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혼 여성소비자의 소비스트레스 대처유형과 관련 변수: 사회인구학적 변수, 사회계층, 건강상태 지각 및 소비스트레스를 중심으로
Consumption Stress Coping Types Among Married Women Consumers and Related Variables: Focused on Socio-economic Variables, Social Clas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Consumption Stress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4 no.1, 2015년, pp.25 - 38  

복미정 (광주여자대학교 서비스경영학과) ,  서정희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focused to classify the consumption stress coping types among married women consumer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socio-economic variables, social clas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consumption stress among coping types. Data were collected from 500 married women through onli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3)의 연구만이 소비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사회적 지지행동, 적극적 대처 및 회피행동 등의 3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소비스트레스 대처의 유형을 우선 파악하고자 한다.
  • Kwon과 Kim(2010)은 소비스트레스는 일차적으로 소비과정에서 소비자가 자신의 의도나 기대를 실현하는 것을 방해하거나 저해하는 요소로 인해 경험하는 인지적․정서적 불균형감으로 정의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소비스트레스를 구매 전과 후에 소비자가 경험하게 되는 심리적 불편함이라고 정의내리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소비스트레스 대처유형을 밝힌 후, 유형에 따라 사회인구학적 변수, 사회계층, 건강상태 지각 및 소비스트레스 등의 변수와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소비스트레스 대처유형은 소극적 대처형, 양면적 대처형, 적극적 대처형, 부적응 대처형 등4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기혼 여성들이 경험하고 있는 소비스트레스 대처유형을 파악할 수 있었고, 유형별로 결과를 제시하여 추후 다양한 형태의 소비자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실제적인 정보를 제시하였다고 본다. 하지만 연구대상자가 제한적이고, 관련 변수도 사회인구학적 변수, 사회계층, 건강상태 지각 및 소비스트레스 만을 투입하여 분석하였기에 소비스트레스 대처유형별로 명확하게 결론을 내는데 한계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가정에서 소비의 한 축을 담당하는 기혼 여성을 대상으로 우선 소비스트레스 대처유형을 도출하여, 그 유형에 따라 사회인구학적 변수, 사회계층, 건강상태 지각 및 소비스트레스 등과 같은 변수들이 관련이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Gronhaug(1981)의 자원가설을 바탕으로 하여 사회인구학적 변수, 사회계층 및 건강상태는 개별 자원지표가 되어 스트레스 대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았다.

가설 설정

  • <연구문제 2> 소비스트레스 대처유형에 따라 사회인구 학적 변수, 사회계층, 건강상태 지각 및 소비스트레스는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비스트레스 대처에 관한 연구의 중요성이 왜 부각되고 있는가? 이러한 상황에서 시장환경의 변화에 따른 구조적인 선택의 어려움과 소비욕구를 효율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한 의사결정과정에서 소비스트레스가 크게 증가하면서 소비스트레스 대처에 관한 연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소비자는 소비스트레스를 유발하는 환경 자체를 바꾸는 것 보다 소비스트레스에 잘 대처하는 것이 더 쉽기 때문이다.
경제적 스트레스로 인해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어떻게 행동하는가? 세계화로 인한 실업률의 증가와 장기화, 소득계층의 양극화와 노동유연화로 인한 비정규직의 증가와 같은 거시적 경제 불확실성은 경제적 스트레스를 유발시키고 있다. 이러한 경제적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로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취업준비와 스팩쌓기에 지나치게 집착하여 건강한 사회관계망을 형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에 대한 통제력,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 기회 등과 같은 심리적 안녕감이 떨어져 육체적, 정신적 건강을 해치고 나아가 가정과 사회를 불안하게 하는 요인도 된다(Kang, 2012). 경제위기는 비단 대학생들 뿐만 아니라 가계경제에도 미치는 영향이 크다.
경제적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원인은 무엇이 있는가? 세계화로 인한 실업률의 증가와 장기화, 소득계층의 양극화와 노동유연화로 인한 비정규직의 증가와 같은 거시적 경제 불확실성은 경제적 스트레스를 유발시키고 있다. 이러한 경제적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로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취업준비와 스팩쌓기에 지나치게 집착하여 건강한 사회관계망을 형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에 대한 통제력,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 기회 등과 같은 심리적 안녕감이 떨어져 육체적, 정신적 건강을 해치고 나아가 가정과 사회를 불안하게 하는 요인도 된다(Kang,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illings, A. G., & Moos, R. H. (1984). Coping, Stress and Social Resources among Adults with Unipolar De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6, 877-891. 

