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분포모형을 이용한 수원청개구리의 번식기 서식지 분석
Habitat Analysis of Hyla suweonensis in the Breeding Season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8 no.1, 2015년, pp.71 - 82  

송원경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yla suweonensis is an endemic species and is designated as the only endangered species I among amphibians in 2012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owever studies about its habitat are lacking.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habitat of H. suweonensis based on the spatial information using Ma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개념을 토대로 본 연구는 수원청개구리 보존을 위해 수원청개구리 서식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수원청개구리 서식지 보전을 위해 종분포모형을 적용하고, 이를 토대로 수원시를 대상으로 수원청개구리 서식지 관리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 수원청개구리 서식지 예측 지도는 수원시를 시작으로 황구지천, 오산천, 진위천으로 연결되는 『수원청개구리 서식지 보전 네트워크(가칭)』 의 필요성을 제안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이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지역을 대상으로 환경, 생태, 시민, 사회, 행정 등 각 분야의 통합된 논의를 이끌어 내고 이를 토대로 서식지 보전 및 복원사업을 추진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수원시와 화성시, 평택시 등 황구지천과 진위천 유역이 연계된 지자체 네트워크가 잘 형성된다면 수원청개구리 서식지 보전ㆍ관리가 더 효과적으로 추진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Figure 4).
  • 생물다양성 중 생태계 다양성은 유전자와 종다양성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공간적 범위를 지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개념을 토대로 본 연구는 수원청개구리 보존을 위해 수원청개구리 서식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수원청개구리 서식지 보전을 위해 종분포모형을 적용하고, 이를 토대로 수원시를 대상으로 수원청개구리 서식지 관리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Yang et al., 1981에 따르면, 수원청개구리의 번식 시기 때, 무엇으로 청개구리와 식별이 가능한가? org/). 번식 시기 때 수컷의 구애음성이 청개구리에 비해 저음의 금속성이면서 울음 간 시간간격이 길어서 식별이 가능하다(Yang et al., 1981). Yang and Park(1988)은 청개구리와 수원청개구리가 유전적으로 뚜렷한 차이가 있고, 생식적 격리가 완성된 별종인 것으로 보고하였다.
Ministry of Environment, 2010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도시화와 기후변화의 진행속도는 세계 평균에 비교해 어떠하며, 향후 무엇이 예상되는가? 기후변화를 비롯한 환경변화, 자연서식지 감소, 도시화의 인접 생태계 부정적인 영향 증대는 야생동식물의 서식환경을 지속적으로 악화시키고 있다. 우리나라의 도시화와 기후변화 진행 속도는 세계 평균보다 빠른 것으로 파악되어 향후 기온 및 강수량 변동성이 커지고 극한 기후 빈도가 증대하여 극심한 생태계교란 및 변화가 예상된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0). 특히 지리적으로 널리 분포하는 보편종(ubiquitous species)보다는 자연적으로 유일한 지역에서 발견되고 다른 곳에는 분포하지 않는 고유종(endemic species)은 이러한 환경변화에 더 취약할 것이라 예상되므로(Smith and Smith, 2009), 고유종에 대한 보전 · 관리는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정책이라 할 수 있다.
수원청개구리는 Kuramoto(1980)가 청개구리와의 어떤 차이를 들어 별종으로 기재한 한국 특산종인가? 수원청개구리(Hyla suweonensis)는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해 2012년 멸종위기야생생물Ⅰ급으로 추가 지정된 보호종으로서 양서류로는 유일한 Ⅰ급 보호종이다. 수원청개구리는 Kuramoto(1980)가 청개구리와는 울음소리가 다르고 울음주머니의 색깔과 뒷다리 물갈퀴의 차이를 들어 별종으로 기재한 한국특산종이다(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3). 수원청개구리는 이름처럼 수원시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어 1980년 보고된 한국고유종으로서 생김새가 청개구리(Hyla japonica)와 아주 유사하지만 울음소리로 구별이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다(Ja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lix D. M.,C. J. Anderson.J. B. Grand and C. Guyer. 2014. Evaluating the Effects of Land Use on Headwater Wetland Amphibian Assemblages in Coastal Alabama. Wetlands 34: 917-926. 

  2. Baker J.,T. Beebee.J. Buckley.T. Gent and D. Orchard. 2011. Amphibian Habitat Management Handbook. Amphibian and Reptile Conservation. Bournemouth. 

  3. Cheong SW.Sung HC.Park DS and Park SR. 2009. Population Viability Analysis of a Gold-spotted Pond Frog (Rana chosenica) Population: Implications for Effective Conservation and Re-introduction. Korean J. Environ. Biol. 27(1): 73-81. 

  4. Chun SW.Jung EG.I. Voloshina.Chong JR. Lee H and Min MS. 2012. Genetic Diversity of Korean Tree Frog (Hyla suweonensis and Hyla japonica): Assessed by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and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Gene. Korean Journal of Herpetology 4: 31-41. 

  5. Davidson C.H. B. Shaffer and M. R. Jennings. 2001. Declines of the California Red-Legged Frog: Climate, UV-B, Habitat, and Pesticides Hypotheses. Ecological Applications 11(2): 464-479. 

  6. Eigenbrod F.,S. J. Hecnar and L. Fahrig. 2008. The relative effects of road traffic and forest cover on anuran populations. Biological Conservation 141: 35-46. 

  7. Ficetola G. F. and F. De Benardi. 2004. Amphibians in a human-dominated landscape: the community structure is related to habitat features and isolation. Biological Conservation 119: 219-230. 

