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자인 요소에 따른 아동 드레스의 선호도 연구 - 학령 전 아동과 어머니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ress Preferences according to Clothing Design Factors of Children Dress - Focused on preschool children-mother -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17 no.1, 2015년, pp.53 - 63  

양효정 (조선대학교 섬유.패션디자인학과) ,  박순천 (조선대학교 섬유.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ecessity on children dresses for cultural events and emotional aspects in designs have become importan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kids industry and revitalization of party culture, and so grasping emotional requirements of consumers is necessary actually. This study aims at purpose of t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집단별 선호 순위를 조합한 디자인 결과물을 제안함으로써, 소비자의 실질적인 요구에 부합하는 적절한 디자인 계획과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시 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 따라서,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최근 아동의 파티문화의 활성화로 인해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아동드레스 맞춤 제작 및 대여 인터넷 쇼핑몰의 디자인 요소를 분석하여, 디자인 요소에 따른 학령 전 아동 드레스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를 조사하고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첫 번째 목적이다.
  • 만 6세 아동의 착용자세, 얼굴표정 등 통제의 어려움으로 인해 연구의 제약이 따르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민표준체위조사보고서에 제시된 만 6세 여자 아동의 신체치수를 지닌 전신 마네킹을 이용하여 전신사진을 촬영하였다. 사진의 배경 색상은 드레스색상과 이미지에 영향을 덜 미치는 중명도 톤의 회색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최근 아동의 파티문화의 활성화로 인해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아동드레스 인터넷 쇼핑몰을 대상으로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아동드레스의 복식디자인 요소를 분석하여, 디자인 요소에 따른 학령 전 아동드레스에 대한 학령 전 아동과 그 어머니의 선호도 차이를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집단별 선호 순위를 비교분석한 선호 아동드레스 디자인 결과물을 제안함으로써, 소비자의 실질적인 요구에 부합하는 적절한 디자인 계획과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시하는데 두 번째 목적이 있다.
  • 또한 자신의 외모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의복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유아의 의복 변화를 바탕으로 의복행동의 하위요소 중 학령 전 아동과 관련이 있는 5가지 요소를 선택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변화하는 국내 아동드레스 인터넷 쇼핑몰의 활성화와 소비자들의 선호에 부합하는 드레스 디자인 개발을 가능하게 하고, 선호 드레스 디자인을 제안해 줌으로써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아동 패션산업의 성장을 위한 촉매 산업으로서의 역할이 가능하도록 함에 있어 그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reekmore가 분류한 8가지 의복행동 변인은 무엇인가? 첫째, 의복의 심미성이란 의복에 대한 미적 감각을 중요시하며, 자신의 외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려는 행동을 의미한다. Kim(1983)은 의복의 심미성을 자신의 외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위해서 의복을 착용하는 것을 말하며 여기에는 외형의 단정함도 포함된다. 둘째, 의복의 정숙성이란 눈에 띄지 않는 의복을 좋아하고 색상, 몸에 맞는 정도, 디자인, 신체노출에 있어서 지극히 보수적인 행위를 의미한다. Flugel(1971)은 정숙성을 인간의 의복착용동기로 설명하면서 사회와 개인, 육체와 의복, 자신과 타인, 욕구와 혐오 등과 관련된 부정적 충동이라 하였다. 셋째, 의복 흥미성이란 의복에 대한 지식, 선택 및 착용 등에 관심과 호기심을 지니는 것을 의미한다. 흥미에 대해 Guiford는 어떤 활동에서 유도되는 개인의 일반화된 행동 경향으로 보았으며, Kefgen은 매력, 관심, 호기심으로, Ryan은 어떤 계층이나 어떤 분야의 연구를 선호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Kim, 1983)고 하였다.  넷째, 의복 안락성이란 의복을 착용했을 때의 기온, 질감 등에 대한 신체적인 반응 또는 의복의 맞음새 등에 대한 적합성과 관련되어 편안함을 얻고자 의복을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Ryan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의복의 질감이 기분에 관계된다고 하였으며, Horn은 현대에 와서는 의복의 편안함이 그 어느 시대보다 강조되어 지고 있다고 하였다(Hong & Lee, 1999). 의복 안락성은 개인의 기호나 유행보다는 의복을 착용했을 때의 쾌적함을 추구하는 것으로 아동과 노인에게는 중요한 조건이 된다. 다섯째, 주의 집중성은 타인과 다른 의복을 선택, 착용함으로써 타인들로부터 관심, 호감, 지위, 명성, 자신감 등을 획득하려는 행위를 의미한다. Lee(1983a)는 사회의 제반분제에 대하여 자유주의적 태도를 지닌 사람은 의복을 신분상징의 수단으로 사용하지 않으며 눈에 띄게 의복을 착용함으로써 타인의 관심을 구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여섯째, 의복 관리성은 의복을 계획하고 구매, 사용하는데 있어서 시간과 금전, 에너지 등을 합리적으로 사용하여 절약하고자 하는 것이다. Park(1984)는 의복에 대한 흥미가 클수록 의복관리에 더 많은 신경을 쓰며, 의복에 만족하는 아동일수록 이복의 관리를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하였다. 일곱째, 의복 동조성은 집단에서 승인 받기 위하여 준거집단에 맞추어 옷을 입으려는 것을 의미한다. Kang(1995)은 의복의 동조성을 의복규범을 받아들이거나 그 의복 규범을 고수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의복규범이란 한 사회집단에 의해서 전형적으로 받아들여진 옷차림을 의미한다. 여덟째, 심리적 의존성이란 의복을 선택 착용함에 있어서 의복이 자아에 주는 느낌, 즉 행복감, 자신감, 일반적으로 좋은 느낌, 또는 기분의 변화 등에 영향을 주는 감수성을 의미한다. Choi(1981)은 자신의 외형에 대한 자기평가는 개인에 따라 기준에 차이가 있으나 자신이 의복을 잘 잡 입었다고 느끼는 것은 착용자에게 만족감과 행복감을 주며 매사에 자신감이 생겨 편안해지고 행동면에 있어서도 말이 많아지고 활동에 긍정적으로 참여하게 되며 집단의 일원으로서 소속감을 느낀다고 하였다.
의복행동은 무엇인가? 의복행동이란 의복에 대한 태도, 흥미, 관심, 선택 및 착용행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착용자의 성격, 태도, 가치관, 생활양식, 신분 등의 인간행동을 반영한다. 아동들은 타인과의 관계에서 외모에 관심을 두고 타인의 의견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자신 역시 타인의 외모에 대해 많이 지각하는 것처럼 다른 아이들도 타인을 외모로 판단하고 있으며, 외모와 의복이 친구들 간의 수용정도와 인기 유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학령 전 아동의 의복행동과 학령 전 아동 어머니의 아동복 구매행동을 비교한 결과, 각자 무엇을 중요시 하는가? 학령 전 아동의 의복행동과 학령 전 아동 어머니의 아동복 구매행동을 비교한 결과 아동은 의복을 통해서 집단에 소속감을 느끼며 안정감을 얻고자 하는 동조성과 자신의 옷이 부러움의 대상이 되고 싶은 심리적 의존성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령 전 아동을 자녀로 둔 어머니가 아동복을 구매할 때는 제품의 유행성이나 상표명, 타인의 호감 등의 동조성을 중요하게 생각 하는 것으로 나타나 아동과 어머니의 의복행동에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yun, K. H. (1983). Relationship with clothing behavior and self-concept of school gir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 'Catch the kid industry'. (2013, June 7). E-today. Retrieved December 1, 2013, from http://www.etoday.co.kr/news/ 

