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해 해양생물 해파리 피해 저감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amage Reduction Strategy Against a Harmful Aquatic Organism, Jellyfish's Bloom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7 no.1 = no.73, 2015년, pp.49 - 62  

박성욱 (국립수산과학원) ,  이경훈 (전남대학교) ,  윤원득 (국립수산과학원) ,  이동길 (국립수산과학원) ,  김성훈 (국립수산과학원) ,  양용수 (국립수산과학원) ,  이건호 (서해수산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methods reducing damages by jellyfish which enter the coastal areas of Korea, attaching cutting devices to towing nets of otter trawls or pair trawls and/or using a canvas type of cutting nets of small fishing boats have been widely utilized. In order to reduce shut-down damages of power plants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독성 해파리의 출현으로 인한 여름철 해수욕객 피해 발생율 증가와 연안해역에 설치된 산업기반시설의 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역사회 경제적 기반 활성화를 위하여 주요 피해 해파리에 대한 제거 방안을 소개하고 피해 예방을 위한 차단장치의 효율성을 평가하여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기존 해파리를 포함한 해양생물의 대량 유입시 국내외 처리방안에 관한 검토를 거쳐 해파리의 대량 유입에 의한 발전소 수중 취수구 스크린의 막힘 사고에 대응하기 위해, 1) 일정한 각도와 형태를 갖는 그물차단망, 돔 형태의 차단망, 고정형 파일형 차단구조 등의 설치, 2) 그물망구조는 생물의 부착이나 유속에 저항할 수 있는 설계방법의 고안과 사각형 메쉬구조의 선택, 3) 기포발생 장치에 의한 해파리의 유입제어, 4) 대량 출현 경보시스템의 구축 등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R 및 TWS 장치는 어떤 시스템인가? 국내외 일반적으로 도입되어 있는 TR 및 TWS 장치는 1차적으로 여과장치인 Trash Rake가 쓰레기나 각종 부유성 이물질들을 걸러내는 bar 스크린과 걸러진 이물질을 긁어모으는 Rake basket으로 구성되며, 2차 여과 장치인 TWS는 컨베이어 벨트 타입의 스크린 벨트를 상하로 순환시키면서 스크린에 붙어 올라오는 이물질을 모아서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Fig. 9].
범포 전개형 해파리절단망의 장점은 무엇인가? 범포 전개형 해파리절단망은 관공선 및 트롤장비부재 선박이나 소형어선을 포함한 선박에서도 사용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표·중층에 분포하고 있는 해파리를 효과적으로 제거가 가능하며, 어구의 소형화로 제거활동이 편리하고 선내 수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취수구주변에 그물망을 이용한 시스템의 단점은? 일반적으로 발전소 취수구에 유입되는 해양쓰레기나 해파리를 포함한 해양생물들을 제거하는 방식으로는 취수구주변에 그물망을 이용한 시스템을 대부분 사용하고 있으며, 국내외 발전소에서도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그물망은 부착생물을 방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차단망을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유입되는 해양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자루그물형태도 활용되고 있으나, 인력 소모가 많고 대량 발생하는 하절기에는 그물이 파손되어 발전소에 치명적일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Davis, C. S. S. M. Gallager and A. R. Solow (1992). Microaggregations of oceanic plankton observed by towed video microscopy, Science, 257, 230-232. 

  2. EPA(2001). National pollutant discharge elimination system: regulations addressing cooling water intake structures for new facilities, final rule, 1-89. 

  3. EPA(2004). National pollutant discharge elimination system: regulations addressing cooling water intake structures at phase II existing facilities, final rule, 1-117. 

  4. HOBMC(Haeundae-gu Office of Busan Metropolitan City)(2013). A Scientific report of the Public Damage reduction strategy of jellyfish's bloom in Haeundae Beach, Haeundae-gu, Busan, 1-165. 

  5. Honda, N. and T. Watanabe(2007). Observation of the giant jellyfish Nemopilema nomurai using an underwater acoustic camera, Nippon Suisan Gakkaishi, 73(5), 919-921. 

  6. Hwang, S. W. K. J. Cho D. J. Oh D. Lee J. W. Kim and S. W. Park(2006). A Case of delayed cutaneous reaction to a jellyfish sting from the Korean coastline, Korean Journal of Dematology, 44(12), 1451-1453. 

  7. Kim, I. O. H. C. An J. K. Shin and B. J. Cha(2008). The development of basic structure of jellyfish separator system for a trawl ne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44(2), 99-111. 

  8. KORDI(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2005). Prevention of bio-impingement against power plant intake, KORDI, Ansan, 1-702. 

  9. Lee, J.H., H.W. Choi, J. Chae, D.S. Kim and S.B. Lee(2006). Performance Analysis of Intake Screens in Power Plants on Mass Impingement of Marine Organisms, Ocean and Polar Research, 28(4), 385-393. 

  10. MLTMA(Ministry of Land, Transportation, and Maritime Affairs)(2009). A scientific report on the damage prevention against jellyfish of the harmful marine organisms, MLTMA, Seoul, 1-225. 

  11. NFRDI(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2008). Scientific report on the mass occurrence of jellyfish, and prevention and utilization, NFRDI, Busan, 1-222. 

  12. Ortner, P. B. S. R. Cummings R. P. Aftring and H. E. Edgerton(1979). Silhouette photography of oceanic zooplankton, Nature, 277, 50-51. 

  13. Price, H. J.(1989). Swimming behaviour of krill in response to algal patches: a mesocom study, Limnology and Oceanography, 34, 649-659. 

  14. Strickler, R.(1977). Observations of swimming performances of planktonic copepods, Limnology and Oceanography, 22, 165-170. 

  15. Yang, Y. S. J. H. Bae K. Lee J. S. Park and B. K. Sohn(2010). Fish monitoring through a fish run on the Nakdong River using an acoustic camera system,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3(6), 735-73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