  8. Franklin, J. 2009. Mapping species distributions: spatial inference and predi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UK. 

  9. Jang YK.Hahm EH.Lee HJ.Park SY.Won YJ and Choe JC. 2011. Geographic Variation in Advertisement Calls in a Tree Frog Species: Gene Flow and Selection Hypotheses. PLoS one 6(8): 1-12. 

  10. Kim IH.Son SH.Kang SW and Kim JB. 2012. Distribution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the Endangered Suweon-Tree Frog (Hyla suweonensis). Korean Journal of Herpetology 4: 15-22. 

  11. Kuramoto, M. 1980. Mating Calls of Treefrogs (Genus Hyla) in the Far East, with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from Korea. American Society of Ichthyologists and Herpetologists 1: 100-108. 

  12. Kwon HS.Seo CW and Park CH. 2012. Development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and Evaluation of Species Richness in Jirisan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20(3): 11-18. 

  13. Lee DK and Song WK. 2008. A Study on the Analytic Unit of Habitat Suitability Assessment and Selection in Conservation Areas for Leopard Cat(Prionailurus bengalensis) - Focus on Chungcheong Province Area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5): 64-72. 

  14. Lee EY and Moon SK. 2011. Assessment of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Abandoned Rice Paddy Wetlands as Habitats for the Amphibia within Land Development Districts. J. Korean Env. Res. Tech. 14(1): 35-42. 

  15. Lee HW. 2010. A Study of Methodologies Assessing Species Susceptibility to Climate Change. Issue studies of Korea Environment Institute. 

  16. Lee JH.Jang HJ and Seo JH. 2012. Ecological guide book of herpetofauna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7. Ministry of Environment. 2003. The Practice of Watershed Protection. 

  18. Ministry of Environment. 2010. 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Master Plan(2011-2015). 

  19.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3. Research on growth and restoration of endangered species Suwon tree frog. 

  20. Oh HS and Hong CE. 2007. Current Conditions of Habitat for Rana catesbeiana and Trachmys scripta elegans Imported to Jeju-do, Including Proposed Management Plans. Kor. J. Env. Eco. 21(4): 311-317. 

  21. Park BS. 1994. Study on the Amphibia Fauna in Tokyusan National Park - Effects of Amphibia Habitat by Large Construction Works -. Korean J. Environ. Biol. 7(2): 207-212. 

  22. Phillips S. J.,R. P. Anderson and R. E. Schapire. 2006. Maximum entropy modeling of species geographic distributions. Ecological Modelling 190: 231-259. 

  23. Riitters, K. H.,R. V. O'Neill and K. B. Jones. 1997. Assessing Habitat Suitability at Multiple Scales: A Landscape-level Approach. Biological Conservation 81: 191-202. 

  24. Roh GA. 2013. Spatiotemporal distributions of the endangered treefrog, Hyla suweonensis, in relation to sympatric H. japonica: calling activity and habitat characteristics. M.A.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5. Roh GA.A. Borzee and Jang YK. 2014. Spatiotemporal distributions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the endangered treefrog, Hyla suweonensis, in relation to sympatric H. japonica. Ecological Informatics 24: 78-84. 

  26. Seo CW. 2000. Wild boar (Sus scrofa coreanus Heude) habitat modeling using GIS and logistic regression.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7. Seo CW.Choi TY.Choi YS and Kim DY. 2008. A Study on Wildlife Habitat Suitability Modeling for Goral (Nemorhaedus caudatus raddeanus) in Seoraksan National Park.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11(3): 28-38. 

  28. Shim YJ.Cho DG.Park SH.Lee DJ.Seo Y H.Kim SH.Kim DH.Ko SB.Cha JY and Sung HC. 2014. Development of 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Habitat Restoration of Narrow-mouth Frog(Kaloula borealis). J. Korean Env. Res. Tech. 17(2): 109-123. 

  29. Smith, T. M. and R. L. Smith. 2009. Elements of Ecology. Seventh Edition. Person Education Inc. 

  30. Song WK and Kim EY. 2012. A Comparison of Machine Learning Species Distribution Methods for Habitat Analysis of the Korea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argyropu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8(1): 171-180. 

  31. Song WK.Kim EY.Lee DK.Lee MJ and Jeon SW. 2013. The sensitivity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to scale differences. Ecological Modelling 248: 113-118. 

  32. Yang SY and Park BS. 1988. Speciation of the two species of the genus Hyla (Anura) in Korea. Korean Journal of Zoology 31: 11-20. 

  33. Yang SY.Park BS and Son HJ. 1981. Species comparison of the genus Hyla in Korea. Bull Institute Basic Science, Inha University 2: 75-83. 

  34. Yang SY.Min MS.Kim JB and Suh JH. 1997. Intra and Inter Specific Diversity and Speciation of Two Tree Frogs in the Genus Hyla. Korean J. Genetics 19(1): 71-87. 

  35. Yoon SI.Park CJ.Bhan YH and Gye MC. 2008. Amphibian Biotope Planning to Research on Reproduction of Bombina orentalis. Korean J. Environ. Biol. 26(1): 22-29. 

  36. Yu SL and HY Lee. 1990. Comparative karyological analysis of the Korean tree frogs, Hyla japonica and Hyla suweonensis (Anura, Hylidae). Korean Journal of Zoology 33: 1-5. 

  37. http://www.cbd-chm.go.kr/ 

  38. http://www.iucnredlist.or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