  2. Bok, M. J., Seo, J. H., & Youn, H. J. (2013). The Effects of Self-Control and Consumption Stress on Consumption Stress Coping Behaviors.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9(3), 23-37. 

  3. Chae, J. M., & Rhee, E. Y. (2005). Attitude and Purchase Frequency toward Foreign Luxury Goods Related to Age and Social Stratification Variab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6), 885-895. 

  4. Fram, E., & Ajami, R. (1994). Globalization of Markets and Shopping Stress: Cross-country Comparisons. Business Horizons, Jan-Feb, 17-23. 

  5. Fram, E., & Axelrod, J. (1991). The Time-compressed Consumer. Marketing Insights, July, 34-39. 

  6. Gronhaug, K. (1981). Exploring the Problem-Prone Consumers: Hypothesis and Empirical Findings. The Changing Marketing Environment: New Theories and Applications. 1981 Educators' Conference Proceedings.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271-275. 

  7. Hahn, D. W., & Park, J. H. (2003). Effects of Rumination about Stressful Life Event and Anger Experiences on Subjective Well-Being and Health Percep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8(1), 147-168. 

  8. Hong, D. S. (1983). An Analysis of Occupations for Stratification Studies: With Reference to the Korean Standard. Social Science and Policy Research, 5(3), 69-83. 

  9. Hur, Y. J. (2009) The Stress, Coping Behavior and Health Problems of Rural Elementary School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ngwon University. 

  10. Ji, G. G. (2008). A Comparative Study on the Ways of Coping with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 Thesis. Konkuk University. 

  11. Kang, H. S. (2010). The Relationship Among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Stress Confrontation Strategi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3(3), 141-155 

  12. Kang, S. J. (2012). A Study on the Effects of Economic Stres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Backseok University. 

  13. Kim, A. S., & Yoon, G. (1987). Differences in Coping Style as a Function of Age and Situational Determinants in Adulthood.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6(1), 1-9. 

  14. Kim, B. J. (2000).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in Korea: Characteristics and Determinant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34, 241-268. 

  15. Kim, B. O., & Lee, J. S. (2008). Relationships among Stress Coping Strategies,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Behavior Problems in Children from Low-income and Middle-income Familie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7(6), 1051-1063. 

  16. Kim, C. H. (1995). Relationship of the Daily Hassle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trategies with Emotional Experience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7(1), 44-69. 

  17. Kim, U. C., & Park, Y. S. (1997). Stress, Appraisal, Coping, and Adaptational Outcome: An Indigenous Model.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1), 96-126. 

  18. Kwon, H. J., & Kim, R. D. (2010). An Analysis of Consumer Stress and Its Factors.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6(4), 1-23. 

  19.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Verlag. 

  20. Lee, G. I. (2010) A Study on the Stress and Depres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jin University. 

  21. Lim, M. S. (2013). Social Network Induced Stress on Coping Behaviors of Consumers.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20(4), 111-136. 

  22. Moon, Y. H., & Kim, W. I. (2006). A Study on the Stress KMA Cadets and University Students, and on the Relationship of the Self-efficacy, the Stress-coping, and the Perceived Stres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2), 485-501. 

  23. Moschis, G. P. (2007). Stress and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5, 430-444. 

  24. Oh, S. S., & Shin, H. K. (2008).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ife Stress, Coping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e Posttraumatic Stress and the Mental Health of 5,18 Victim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7(3), 595-611. 

  25. Park, J. W., & Jung, Y. H. (2012). The Stress, Coping Behavior and Health States of Elementary Students in Community Child Centers.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4), 309-320. 

  26. Park, K. N.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related Stress and Behavioral Intension of Restaurant Customer according to the HEXACO Model of Personality Structure.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Honam University. 

  27. Piko, B. (2001). Gender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Adolescents' Ways of Coping. The Psychological Record, 51, 223-235. 

  28. Shong, K. Y., & Lee, S. Y. (2000). A Survey o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atterns between Korean Elderly and Korean-American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7(3), 401-414. 

  29. Thomas, K. W. (1976). Conflict and Conflict Management. In M.D. Dunnette (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Rand McNally. 

  30. Wheaton, B. (1985). Models for the Stress-Buffering Functions of Coping Resource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6, 352-364. 

  31. Yoon, G., & Choy, C. H. (1989). Mental Health Status and Coping Styles in The Senior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1), 16-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