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불안과 스트레스의 관련 요인: 인구학적 특성 및 거주지역 만족도를 중심으로
Factors related to COVID-19 Anxiety and Stress: Focus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Neighborhood Satisfac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6, 2021년, pp.71 - 80  

이래혁 (순천향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코로나19 불안과 스트레스의 관련 요인을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충남 아산시 A지역에서 실시된 지역사회 복지욕구 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여 2차 자료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81명의 응답자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 결과, 36.9%가 코로나19 불안을 경험하였고, 51.5%가 코로나19 스트레스의 정도가 높다고 보고하였다. 둘째, 로지스틱 회귀 분석의 결과, 여성인 경우, 청년이나 노년에 비해 중장년인 경우, 배우자가 없는 경우, 자가가 아닌 경우, 거주지역 만족도가 낮을수록 코로나19 불안을 경험할 위험성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통해 노년에 비해 청년이거나 중장년인 경우, 자가가 아닌 경우 코로나19 스트레스가 높은 범주에 속할 위험성이 더 높게 나타남을 확인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코로나19 상황에서 사람들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전략에 대해 다양한 제언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factors related to COVID-19 anxiety and stress. For the purpose, a secondar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raw data of the community needs assessment performed in A region located in Asan, Chungnam. The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scriptive statistics...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 취약계층의 정신건강을 살펴본다는 점, 코로나19 불안과 스트레스를 모두 다룬다는 점, 거주지역 환경과 코로나19로 인한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살펴본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화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코로나19 상황에서 사회 취약계층의 정신건강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전략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한국은행, 주요 전염병과 자연재해로 인한 경제적 영향 및 시사점, 서울: 한국은행, 2020. 

  2. 박성욱, "코로나19의 경제적 영향 및 정책대응 방향," 주간금융브리프, 제29권, 제6호, pp.3-10, 2020. 

  3. 한국은행, 한눈에 보는 우리나라 100대 통계지표, n.d., http://ecos.bok.or.kr/jsp/vis/keystat/#/key. 

  4. 남재현, 이래혁, "코로나19의 영향은 모두에게 동등한가? 종사상 지위별 소득과 빈곤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72권, 제4호, pp.215-241, 2020. 

  5.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2020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국민 건강상태 실태 조사, 2020. 

  6. 이은환, "코로나19 세대, 정신건강 안녕한가!," 이슈&진단, 제414호, pp.1-25, 2020. 

  7. 신지윤, 박혜윤, 김정란, 이정재, 이해우, 이소희, 신형식, "2015년 한국 메르스 사태 1년 이후 생존자들의 정신과적 문제," 신경정신의학, 제58권, 제3호, pp.245-251, 2019. 

  8. 박주언, 강석훈, 원성두, 노대영, 김원형, "재난정신건강 평가도구," 대한불안의학회지, 제1권, 제2호, pp.91-105, 2015. 

  9. 보건복지부, 국가 트라우마 센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심리지원 가이드라인, 2020. 

  10. 이승환, 코로나19 불안지수: 감성분석과 의미, 성남시,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2020. 

  11. 유계숙, 주수산나, 김종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기혼 성인 남녀의 스트레스 경험: 젠더와 계층의 교차성을 중심으로," 제106권, 제3호, pp.5-32, 2020. 

  12. 박용천, 박기호, 김나은, 이주희, 조수린, 장지희, 정다운, 장은진, 최기홍, "COVID-19, 한국에서의 심리적 영향: 예비 연구," 제39권, 제4호, pp.355-367, 2020. 

  13. 박상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7권, 제5호, pp.83-91, 2020. 

  14. 김승희, 이한나, 설동진, "코로나19(COVID-19) 이후 한부모 가족의 주거 스트레스 영향요인," 제38권, 제3호, pp.85-104, 2020. 

  15. 진미정, 성미애, 손서희, 유재언, 이재림, 장영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가족생활 및 가족관계의 변화와 스트레스,"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제58권, 제3호, pp.447-461, 2020. 

  16. 조혜지, 김혜옥, "코로나19로 인한 C시 지역 소상인들의 불안감, 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 한국간호과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20. 

  17. 장은영, "코로나19 시기에 경험하는 불안과 수면의 관계에 대한 예비연구: P지역 성인을 중심으로," 한국 심리학회지: 건강, 제26권, 제1호, pp.73-89, 2021. 

  18. 성미애, 장은영, 진미정, 손서희, "코로나19에 따른 1인 가구의 일상생활 변화 및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가족탄력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25권, 제3호, pp.3-20, 2020. 