  3. 'Children clothing domestic market trends'. (2004, March 5). Samsung Fashion Institute. Retrieved December 3, 2013,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4. Choi, H. S. (1981). Clothing behaviors and their relations to social security- insecurity for a group of high school girls in seou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5. Choi, K. J. (2002). Study on the clothing preferences of the buying process and the mother of a toddl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6. Flugel, R. D. (1971). The psychology of cloth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International, New York. 

  7. Ha, S. J. (2001). Study on clothing behavior based on self-concept and gender, a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8. Hong, B. S. (2005). Influence of the sale effect at the similar of the personality between the level of customer's involvement and apparel salespers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3.4), 576-584. 

  9. Hong, Y. S., & Lee, M. H. (1999). The effects of preschool children's personality traits and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s on clothing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49, 155-171. 

  10. Hurlock, E. B. (1960). Child development. New York: Mac Gwaw-Hill. 

  11. Jeon, M. H. (2002). Mother of apparel shopping orientation effect on the behavior of children cloth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unsan University, Gunsan. 

  12. Kang, H. W. (1995). Costume social sychology. Seoul: Kyomunsa. 

  13. Goh, S. J. (2008). A study on clothing purchase behaviors as related to the Indian women's fashion lifesty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4. Gu, J. M. (1998). Study on consumer values,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and clothing satisfa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15. Kim, S. Y. (2003). Children's clothing and acting ever spent Victoria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16. Kim, W. S. (1983). Correlation studies and clothing behavior and self-concep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17. Lee, K. A. (2004). Children dress design offers wired and research.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18. Lee, S. Y. (2008). Application of the traditional pocket Korea haute couture children's clothing design research.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9. Lee, E. H. (1991). Baby clothing circular automatic system for educational research.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20. Lee, M. Y. (1989). Elementary 1, 2 and 3 year study of children's clothing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an's University, Seoul. 

  21. Lee, M. H. (1983b). Modesty and aesthetics in clothing behavior and related psychological variables of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2. Lee, S. J. (1994). Clothing and textiles apparel form study on purchasing behavior in: focused on college students in Seou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3. Lee, Y. S. (1983a).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and social attitudes to cloth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4. Min, S. J. (2007). Application of Victorian fashion style girls dress design research: silk ribbon embroidery techniques around.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5. Park, J. A. (1984). A study of school-age boys and girls prefer to wear.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6. Park, J. S. (2003). The Clothing Purchase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A Comparison of Different Money Attitude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Industry, 41(6), 13-28. 

  27. Park, E. J. (2010). An image of a mother seeking clothing, children's clothing behavior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8. Park, O. R., & Lee, J. N. (2010). Clothing behavior by value group of baby clothes purchaser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9(1), 127-136. 

  29. Song, Y. J. (2004). Mother's impact on the propensity to consume clothing baby clothing buying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30. Tate, M. T. (1967). Family clothing.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31. 'What is halloween, children dress up to 1.7 million won'. (2013, January 19). Kookjeilbo. Retrieved December 13, 2013, from http://www.kookje.co.kr/ 

  32. You, J. Y. (2005). A study on self-esteem and cloth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17(3), 97-1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