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공원 구조 및 식생 조건에 따른 조류 종다양성 분석 - 천안시 26개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
Analysis of Bird Species Diversity Response to Structural Conditions of Urban Park - Focused on 26 Urban Parks in Cheonan City -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8 no.3, 2015년, pp.65 - 77  

송원경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rban park has important functions as a habitat for wildlife as well as open space of rest and community for peopl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what factors of structure and vegetation of urban parks could affect forest bird species diversity in Cheonan city. The study surveyed bird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원의 구조적 조건이 조류의 서식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전제로, 도시공원의 면적, 형태와 식생조건에 따라 조류 종다양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서식하는 조류의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공원의 구조와 식생피복 수준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도시공원을 조성, 관리하기 위한 환경생태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향후 도시공원정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원의 구조적 조건이 조류의 서식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전제로, 도시공원의 면적, 형태와 식생조건에 따라 조류 종다양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서식하는 조류의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공원의 구조와 식생피복 수준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도시공원을 조성, 관리하기 위한 환경생태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향후 도시공원정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 이러한 조사 자료는 단순히 특정 지역에 어떠한 생물종이 서식하고 있다는 차원을 넘어서 그 원인을 분석하고 더 나아가 대상지의 종다양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에 이르렀다. Kwak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o, K?deW Derryberry and T Peterson. 2014. Model selection for ecologists: the worldviews of AIC and BIC. Ecology 95(3): 631-636. 

  2. Amano, T?Y Kusumoto?Y Tokuoka?S Yamada? EY Kim and S Yamamoto. 2008.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in the use of rice-paddy dominated landscapes by birds in Japan. Biological Conservation 141(6): 1704-1716. 

  3. Bibby, CJ?ND Burgess and DA Hill. 1997. Bird census technique. Academic press. London. pp. 257. 

  4. Chamberlain, DE?S Gough?H Vaughan?JA Vickery and GF Appleton. 2007. Determinants of bird species richness in public green spaces: Capsule Bird species richness showed consiste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ite area and rough grass. Bird study. 54: 87-97. 

  5. Cho W?Kim JY and Hong SH. 2005. Actual Vegeta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aengma Urban Natural Park in Inche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9(4): 358-366. 

  6. Collinge, SK and TM Palmer. 2002. The influences of patch shape and boundary contrast on insect response to fragmentation in California grasslands. Landscape Ecology 17: 647-656. 

  7. Forman, RTT. 1995. Some general principles of landscape and regional ecology. Landscape Ecology 10(3), 133-142. 

  8. Hino, T. 1985. Relationships between bird community and habitat structure in shelterbelts of Hokkaido, Japan. Oecologia 65: 442-448. 

  9. Hong SH and Kwak JI. 2011. Characteristics of Appearance by Vegetation Type of Paridae in Urban Forest of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5): 760-766. 

  10. Ikin, K?RM Beaty?DB Lindenmayer?E Knight?J Fischer and AD Manning. 2013. Pocket parks in a compact city: how do birds respond to increasing residential density? Landscape Ecology 28(1): 45-56. 

  11. Kim J and Koo TH. 2003. Influence of the Eco-park Development on Bird Community in Urban Stream.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26(3): 97-102. 

  12. Kim J?Moon GD and Koo TH. 2004.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and Habitat Use in Gildong Natural Ecological Park.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7(1): 19-29. 

  13. Kwak JI?Lee KJ and Han BH. 2010. Study on Analysis of Influence Factor for Wildbirds' Appearance in Urban Area around Urban Green Axi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2), 166-177. 

  14. Lee D?Jeon S?Lee M?Kim M and Choung H. 2004. Landscape Ecology. Seoul: Bomoondang. 

  15. Lee KJ?Han BH and Lee SD. 2004. Ecological Management Plan and Biotope Structure of Namsan Urban Natural Park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5): 102-118. 

  16. Lee S?Kim J and Min H. 2002. A Study on Habitat for Multiplication of Wild-birds in Urban Woodland, Korean.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25(3): 143-155. 

  17. Lee WS?Koo TH and Park JY. 2000. A Field Guide to the Birds of Korea, Seoul: LG Evergreen Foundation. 

  18. Moore, AA and MA Palmer. 2005. Invertebrate biodiversity in agricultural and urban headwater streams: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Ecological Applications 15(4): 1169-1177. 

  19. R Development Core Team. 2014.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20. Rhim SJ. 2008. Differences in Breeding Bird Communities between Coniferous Forests of Mt. Namsan and Gwangneung Area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2(3): 332-337. 

  21. Rhim SJ?Lee JY and Kang JH. 2007. Characteristics of Habitat Structure and Bird Communities between a Natural Deciduous Forest and the Road Area in Gwangneung,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1): 47-54. 

  22. Rhim SJ?Son SH and Kim KJ. 2011. Breeding Ecology of Tits Parus spp. Using Artificial Nest Boxes in a Deciduous Forest.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100(3): 397-401. 

  23. Shannon, CE. 1948. 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Reprinted with corrections from The Bell System Technical Journal 27: 379-423, 623-656. 

  24. Song W?Kim E and Lee D. 2013. Habitat Connectivity Assessment of Tits Using a Statistical Modeling: Focused on Biotop Map of Seoul, South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2(3): 219-230. 

  25. Turner, MG. 1989. Landscape ecology: the effect of pattern on proces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20: 171-197. 

  26. You S?Byun B and Kim S. 2012.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Population and Industrial Structure due to Residential Development - A Case of Cheonan-Si and Asan-Si -.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46(4): 415-427. 

  27. Wenger SJ?JT Peterson?MC Freeman, BJ Freeman and DD Homans. 2008. Stream fish occurrence in response to impervious cover, historic land use, and hydrogeomorphic factors. Can. J. Fish. Aquat. Sci. 65: 1250-1264. 

  28. http://joongang.joins.com/ (Korea Joongang Daily, 2013. 6. 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