. J. Son, E. Y. Choi, Y. A. So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8, pp.345-351. 2010. 

  32. Y. Kaneita, T. Ohida, M. Uchiyama,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leep disturbances: A Japanese nationwide general population survey",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67, pp.196-203. 2006. 

  33. J. Y. Song. "Perception of and pattern of alcohol consumption and their effects on health-related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ji University, Wonju, 2008. 

  34. T. Hwang, J. Lee, K. Lee, et al., "Drinking and its relationship with smok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Community Health, 32, pp.97-105. 2007. 

  35. M. S. Heo. "Examining the Association of Poverty Status Transition with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Problem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5, pp.203-230. 2013. 

  36. E. J. Kim, J. Y. Lim. "A Correlational Study of Job Stress, Drinking and Smoking of Local Government Staff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6, pp.61-69. 2010. 

  37. B. A. Kim, S. I. Lee, S. K. Kim, et al., "The Role of Job Stress and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Gene Polymorphism on the Severity of Alcohol Drinking in Korean Office Workers in Their Twenties",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19, pp.91-98.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