  19. 김송이,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삶의 질,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융합적 연구," 제11권, 제6호, pp.423-431, 2020. 

  20. 이상문, "빈곤계층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3년간의 패널연구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42권, 제3호, pp.119-152, 2008. 

  21. J. Kim, J. Shim, and R. H. Lee, "Material hardship and depression among low-income households in South Korea: Differences by household type,"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25, No.2, pp.187-198, 2016. 

  22. 이재경, 이래혁, 이은정, 장혜림. "저소득층의 자살생각에 관한 탐색적 연구: 물질적 어려움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68권, 제3호, pp.181-201, 2016. 

  23. 이재경, 이래혁, "저소득층의 물질적 어려움과 음주: 자아존중감과 가족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7호, pp.552-565, 2016. 

  24. 이래혁, 이재경, "저소득층이 경험하는 식품미보장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우울과 건강만족도의 매개효과,"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34권, 제2호, pp.29-40, 2017. 

  25. 조선비즈, "저소득 여성이 코로나 타격 가장 크다... 우울감.일자리 상실," 2020년 8월 6일 기사. 

  26. 마인드 포스트, "코로나19와 상실의 시대... 재난 시기에 고위험군을 빨리 발굴하는 게 정신건강 서비스의 핵심," 2020년 9월 4일 기사. 

  27. 이홍직, "노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자본 특성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5집, 제3호, pp.25-42, 2009. 

  28. 이상록, "소득계층간 주거지 분리의 거주지역 특성이 저소득빈곤층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8집, 제4호, pp.277-302, 2012. 

  29. 신화경, 조인숙, "주거환경 무질서 인식과 주관적 정신건강과의 관계," 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제29권, 제2호, pp.91-99, 2018. 

  30. 문하늬, 채철균, 송나경, "지역사회 물리적 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서울도시연구, 제19권, 제2호, pp.87-103, 2018. 

  31. R. C. O'Connor and M. K. Nock, "The psychology of suicidal behaviour," The Lancet Psychiatry, Vol.1, pp.73-85, 2014. 

  32. A. John, A. C. Glendenning, A. Marchant, P. Montgomery, A. Stewart, S. Wood, K. Lloyd, and K. Hawton, "Self-harm, suicidal behaviours, and cyberbullying in children and young people: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20, No.4, p.e129, 2018. 

  33. S. K. Brooks, R. K. Webster, L. E. Smith, L. Woodland, S. Wessely, N. Greenberg, and G. J. Rubin, "The psychological impact of quarantine and how to reduce it: Rapid review of the evidence," The Lancet, Vol.395, pp.912-920, 2020. 

  34. E. A. Holmes, R. C. O'Connor, V. H. Perry, I. Tracey, S. Wessely, L. Arseneault, C. Ballard, H. Christensen, R. C. Silver, I. Everall, T. Ford, A. John, T. Kabir, K. King, I. Madan, S. Michie, A. K. Przybylski, R. Shafran, A. Sweeney, C. M. Worthman, L. Yardley, K. Cowan, C. Cope, M. Hotopf, and E. Bullmore, "Multidisciplinary research priorities for the COVID-19 pandemic: A call for action for mental health science," The Lancet Psychiatry, Vol.7, pp.547-560, 2020. 

  35. U. Bronfenbrenner,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36. 김주희, 유정원, 송인한,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령의 조절효과 분석," 보건사회연구, 제35권, 제3호, pp.42-70, 2015. 

  37. 강상경, 권태연, "사회경제적 지위가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의 생애주기별 차이에 대한 탐색적 고찰,"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30권, pp.332-355, 2008. 

  38. 이윤석, "혼인상태에 따른 중년남녀의 건강행위와 건강상태," 한국인구학, 제35권, 제2호, pp.103-131, 2012. 

  39. 이래혁, 이재경, "저소득 여성 독거노인의 물질적 어려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73권, 제4호, pp.29-53, 2018. 

  40. 김승희, 이한나, "코로나-19(COVID-19) 이후 한부모가족의 주거 스트레스와 유형별 지원 방향 모색," IDI 도시연구, 제18호, pp.129-145, 2020. 

  41. S. A. Lee, "Coronavirus Anxiety Scale: A brief mental health screener for COVID-19 related anxiety," Death Studies, Vol.44, No.7, pp.393-401, 2020. 

  42. SH도시연구원, 공공임대주택 입주자 특성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서울: 저자, 2017. 

  43. 서울특별시, 서울시 COVID19 심리지원단, n.d., http://covid19seoulmind.org.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