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산화단층촬영장치에서 환자피폭선량
Patient Radiation Exposure Dose in Computed Tomography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9 no.2, 2015년, pp.109 - 115  

조평곤 (대구가톨릭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산화단층촬영장치(computed tomography, CT)을 이용한 검사의 경우 방사선량의 분포가 일반 X선 장치와 차이가 있고 검사로 인한 방사선 피폭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검사 결과의 정확성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 그 이용도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기존에 발표된 자료를 바탕으로 CT장치, CT검사에서 방사선량, 진단참고준위 그리고 검사 시 방사선량 감소 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case of a CT examination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radiation dose from that of general X-ray equipments, and it has been known to cause a great radiation exposure during the examinations. However, owing to its high reliability on the accuracy of a examinations result, its u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의 경우 CT검사 시 진단참고준위에 관한 연구 자료를 보면 두부 약 48 mGy, 복부 약 20 mGy 또는 참고문헌 7와 같다[6],[7]. 이와 같이 비록 전체적인 진단용 방사선 검사건수는 적지만 방서선 피폭량이 가장 많은 CT검사에서 방사선 피폭과 관련된 내용을 알아보고 CT검사에서의 진단참 고준위와 방사선량 감소 방안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 현재 임상에 설치 운영 중인 대부분의 CT장치는 다중검출기가 장착되어진 CT(multi detector row computed tomography, MDCT)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MDCT 와 관련된 선량감소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사선량이란 무엇인가? 조사선량(exposure dose)은 X 또는 γ선의 조사에 의하여 공기 1kg 중에서 발생한 2차 전자에 의하여 만들어진 전하량으로 표준단위(unit : coulomb kg-1)는 Ckg-1, 특수단위(special unit : Röntgen) 는 R 을 사용한다. 흡 수선량(absorbed dose)는 X 또는 γ선이 조직이나 물질의 어떤 지점에서 단위질량당 흡수된 평균에너지의 양으로 표준단위(unit : joule kg-1)는 Jkg-1, 특수이름(special name : Gray)은 Gy, 특수단위(special unit : rad)는 rad를 사용한다.
CT의 발전은 어떠한 의의를 가지는가? 또한 컴퓨터의 발달과 새로운 소프트웨어의 개발로 정확한 진단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응용영역이 확장되었다. 이와 같은 모든 발전은 검사 시 환자에게 피폭되는 방사선량은 오히려 감소시키면서 가능해졌다는 것에서 커다란 의의를 찾을 수 있다[3]. 과거에는 CT가 새로워 졌다라고 할 경우 어떤 검사가 됐든 검사 부위에서 질환을 발견하는데 더 많은 관심이 집중되곤 하여 질환을 발견할 수 있다는 신뢰성이 확보되면 상대적으로 방사선 피폭은 관심에서 벗어난 경우도 있었다.
전산화단층촬영장치는 어떻게 발전해왔는가? 그동안 CT는 발전에 발전을 거듭해왔다. 스캐닝 속도는 더 빨라졌고, 영상의 품질은 더욱 향상되었다. 또한 컴퓨터의 발달과 새로운 소프트웨어의 개발로 정확한 진단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응용영역이 확장되었다. 이와 같은 모든 발전은 검사 시 환자에게 피폭되는 방사선량은 오히려 감소시키면서 가능해졌다는 것에서 커다란 의의를 찾을 수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J. Anthony Seibert, Gary T. Barnes, and Robert G. Gould. Specification, Acceptance testing and quality control of diagnostic X-ray imaging equipment. Medical physics monograph No. 20 pp. 899-936 1991. 

  2. Gray, J. E. Radiological protection issue in mamm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proc. conf. (Vienna : IAEA) pp. 183-200 2001. 

  3. S. J. Golding, P. C. Shrimpton. Radiation ]dose in CT: are we meeting the challenge?. The British Journal of Radiology, Vol. 75, pp. 1-4 2002. 

  4. Shrimpton PC, Jones DG, Hillier MC, Wall BF, Le Heron JC, Faulkner K. Survey of CT practice in the UK. Part 2: dosimetric aspects, NRPB R249. Chilton: NRPB, 1991. 

