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강조된 온-오프라인 혼합형 학습이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과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On-Off Line Blended Learning in Emphasizing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on the Perception about Learning Environment and Science-Related Attitude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5 no.1, 2015년, pp.27 - 35  

황요한 (경북대학교) ,  김진숙 (경북대학교) ,  이무상 (경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학교 교육은 디지털 시대로의 교육환경의 변화 및 학습자 중심의 교육에 대한 강조와 그에 따른 교사 역할의 변화 등을 받아들이면서 변화하고 있다. 이런 변화에서 e-learning은 적절한 학습 환경으로 각광받아왔으나, 학습에서 중요한 요소인 상호작용의 부재로 인한 문제점이 드러났다. 그리하여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에게 학교 홈페이지를 활용한 학습에 대한 설문 조사를 토대로,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을 강조한 수업 환경 조성을 위해 가상 공간과 물리적 공간을 오가며 학습하는 혼합형 학습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G중학교 2학년에서 비교집단 1개 반(40명)과 실험집단 1개 반(40명)을 선정하였다. 비교집단에서는 강의 및 토의식 수업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에서는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강조된 혼합형 학습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물질의 특성' 단원 중 8차시에 걸쳐 진행되었다. 혼합형 학습에 대한 인식과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에 설문조사와 과학 관련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과학적 사고와 태도가 자극되어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검사 결과는 비교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은 혼합형 학습을 통해 교사의 안내 및 피드백을 더 쉽게 제공 받음으로써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의 기회를 더욱 부여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혼합형 학습은 학생들로 하여금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자신의 경험을 표현할 수 있게 하고, 교사와 학생의 학습 관련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므로 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 향상에 도움이 되는 학습 방법으로 제안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neral education is changed by accepting the change in education environment to digital generation, emphasis about student-centered education, and change of teacher's role. E-learning has taken center stage as an effective learning environment but the problems are drawn for the absence of intera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 과학 「물질의 특성」단원에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강조한 혼합형 학습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과 절차에 의해 수행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 과학의 「물질의 특성」 단원에서 전통적인 수업에 비해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강조한 혼합형 학습이 학생들의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과 과학 관련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려고 한다. 본 연구는 혼합형 학습이 과학을 재미없어하는 학생들에게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여 과학에 대한 태도와 학습인식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수행하였다.
  • 1차 회의에서 중학교 2학년 「물질의 특성」단원에 혼합형 학습을 적용하기로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중학교 2학년「물질의 특성」단원의 학습목표는 물질의 특성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실생활에 이용되고 있는 물질의 예를 찾아 그 물질의 특성을 관련짓는 것이다. 즉, 학습과 일상생활에서의 경험을 연관 지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습을 병행하면서 e-learning의 취약점인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의 부족을 보완하는 혼합형 학습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교육과정에서도 개념이해뿐 아니라 실생활과 관련 있는 소재와 연관 지어 학습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으므로(MEST, 2011),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자신의 경험을 예로 들어 표현하고 교사 또는 학생간의 상호작용을 촉진시켜줄 수 있는 혼합형 학습을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과 과학관련 태도의 변화를 보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 과학의 「물질의 특성」 단원에서 전통적인 수업에 비해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강조한 혼합형 학습이 학생들의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과 과학 관련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려고 한다. 본 연구는 혼합형 학습이 과학을 재미없어하는 학생들에게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여 과학에 대한 태도와 학습인식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e-learning의 문제점은? 이러한 교육 정보화의 발전과 디지털 시대로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학습 방법이 요구되어 왔으며, 그 중 인터넷의 발달과 관련된 e-learning이 한동안 이슈가 되어 왔다. e-learning은 온라인 공간을 통한 교육으로 학습자들에게 접근성과 편리성을 높여주고 풍부한 학습 자원을 제공하는 학습 형태로 각광 받았지만, 직접적인 체험 학습의 불가능,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한계 등의 문제점들이 도출되었다(Lee, 2007). e-learning 학습 환경에서의 상호작용을 통해서는 전통적 교실 학습에서처럼 인성적인 측면을 다루기 어려우며, 실시간 토론 등을 통해 부분적으로 가능하기는 하지만 전통적 교실 학습에서와 같이 궁금증의 해결을 위한 교사와의 직접적인 소통을 하기 어렵다(Hong, 2005; Kim, Choi, & Kim, 1999).
혼합형 교육 형태에 대한 긍정적인 주장은? 이렇게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습 환경을 통합하는 수업 방식을 혼합형 학습(blended learning)이라 하는데, 혼합형 학습은 학습의 효과 성・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온라인과 오프라인 각 환경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학습의 접근성・편리성・융통성을 높여주는 학습 환경을 제공해 주는 혼합형 교육 형태를 말한다(Driscoll, 2002; Graham, 2006). Stahlke & Nyce(1996)는 모든 교육을 완전히 사이버 교육으로 전환하는 것보다는 사이버 방식과 집합 방식을 병행하는 것이 더 효과 적일 것이라고 주장하였고, Kim(2000)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두 공간에서의 활동이 상호보완적으로 조화를 이룰 때 더 만족스러운 수업이 진행될 수 있다고 하면서 온-오프라인 혼합 운영의 필요성에 대해 주장하였다. Jin(2004)도 집합 형태의 교실 수업과 온라인 형태의 교수・ 학습 활동을 병행하여 학습을 진행하는 형태가 교실 수업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학습자의 편의성・다양한 상호작용・정보의 접근성 등을 높여 교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Havard Business School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과 전통적인 교실 수업을 병행하는 혼합형 학습을 실시한 결과, 전통적인 교실 수업보다 더 많은 학습을 하였다는 보고도 있다(DeLacey & Leonard, 2002). 또한 혼합형 학습은 학습공동체 형성의 기회 제공으로 상호작용을 통한 협력적지식 형성이 가능하고, 정보 공유나 유대감 형성에 효과적이라고 보고하고 있다(Gabriel, 2004; Lee, 2005). 이러한 장점은 중학교 수준에서 학생들에게 상호작용의 장점을 부각시켜 학습이나 과학에 대한 태도 향상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혼합형 학습이란? 이렇게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습 환경을 통합하는 수업 방식을 혼합형 학습(blended learning)이라 하는데, 혼합형 학습은 학습의 효과 성・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온라인과 오프라인 각 환경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학습의 접근성・편리성・융통성을 높여주는 학습 환경을 제공해 주는 혼합형 교육 형태를 말한다(Driscoll, 2002; Graham, 2006). Stahlke & Nyce(1996)는 모든 교육을 완전히 사이버 교육으로 전환하는 것보다는 사이버 방식과 집합 방식을 병행하는 것이 더 효과 적일 것이라고 주장하였고, Kim(2000)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두 공간에서의 활동이 상호보완적으로 조화를 이룰 때 더 만족스러운 수업이 진행될 수 있다고 하면서 온-오프라인 혼합 운영의 필요성에 대해 주장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Black, P., & William, D. (1998). Assessment and classroom learning. Assessment in Education: Princeles, Policy & Practice, 5(1), 7-74. 

