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난방 2차측 공급수 온도 제어방안(설정온도 제어, 외기온 보상제어, 외기온 예측제어)에 따른 에너지사용량 실증 비교
Actual Energy Consumption Analysis on Temperature Control Strategies (Set-point Control, Outdoor Temperature Reset Control and Outdoor Temperature Predictive Control) of Secondary Side Hot Water of District Heating System 원문보기

설비공학논문집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27 no.3, 2015년, pp.137 - 145  

조성환 (전주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과) ,  홍성기 (전주대학교 대학원) ,  이상준 (전주대학교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ctual energy consumption of the secondary side of District Heating System (DHS) with different hot water supply temperature control methods are compared. Three methods are Set-point Control, Outdoor Temperature Reset Control and Outdoor Temperature Prediction Control. While Outd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2차측 열공급의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역난방 집단에너지사용 공동주택 실증단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공급수 온도 제어 방법인 외기온 보상제어 방안, 외기온 예측제어 방안 및 기존 실증단지에서 실행되어지고 있는 설정온도 제어 방안을 각각 활용하여 2차측 공급수 온도를 각각 제어하였을 때 열부하 패턴, 에너지사용량 및 그 외의 변화에 대해 실증 데이터를 활용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2차측 공급수 온도 제어에 있어서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안에 대해 연구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지역난방 시스템에서 공급수 온도 설정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설정온도 제어방법, 외 기온 보상제어방법 및 외기온 예측제어 방법을 적용하여 실증단지의 2차측 공급수 온도를 제어하였을 때 보이는 에너지사용 패턴, 에너지사용량 및 그 외의 변수에 대해 비교 분석해 보았다. 각각의 제어 방법에 따른 실증단지의 에너지 절감율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외기온도 및 각 세대의 에너지 사용량의 합이 동일해야 하지만 실증실험의 한계임을 고려하였다.
  • 실증단지에는 기존 시스템의 오류와 차압유량조절밸브(DPCV), 구동기(Actuator) 등의 낙후된 설비 때문에 설비관리인이 사용하여왔던 제어 방법은 설정온도 제어(Set-Point Temperature Control)방법이었다. 오랫동안 설비관리인이 지역난방 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습관으로 유지되어온 설정온도 제어방법에 의한 제어는 지역난방 시스템 사용 난방에너지 패턴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 이 방안은 지역난방 사용 2차측 난방 공급수 온도 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다. 난방 공급수 온도설정을 위해 제안된 외기온 예측제어란 일반적으로 실내에 전달되는 열량이 구조체의 축열현상에 의하여 지연되는 시간을 고려한 후 정확하게 실내에 맞는 적정한 열량을 예측된 외기온도에 의해 미리 계산하여 공급함으로써 열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제어방법이 될 것이며, 이러한 외기예측상관 식은 식(1)과 같다.

가설 설정

  • 각각의 제어 방법에 따른 실증단지의 에너지 절감율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외기온도 및 각 세대의 에너지 사용량의 합이 동일해야 하지만 실증실험의 한계임을 고려하였다. 단지, 실험 결과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하여 실증실험 기간 중 평균 외기온도는 외기온 예측 실험의 평균 외기온도가 낮을 때를 비교하였으며, 각각의 제어에 따른 세대의 에너지 사용량이 동일하다는 가정은 실험 기간 동안 일일 교차제어의 실행과 각 세대에 대한 실증실험 후의 설문조사에서 실증실험 기간 동안 난방 충족감의 차이가 없다는 결과로 대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난방 시스템의 최근 추세는? 북유럽을 중심으로 1990년대부터 발달한 집단에너지 공급 시스템인 지역난방 시스템은, 지난 2차례에 걸친유류파동으로 인하여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과 에너지원의 다각화에 대한 인식이 고조됨으로써 보급이 확대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최근 환경에 대한 인식 고조와 더불어 선진국을 중심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에서도 한국지역난방공사 외 22개 사업자들이 열병합발전소, 열전용보일러 및 자원회수시설 등을 통해 생산되는 에너지를 주거 및 상업지역 또는 산업단지에 집단에너지로써 공급하고 있으며, 2012년 기준 약 14.5%(1) 의 열에너지 공급 현황을 보이고 있다. 또한, 제 3차 집단에너지 공급기본 계획(2)에 의하면 2013년경에는 국내총 주택 수 1,558만호 중 254만호에 달하는 주택에 지역난방을 공급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고, 이는 16.3%에달한다. 그리고 이러한 집단에너지를 통한 열보급 추세는 계속 증가하리라고 판단된다.
지역난방 시스템은 언제부터 발달했는가? 북유럽을 중심으로 1990년대부터 발달한 집단에너지 공급 시스템인 지역난방 시스템은, 지난 2차례에 걸친유류파동으로 인하여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과 에너지원의 다각화에 대한 인식이 고조됨으로써 보급이 확대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최근 환경에 대한 인식 고조와 더불어 선진국을 중심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1차측 에너지효율성 향상에 대한 연구 추세는? 이러한 상황에서, 1차측 에너지효율성 향상에 대하여 지역난방공사를 포함하는 에너지공급자 측에서 폭넓게 세계적으로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지역 난방 공급 2차측 효율 향상에 대한 연구는 국내 실정을 살펴볼 때 적극적으로 진행되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

  1. The Ministry of Knowledge and Economics of Korea, 2009, Notification No. 2009-439. 

  2. KEMCO, 2012, "2012 District Energy Use Handbook", Korea Energy Management Corporation, 

  3. Friedlander, M., 1986, "Premium Heating with Radiant Slabs", Solar Age. 

  4. Cho, S. H., 2012, "An Optimal Predictive Control Strategy for Radiant Floor District Heating Systems : Simulation and Experimental Study", SAG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