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양동기궤도 위성군 궤도 최적화에 관한 연구
Optimization of Sun-synchronous Spacecraft Constellation Orbits 원문보기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v.43 no.2, 2015년, pp.141 - 148  

김화영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  노태수 (Dept. of Aerospace E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정옥철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  정대원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  최진행 (Dept. of Aerospace E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각각 독립적으로 설계된 태양동기궤도 위성에 위성군 개념을 적용하여 다중 위성의 효율적인 운영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태양동기궤도 설계 관점을 단순히 지방시나 태양동기성을 유지하는 것에 국한하지 않고, 지상국과 영상목표물의 교신 및 관측시간등을 고려하여 위성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위성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위성과 단일 목표물을 고려한 새로운 운영요소(Operation Parameter)를 정의하고, 이를 이용하여 위성의 운영효율성을 판단할 수 있는 운영효율성 지표(Figure of Merit)를 정의한다. 상용 소프트웨어인 MATLAB과 STK의 연동을 통해 비선형 시뮬레이션 기반의 수치최적화 기법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임무궤도를 재설계함으로써 본 연구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esents a sun-synchronous orbit design which effectuvely includes the requirements derived from spacecraft to ground station contact and spacecraft to target image accessibility. For this purpose, operation parameters of multiple spacecraft are defined as Contact Overlap, Contact Overla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먼저 수치기반의 태양동기궤도설계를 위해 고전적인 태양동기궤도 설계방법과 비선형 시뮬레이션기반의 수치최적화 방법을 적용한 태양동기궤도 설계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다수의 태양동기궤도 위성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이미 독립적으로 설계된 여러 대의 태양동기 궤도 위성에 위성군의 개념을 적용하고, 태양동기궤도의 설계 관점을 실질적인 위성운영의 측면에서 위성-지상국-영상목표물의 관계로 재해석하여 위성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태양동기궤도위성 운영의 효율성을 고려하기 위한 운영요소(Operation Parameter)를 정의하였으며 위성 운영효율성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인 위성 운영효율성 지표(Figure of Merit)를 정의하고 분석하므로 다중 태양동기궤도 위성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독립적으로 설계된 개별 태양동기궤도 위성에 위성군의 개념을 적용하여 실제 위성운영의 측면에서 운영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위성 운영 시 현실적으로 요구되는 사항을 임무 궤도 설계 단계에서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태양동기궤도 설계 관점을 단순히 지방시나 태양동기성만을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위성-지상국-영상목표물의 관계로 재해석하여 다중 위성과 단일목표물에 대하여 새로운 운영요소(Operation Parameter)를 정의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독립적으로 설계된 개별 태양동기궤도 위성에 위성군의 개념을 적용하여 실제 위성운영의 측면에서 운영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위성 운영 시 현실적으로 요구되는 사항을 임무 궤도 설계 단계에서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먼저 수치기반의 태양동기궤도설계를 위해 고전적인 태양동기궤도 설계방법과 비선형 시뮬레이션기반의 수치최적화 방법을 적용한 태양동기궤도 설계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다수의 태양동기궤도 위성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이미 독립적으로 설계된 여러 대의 태양동기 궤도 위성에 위성군의 개념을 적용하고, 태양동기궤도의 설계 관점을 실질적인 위성운영의 측면에서 위성-지상국-영상목표물의 관계로 재해석하여 위성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 태양동기궤도 위성의 운영에 있어 단순히 태양동기성이나 지방시의 유지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실제 위성 운영의 측면에서 위성과 특정목표물에 대한 관측 시간 및 지상국과 위성의 교신 시간도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방시와 태양동기성 유지와 같은 기존의 태양동기궤도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위성 운영효율성을 증가할 수 있도록 위성-지상국-영상목표물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Fig. 5와 같이 4가지의 새로운 운영요소를 정의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태양동기궤도 위성의 운영효율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위성 운영 효율성 지표(Figure of Merit)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이는 수요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위성의 수, 운영요소, 임무궤도 재설계 방법 등에 따라 다양한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있고, 다양한 ‘위성 운영효율성 지표’의 도출이 가능하다.