  2. Cho, Y. (2001). Understanding about classroom lesson of secondary school of Korea. Seoul: Kyoyook Inc. 

  3. Choi, I., & Lee, A. (2010). Effects of blended-Learning on self-efficacy and attitude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17(3), 95-114. 

  4. Choi, K., Park, J., Choi, B., Nam, J., Choi, K., & Lee, K. (2004).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roo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4(6), 1039-1048. 

  5. DeLacey, B. J., & Leonard, D. A. (2002). Case study on technology and distance in education at the Harvard Business School, Educational Technology and Society, 5(2), 13-28. 

  6. Driscoll, M. (2002). Blended learning. e-Learning, 3(3), 54-56. 

  7. Fraser, B. J. (1981). TOSRA :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handbook. Melbourne: The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8. Gabriel, M. A. (2004). Learning together: Exploring group interaction online.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19(1), 54-72. 

  9. Graham, C. R. (2006). Blended learning systems: definition, current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In Bonl, C. J., & Graham, C. R. (Eds.), Handbook of blended learning: Global perspectives, local designs. San Francisco, CA: Pfeiffer Publishing. 

  10. Han, K., Park, H., & Ryu, J. (2011). A case study on the learning characteristics of science-gifted students in jeonnam province -focused on verbal and nonverbal interactions in small group-.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1), 51-60. 

  11. Hong, S. (2005).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plan of physical education in middle school using blend learning strategy linked with E-learning syste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12. Jin, S. (2004). Design of learning model and system based on blendedlearning.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Conference presentation file, 31(2-I), 259-261. 