  5. Shrimpton PC, Edyvean S. CT scanner dosimetry. Br J Radiol 71 pp. 1-3 1998. 

  6. PyongKon Cho, BoKyung Seo, TaeKyu Choi, JangSeob Kim, YouHyun Kim, JongHak Choi et al. The development of a diagnostic reference level on patient dose for CT examination in Korea. Radiation Protection Dosimetry, (Vol.)129, No. 4, pp. 463-468 2008. 

  7. PyongKon Cho, JongHak Choi, SangHoon Cha, KiYeol Lee, DongChul Shin, JungHo Kang et al. The development of a guidance level for patient dose for CT examinations in Korea. Radiation Protection Dosimetry, (Vol.) 138, No. 2, pp. 137-143 2009. 

  8. Eric J. Hall. Radiobiology for The Radiologist. 5th edi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p. 299-319 2004. 

  9. T. B. Shope, R. M. Gagne and G. C. Johnson. A method for describing the dose delivered by transmission X-ray computed tomography. Medical Physics, 8, 488 1981. 

  10. A. Suzuki and M. N. Suzuki. Use of a pencil-shape ionization chamber for measurement of exposure resulting from a computed tomography scan. Medical Physics, (Vol.) 5, pp. 536-539, 19138. 

  11.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1 CFR part 1020, Diagnostic x-ray systems and their major components, amendments to performance standard, Final rule. Federal Register, (Vol.) 49, 1131, 1984. 

  12. Internet address of the Reference Database on CT dosimetry. http://www.efomp.org 

  13. Geleijns, et al., European guidelines on quality criteria for computed tomography. EUR 1692, 1999. 

  14. W. Leitz, B. Axelsson and G. Szendro. Computed tomography dose assessment - a practical approach. Radiation Protection Dosimetry, (Vol.) 513, No. 1-4, pp. 388-380, 1995. 

  15. National Institute of Radiological Science (supervisr), Report 1998 to the gener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Science Committee on the Source. Effect and Risk of Radiation-Effect of Atomic Radiation Attachment C(exposure from the medical use of radiation). Jitsugyokoho, Tokyo. pp. 95-334 1990. 

  16. R. A. Jucius and G. A. Kambic. Radiation dosimetry in computed tomography(CT). Proc. SPIE 110, 1, 191313. 

  17. K. S. Pentlow and L. N. Rothenberg. Patient dose in computerized axial tomography. Physics in Canada, Digest of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edical Physics, 32, 31, 19136. 

  18. J. R. Cameron, N. Suntharalingam and G. Kenney, Thermoluminscent dosimetry,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Madison, WI, 1968. 

  19. M. K. Kalra, M. M. Maher, T. L. Toth et al. Strategies for CT radiation dose optimization. Radiology, 230 pp. 619-628 2004. 

  20. M. K. Kalra. MDCT: A practical approach. In S. Saini (Ed). "MDCT Radiation Dose" pp. 30-35, 2006. 

  21. National Institute of Radiological Science (supervisr), Report 1998 to the gener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Science Committee on the Source, Effect and Risk of Radiation-Effect of Atomic Radiation Attachment C(exposure from the medical use of radiation). Jitsugyokoho, Tokyo. pp. 265-334, 1990. 

  22. IAEA, International basic safety standards for protection against ionizing radiation and the safety of radiation source, EADA Safety Series No.115, Vienna. pp. 279-280, 1996. 

  23. T. Orito, "Investigation of accrual situation of radioiogical techniques to take measures for patient exposure dose reduction", Jpn. J. Radioiogical technology 32, pp. 34-39, 1974. 

  24. T. Orito, S. Sanada, S. Koga, et al., "Changes in x-ray diagnostic technology and patient exposure dose comparision with 1973 and 1979", A Monthly Journal of Medical Imaging and Information, Vol. 12, No. 6, pp. 325-327, 1980. 

  25. S. Suzuki, T. Orito, Koga, et al., "Changes in x-ray diagnostic technology and patient exposure dose comparision with 1973 and 1979", A Monthly Journal of Medical Imaging and Information, Vol. 22, No. 6, pp. 359-363, 19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