  • 본 논문의 저자는 비선형 시뮬레이션 기반의 수치최적화 기법을 적용하여 태양동기궤도 위성에 미치는 다양한 교란력을 고려함으로써 태양동기성, 지상반복궤적과 같은 임무 요구사항을 더 정확하게 만족시켰다. 위성 지방시의 변화 최소화, 특정 지상국과 교신시간 최대화와 같이 실제 위성 운영 시 현실적으로 운영되는 사항을 설계에 반영하였다[8-10].
  • 본 절에서는 각각 독립적으로 설계된 2~3대의 태양동기궤도 위성에 비선형 시뮬레이션 기반의 수치최적화 기법과 운영요소의 개념을 적용하여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명목상 임무궤도를 재설계하고자 한다.
  • 설계 변수는 기동이 가능한 1대의 태양동기궤도 위성(Sat-C)의 장반경, 경사각, 승교점, 평균각으로 정의하였다. 성능지수는 식 (15)와 같이 30일 동안 3대의 위성이 동시에 특정 영상목표물을 관측할 수 없는 시간을 최소화함으로서 한 대라도 더 자주 영상목표물을 관측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예제에서는 승교점 변화의 주된 요인인 J2 효과를 고려하여 30일 동안 궤도 전파를 수행하였으며 특정 영상목표물은 대한민국 서울로 설정한다. 3대의 태양동기궤도 위성 중 2대(Sat-A, Sat-B)는 기동이 불가능하며, 1대(Sat-C)는 기동이 가능하다고 가정한다. 또한 Sat-A와 B는 앞서 정의한 것과 동일한 지방시를 가지며, Sat-C는 6시의 지방시를 가진다고 가정하였다.
  • 3대의 태양동기궤도 위성 중 2대(Sat-A, Sat-B)는 기동이 불가능하며, 1대(Sat-C)는 기동이 가능하다고 가정한다. 또한 Sat-A와 B는 앞서 정의한 것과 동일한 지방시를 가지며, Sat-C는 6시의 지방시를 가진다고 가정하였다. 뿐만 아니라 Sat-C의 태양동기성과 시스템 요구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식 (11)-(13)의 구속조건을 사용하였다.
  • 특정 지상국 및 영상목표물은 대한민국 대전으로 설정하고 2대의 태양동기궤도 위성 중 1대(Sat-A)는 기동이 불가능하며 다른 한 대(Sat-B)는 기동이 가능하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Sat-A는 10시 30분의 지방시를 가지며, Sat-B는 13시 30분의 지방시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Sat-B의 태양동기성과 설계요구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 아래 식(11)~(13)과 같이 3가지의 구속조건을 사용한다.
  • 본 예제에서는 실제로 위성이 처한 모든 궤도환경을 고려하기 위하여 STK의 HPOP 궤도전파기를 이용하여 7일 동안 궤도 전파를 수행한다. 특정 지상국 및 영상목표물은 대한민국 대전으로 설정하고 2대의 태양동기궤도 위성 중 1대(Sat-A)는 기동이 불가능하며 다른 한 대(Sat-B)는 기동이 가능하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Sat-A는 10시 30분의 지방시를 가지며, Sat-B는 13시 30분의 지방시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 한편 지상반복궤도 설계를 위한 요구조건을 도출하기 위해 최초 승교점 통과시각(t1)에서의 지상경도를 L1으로 정의하고 반복 주기 T시간 동안 N회 궤도 운동을 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요구조건들을 구속조건으로 정의하면 N번째 승교점 경도는 식 (9)와 같이 첫 번째 경도와 동일해야하며, N번째 승교점 통과 시각(tN)은 식(10)을 만족해야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의 위성군 관제에 대한 연구들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현재 위성군 관제는 개별위성의 성능지표 및 안정성을 바탕으로 위성군 전체 성능지표의 향상에 더 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태양동기 궤도 위성을 하나의 위성군으로 설계하기 위한 연구[2]가 진행된 바 있으나 독립적으로 설계된 개별위성에 위성군 개념을 적용하여 연구한 사례는 찾기 힘들다.
위성군이란 무엇인가? 우리나라 및 우주 선진국들은 보유하고 있는 여러 대의 위성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다중위성 관제 기술의 표준화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다중위성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많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1-4]. 다중위성의 운영은 크게 위성 편대비행(Formation Flying)과 위성군(Constellation)으로 나눌 수 있으며 여기서 위성군이란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두 대 이상의 위성을 배치하여 운영하는 것으로 흔히 알고 있는 Global Positioning System(GPS), Fig. 1의 Morning/Afternoon Constellation 등이 이에 해당한다[5-7].
다중위성의 운영은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우리나라 및 우주 선진국들은 보유하고 있는 여러 대의 위성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다중위성 관제 기술의 표준화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다중위성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많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1-4]. 다중위성의 운영은 크게 위성 편대비행(Formation Flying)과 위성군(Constellation)으로 나눌 수 있으며 여기서 위성군이란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두 대 이상의 위성을 배치하여 운영하는 것으로 흔히 알고 있는 Global Positioning System(GPS), Fig. 1의 Morning/Afternoon Constellation 등이 이에 해당한다[5-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ornara, Stefania, et al. "Satellite constellation mission analysis and design." Acta Astronautica, Vol.48, No.5, 2001, pp.681-691. 

