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 예비교사들의 온실효과 관련 핵심 개념들에 대한 이해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s of the Key Concepts related to the Greenhouse Effect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4 no.1, 2015년, pp.15 - 31  

장명덕 (공주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tudent teachers' conceptions about the mechanism of the greenhouse effect, the greenhouse gases, the global warming, and their learning experiences of the greenhouse effect and the global warming. Participants were 82 student teachers in the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온실효과의 메커니즘 관련 핵심 개념, 온실기체의 종류, 온실효과와 지구온난화의 관계, 온실효과와 지구온난화에 대한 학습 경험을 초등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개방형의 그림과 글 설명을 분석함으로써 초등 예비교사들의 온실효과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수행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온실효과 관련 개념들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초등 예비교사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수행되었으며, 결론 및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3) 개념 Ⅲ : 방출된 지구복사에너지는 대기 중의 온실기체에 의해 흡수된다.

  • 둘째, 초등 예비교사들은 온실기체의 종류에 대한 지식은 어떠하며, 주요 온실기체에 대한 응답률에 있어서 전공 및 학년별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생이나 교사 모두 온실효과에 대한 정확한 개념적 이해를 갖추는 게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사실 온실효과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그 메커니즘과 관련된 핵심 개념들, 예를 들어 태양복사와 지구복사, 복사 평형, 온실기체의 지구복사에너지의 흡수 등 많은 추상적 개념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Kwak, 2004), 학생이나 교사 모두 온실효과에 대한 정확한 개념적 이해를 갖추는데 어려움을 준다. 따라서 온실효과의 메커니즘과 관련된 핵심 개념들에 대한 학생이나 교사의 인식을 체계적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음에도 이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에서 찾아보기 쉽지 않은 실정이다.
지구에 입사하는 태양복사에너지는 왜 일부만 표면에 도달하는가? 지구에 입사하는 태양복사에너지는 대기의 흡수, 반사, 산란으로 인해 그 일부(주로 가시광선)만이지표면에 도달한다. 이러한 개념 Ⅰ의 첫 번째 과정, 즉 ‘태양복사에너지 중 일부 만이 지구 대기를 통과하여 지표면에 도달한다.
지구온난화와 온실효과의 차이는 무엇인가? 한편, 지구의 기후 변화와 관련하여 지구온난화와 온실효과는 우리에게 매우 친숙한 용어이지만 서로 다르다. 온실효과는 지구상의 생명체가 살아가기에 적절한 온도를 유지시켜주는 대기의 중요한 기능인 반면에, 지구온난화는 온실기체의 과도한 증가와 그에 따른 온실효과의 심화로 인해 지구의 평균 기온이 상승하는 것을 말한다. 즉, 지구온난화는 온실효과가 증가할 때 나타나는 현상일 뿐이다(Kook, 2003). 따라서 온실효과에 대한 이해는 지구온난화에 대한 이해에 기초가 되고, 지구온난화에 대한 이해는 기후 변화에 대한 이해에 기반이 된다(Shepards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ndersson, B. & Wallin, A. (2000).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greenhouse effect, social consequences of reducing $CO_2$ emissions and why ozone layer depletion is a proble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10), 1096-1111. 

  2. Back, N.-G. (2003). The conception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bout greenhouse effect, ozone layer depletion and acid rain.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s, 12(4), 367-373. 

  3. Boyes, E. & Stanisstreet, M. (1998).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how major global environmental effects might cause skin cancer.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9(2), 21-36 

  4. Ekborg, M. & Areskoug, M. (2006). How student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greenhouse effect develops during a teacher education programme. NorDiNa, 5, 17-29. 

  5. Groves, F. H. & Pugh, A. E. (1999).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conceptions of the greenhouse effect.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8(1), 75-81. 

  6. Han, J., Jeong, Y. & Noh, T.(2000). The concep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about acid rain, ozone layer, and greenhouse effec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3), 364-370. 

  7. Je, K.-Y. & An, H.-S. (1999). The analysis of students' ideas about the greenhouse effec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9(4), 585-594. 

  8. Kaarkkaainen, S., Keinonen, T., Kukkonen, J., Hurri, A. & Vesala, P. (2009). What is the greenhouse effect?: Fifth graders' idea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Learning, 16(6), 415-429. 

  9. Khaid, T. (2001). Pre-service teachers' misconceptions regarding three environmental issues. Canadi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6, Spring, 102-120. 

  10. Kil, J.-H., Song, S.-C., So, K.-H. & Yeau, S.-H. (2012). Stud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greenhouse effect. Biology Education, 40(4), 412-420. 

  11. Kook, D.-S. (2003). An analysis of 10th grade science textbook as an origin of misconception on greenhouse effect concep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3(5), 592-598. 

  12. Koulaidis, V. & Christidou, V. (1999). Models of students' thinking concerning the greenhouse effect and teaching implications. Science Education, 83, 559-576. 

  13. Kwak, Y. (2004). Korean fifteen-year-olds' alternative conceptions on the greenhouse effect revealed in PISA test resul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4(3), 668-674. 

  14. Loughland, T., Reid, A., Walker, K. & Petocz, P. (2003). Factors influencing young people' conceptions of environment.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9, 3-20. 

  15. Michail, S., Stamou, A. G. & Stamou, G. P. (2007). Greek prim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current environmental issues : An exploration of their environmental knowledge and image of nature. Science Education, 91(2), 244-259. 

  16. Ocal, A., Kisoglu, M., Alas, A. & Gurbuz, H. (2011). Turkish prospective teachers'understanding and misunderstanding on global warming.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0(3), 215-226 

  17. Papadimitriou, V. (2004). Prospective primary teachers' understanding of climate change, greenhouse effect, and ozone layer depletio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3(2), 299-307. 

  18. Ratinen, I. K. (2013). Primary student-teacher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greenhouse effect: A mixed method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5(6), 929-955. 

  19. Shepardson, D. P., Choi, S., Niyogi, D. & Charusombat, U. (2011). Seventh grade students' mental models of the greenhouse effect.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17(1), 1-17. 

  20. Shin, H. Y. & Lee, D. G. (2006). A research on the correct concept of the greenhouse effec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19(2), 122-132. 

  21. Yun, S.-J. (2009). The current state and tasks of school climate change educatio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22(2), 1-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