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성인의 주관적 구강건조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ssociated factors of self-reported dry mouth in adults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5 no.1, 2015년, pp.55 - 62  

김선숙 (수원여자대학교 치위생과) ,  윤혜정 (수원여자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ed factors of self-reported dry mouth in adul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249 adults in Seoul and Gyeonggi-do from June to October, 2014.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그들이 느끼는 구강건조증의 자각 증상의 정도와 영향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로 노인들에 국한되었던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성인들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그들의 주관적 구강건조증에 대한 자각 증상의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구강건조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찾아내어 구강건조증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한 주관적 구강건조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어떤 순서로 나타나는가? 주관적 구강건조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Table 6]과 같다. 주관적 구강건조증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눈건조(자주그렇다)(β=0.305)이었으며, 다음은 입술건조(자주그렇다)(β=0.247), 눈건조(가끔 그렇다)(β=0.186), 입술건조(가끔 그렇다)(β=0.177), 사회적 불리(β=0.152), 신체적 능력 저하(β=0.128), 음주(1-2회/1주)(β=0.116)나타났으며, 본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5.6% 이었다. 즉, 눈 건조와 입술 건조를 자주 또는 가끔 느낄수록 주관적 구강건조증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건조증이란 무엇인가? 구강건조증(Xerostomia)은 입안이 마르는 주관적 증상을 의미하며1), 원인은 노화, 약물 복용, 소모성 질환이나 자가면역질환 등의 전신질환 및 두경부 방사선치료 등이 라고 밝혀진 바 있다2,3).
구강건조증의 원인은 무엇인가? 구강건조증(Xerostomia)은 입안이 마르는 주관적 증상을 의미하며1), 원인은 노화, 약물 복용, 소모성 질환이나 자가면역질환 등의 전신질환 및 두경부 방사선치료 등이 라고 밝혀진 바 있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Fox PC, van der Ven PF, Sonies BC, Weiffenbach JM, Baum BJ. Xerostomia: evaluation of a symptom with increasing significance. J Am Dent Assoc 1985; 110(4): 519-25. 

  2. Atkinson JC, Wu A. Salivary gland dysfunction: causes, symptoms, treatment. J Am Dent Assoc 1994; 125: 409-16. 

  3. Gussenheimer J, Moore PA. Xerostomia: etiology, recognition and treatment. J Am Dent Assoc 2003; 134: 61-9. 

  4. Thomson WM. Issues in the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of dry mouth. Gerodontology 2005; 22(2): 65-76. 

  5. Nederfors T, Isaksson R, Mornstad II, Dahlof C. Prevalence of perceived symptoms of dry mouth in an adult swedish population-relation to age, sex and pharmacotherapy.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97; 25(3): 211-6. 

  6. Orellana MF, Lagravere MO, Boychuk DG, Major PW, Flores-Mir C. Prevalence of xerostomia in population-based samples: a systematic review. J Public Health Dent 2006; 66(2): 152-8. 

  7. Cassolato SF, Turnbull RS. Xerostomia: clinical aspects and treatment. Gerodntology 2003; 20: 64-77. 

  8. Locker D. Subjective reports of oral dryness in an older adult population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93; 21(3): 165-8. 

  9. Bergdahl M, Bergdahl J. Low unstimulate salivary flow and subjective oral dryness: association with medication, anxiety, depression, and stress. J Dent Res 2000; 79(9): 1652-8. 

  10.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 51-7. 

  11. Kim ME. The effect of job stress in jobholders on xerostomia. J Korean Soc Dent hyg 2012; 12(1): 1-15. 

  12. Nam MJ, Unm DC. Correlation between oral dryness and stress level of college students. J Korea Acad Industr Coop Soc 2011; 12(90): 4030-7. http://dx.doi.org/10.5762/KAIS.2011.12.9.4030. 

  13. Hong MH.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stress on dry mouth,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oral symptoms on workers. J Korean Soc Dent hyg 2013; 13(1): 136-45. 

  14. Colman P. Opportunities for nursing-dental collaboration: addressing oral health needs among the elderly. Nurs Outlook 2005; 53(1): 33-9. 

  15. Park MS, Ryu SA. Degree of dry mouth and factors influencing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community-dwelling elders. J Korean Acad Nurs 2010; 40(5): 747-55. http://dx.doi.org/10.4040/jkan.2010.40.5.747. 

  16. Turner MD, Ship JA. Dry mouth and its effects on the oral health of elderly people. J Am Dent Assoc 2007; 138(Suppl): 15S-20S. 

  17. Billings RJ. An epidemiologic perspective of saliva flow rates as indicators of susceptibility to oral disease. Crit Rev Oral Bilo Med 1993; 4(3-4): 351-6. 

  18. Navasesh M, Kumar SK. Xerostomia: prevalence, diagnosis, and management. Compend contin Educ Dent 2009; 30(6): 326-8. 

  19. Lee JY, Lee YO, Kho HS. Reliability of a questionnaire for evaluation of dry mouth symptoms. Oral Medicine 2005; 30(4): 383-9. 

  20. Yoon MH. Association between aral health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dults[Master's thesis]. Seoul: Univ. of Korea, 2008. 

  21. Park HJ, Shim YS. Adults' self-reported of dry mouth and it's associated impact factors. J Korean Soc Dent Hyg 2012; 12(5): 973-85. 

  22. Lee SK, Lee YJ, Kim SH, Kim YS. Literature review about the symptom, cause and treatment of xerostomia. Kor J Gerontol 2002; 12(2): 1-14. 

  23. Kim SJ, Choi JS. The associated factors with xerostomia in patients with systemic diseases. J Dent Hyg Sci 2013; 13(4): 386-92. 

  24. Han HS, Kwon DA, Kim RN, Kim YN, Lee GH, Lee NR, et al. The associated factors with xerostomia in adults aged 30 years and over. J Dent Hyg Sci 2013; 13(1): 62-70. 

  25. Rhodus NL, Brown J. the association of xerostomia and inadequate intake in older adults. J Am Diet Assoc 1990; 90(12): 1688-92. 

  26. Choi JS, Lee YJ, Jeon SB, Kim HM, Jeong EH, Jo EJ. The association between self-reported oral health problem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0; 34(3): 411-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