  13. Jung, S., & Shin, Y. (2013). The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in elementary science programs using multi-level instruc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7), 1450-1470. 

  14. Kang, S., Han, S., Jeong, Y., & Noh, T. (2001). Comparison of verbal interaction patterns in small-group discussion by learning strateg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1(2), 279-288. 

  15. Kang, S., Kim, C., & Noh, T. (2000). Analysis of verbal interacion in small group discuss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3), 353-363. 

  16. Kim, D. (2002). Reality and future of company education-present condition and prospect of e-learning. Hyundai Research Institute-industry. management report, 1-7. Retrieved from http://www.hri.co.kr/upload/publication/KER200209_03.pdf. 

  17. Kim, H. (1996).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on science education for open classroom.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5(1), 1-28. 

  18. Kim, H., Choi, H., & Kim, S. (1999). Critical success factors of the virtual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5(1), 241-264. 

  19. Kim, H., & Kim, H. (2014). Teacher communication behavior awareness of teachers and students and relationship with science anxiety. Research in Elementary Subject Matter Education, 19, 1-26. 

  20. Kim, J., Song, S., & Shim, K. (2013). The patterns of interaction in teacher interviewing with high school students' small group for biology learning.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1), 118-130. 

  21. Kim, M. (2000). The successful cyber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challenges based on several cases in web environment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6(1), 47-67. 

  22. Kim, S., Yoon, M., & So, Y. (2008). Academic interests of Korean students: description, diagnosis, & prescription.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14(1), 187-221. 

  23. KNUH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igh School) (2008). Improvement teaching-learning method to apply blended-learning. Research report of 2008 designation permanent policy research schoo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24. Lee, J. (2005). The type of interaction and the process of knowledge building in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utilizing web-based bulletin board.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1(4), 29-58. 

  25. Lee, J., & Kim, J. (20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eer instruction including interactive experiments focused on reflection of light.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1), 186-202. 

  26. Lee, M., & Hong, M. (2007). Trends and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7(3), 201-211. 

  27. Lee, O. (2004). A qualitative approach to teacher-student interaction in Korean middle school science clas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8. Lee, S. (2007). Design principles of interactions for blended learning.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3(2), 225-250. 

  29. Lim, B., Lee, J., Lim, J., Lee, H., Jeong, J., & Jeong, E. (2005). Research of analysis e-learning status in higher education.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report KR 2006-24.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orea. 

  30. Lim, H., & Noh, T. (2001). Verbal interactions in heterogeneous small-group cooperative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1(4), 668-676. 

  31. MEST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1). Proclam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361 [separate volume 9]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32. Mortimer, E., & Scott, P. (2000). Analysing discourse in the science classroom. In Miller R., Leach J., & Osborne J. (Eds.), Improving science education: the contribution of research (pp. 126-142).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33. Nam, J., Lee, S., Lim, J., & Moon, S. (2010). An analysis of change in beginner science teacher's classroom interaction through mentoring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8), 953-970. 

  34. Oldfather, P., & McLaughlin, J. (1993). Gaining and losing voice: A longitudinal study of students' continuing impulse to learn acros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ontexts. Research in Middle Level Education quarterly, 17(1), 1-25. 

  35. Park, S., & You, Y. (201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llaborative knowledge construction procedural model in K-12 blended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4), 803-848. 

  36. Pekrun, R. (1993). Facets of adolescents' academic motivation: A longitudinal expectancy-value approach. In Maehr, M., & Pintrich, P. (Eds.), Advances in Motivation and Achievement (Volume. 8, p.139-189). Greenwich, CT: JAI Press. 

  37. Pryor, J., & Torrance, H. (1996) Teacher-pupil interaction in formative assessment: assessing the work or protecting the child?. The Curriculum Journal, 7(2), 205-226. 

  38. Stahlke, H., & Nyce, J. (1996). Reengineering higher education: Reinventing Teaching and Learning. Cause. Effect, 19(4), 44-51. 

  39. Tunstall, P., & Gipps, C. (1996). 'How dose your teacher help you to make your work better?' children's understanding of formative assessment. The Curriculum Journal, 7(2), 25-31. 

  40. Yang, I., Jeong, J., Kim, Y., Kim, M., & Cho, H. (2006). Analyses of the aims of laboratory activity, interaction, and inquiry process within laboratory instruction in secondary school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5), 509-5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