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류로 오염된 철로지역의 지중정화를 위한 영향반경 산정과 공기주입법/토양증기추출법의 적용성 평가
Calculation of Radius of Influence and Evaluation of Applicability of Air Sparging/Soil Vapor Extraction system for the Remediation of Petroleum Contaminated Rail Site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20 no.1, 2015년, pp.1 - 6  

조장환 (한국환경공단 토양지하수처) ,  박정구 (한국환경공단 토양지하수처) ,  김용덕 (한국환경공단 토양지하수처) ,  서창일 (한국환경공단 토양지하수처) ,  김해금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  최상일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alculate the radius of influence (ROI) of well for an air-sparging (AS)/soil vapor extraction (SVE) system an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system applied for the remediation of the petroleum contaminated rail site. For air permeability test, three mon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 유류로 오염된 철로부지의 유류 오염토양 정화를 위해 대상부지의 지중정화공법을 위한 영향반경을 평가하고, AS/SVE 혼합공법 적용에 따른 휘발성 오염물질의 농도변화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간 유류로 오염된 철로부지 유류 오염토양 정화를 위해 지중정화공법의 적용을 위한 영향 반경을 평가하고, AS/SVE 혼합공법의 적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기주입법을 통해 무엇을 기대할 수 있는가? 또한 공기주입법은 오염된 대수층에 공기 또는 산소를 함유한 기체를 주입하여 오염된 지하수로부터 용존 상태의 오염물질을 기체상으로 바꾸어 불포화대 밖으로 배출하는 오염지하수 처리기술이다. 이 과정에서 저휘발성 및 비휘발성 오염물질은 지중 미생물에 의한 생물학적 분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McCray and Falta, 1995; Benner et al., 2002; Nobre and Nobre, 2004; Tsai, 2007).
공기주입법에 의해 대수층으로부터 분리된 휘발성 오염물질을 토양증기 추출법으로 추출하여 제거하면 무엇을 증가 시킬 수 있는가? , 2014)을 적용하여 오염된 토양 및 지하수를 정화한 사례가 다수 보고되고 있다. 공기주입법에 의해 대수층으로부터 분리된 휘발성 오염물질을 토양증기 추출법으로 추출하여 제거함으로써 휘발성오염물질의 불필요한 외부확산을 방지하고 정화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토양증기추출법이란? 토양증기추출법은 지중토양에 압력구배를 형성하여 토양표면의 휘발성 오염물질을 휘발·추출하는 방법으로써 휘발성오염물질로 오염된 지역의 정화에 효과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Johnston et al., 2002; Kaleris and Croise, 1997, 2002; Chu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min, M.M., Hatamipour, M.S., Momenbeik, F., Nourmoradi, H., Farhadkhani, M., and Mohammadi-Moghadam, F., 2014, Toluene removal from sandy soils via in situ technologies with an emphasis on factors influencing soil vapor extraction, ScientificWorld Journal, 23, 416752. 

  2. Benner, M.L., Mohtar, R.H., and Lee, L.S., 2002, Factors affecting air sparging remediation systems using field data and numerical simulations, J. Hazard. Mater., 95(3), 305-329. 

  3. Chai, J.C. and Miura, N., 2004, Field vapor extraction test and long-term monitoring at a PCE contaminated site, J. Hazard. Mater., 110(1-3), 85-92. 

  4. Chu, Y., Werth, C.J., Valocchi, A.J., and Yoon, H.K., 2004, Andrew G. Webb,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nonaqueous phase liquid during soil vapor extraction in heterogeneous porous media, J. Contam. Hydrol., 73(1-4), 15-37. 

  5. EPA, 2004, How to Evaluate Alternative Cleanup Technologies for Underground Storage Tank Sites; A Guide for Corrective Action Plan Reviewers, EPA/510-R-04-002. 

  6. Fan, W., Yang, Y.S., Lu, Y., Du, X.Q. and Zhang, G.X., 2013, Hydrogeo-chemical impacts of air sparging remediation on a semi-confined aquifer: Evidences from field monitoring and modeling, Chemosphere, 90(4) 1419-1426. 

  7. Johnston, C.D., Rayner, J.L. and Briegel, D., 2002, Effectiveness of in situ air sparging for removing NAPL gasoline from a sandy aquifer near Perth, Western Australia, J. Contam. Hydrol., 59(1-2), 87-111. 

  8. Kaleris, V. and Croisé, J., 1997, Estimation of cleanup time for continuous and pulsed soil vapor extraction, Journal of Hydrology, 194(1-4), 330-356. 

  9. Kirtland, B.C. and C. Aelion M., 2000, Petroleum mass removal from low permeability sediment using air sparging/soil vapor extraction: impact of continuous or pulsed operation, J. Contam. Hydrol., 41(3-4), 367-383. 

  10. McCray, J.E. and Falta, R.W., 1996, Defining the air sparging radius of influence for groundwater remediation, J. Contam. Hydrol., 24(1), 25-52. 

  11. Nobre Manoel, M.M. and Nobre Rosane, C.M., 2004, Soil vapor extraction of chlorinated solvents at an industrial site in Brazil, J. Hazard. Mater., 110(1-3), 119-127. 

  12. Tsai, Y.J., 2007, Air flow paths and porosity/permeability change in a saturated zone during in situ air sparging, J. Hazard. Mater., 142(1-2), 315-323. 

  13. US Army Corps of Engineers, Engineering and design; Soil vapor extraction and bioventing, EM 1001-1-4001, June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