  2. Mortari, Daniele, Matthew P. Wilkins, and Christian Bruccoleri. "On sun-synchronous orbits and associated constellations." Paper of the 6-th Dynamics and Control of Systems and Structures in Space Conference, Riomaggiore, Italy. 2004. 

  3. De Weck, Olivier L., Uriel Scialom, and Afreen Siddiqi. "Optimal reconfiguration of satellite constellations with the auction algorithm." Acta Astronautica Vol. 62, No. 2, 2008, pp. 112-130. 

  4. Nam-Kyun Kim, Sang-Young Park, Young-Rok Kim, and Kyu-Hong Choi., "Optimal Design of Satellite Constellation Korean Peninsula Regions", J. Astron. Space Sci. Vol. 25, No. 2, 2008, pp.181-198. 

  5. Schoeberl, Mark R. "The afternoon constellation: a formation of Earth observing systems for the atmosphere and hydrosphere."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2002. IGARSS'02. 2002 IEEE International. Vol. 1. IEEE, 2002. 

  6. Levi, Joshua A., and Eric J. Palmer. "STRATEGY FOR MITIGATING COLLISIONS BETWEEN LANDSAT-5 AND THE AFTERNOON CONSTELLATION." Proc. of AAS/AIAA Astrodynamics Specialist Conference, Girdwood, Alaska, July. Vol. 31. 2011. 

  7. Parkinson, C. L., A. Ward, and M. D. King. "Earth science reference handbook."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Goddard Space Flight Center. Available from: http://eospso.gsfc.nasa.gov/ftp_docs/2006ReferenceHandbook.pdf [A ccessed 17 October 2009] 2006. 

  8. Hwayeong Kim, Tae Soo No, Okchul Jung, Daewon Chung, and Jin-Heng Choi.,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Multiple Sun-synchronous Spacecraft Operation", Procedding of the 2013 KSAS Fall Conference, pp.718-723, 2013. 

  9. Tae Soo No, Hwayeong Kim, Ok-Chul Jung, Dae-Won Chung and Jin-Heng Choi, "A Numerical Simulation-based Design of Operational Orbit for Multiple Sun-synchronous Spacecraft", The 24th Space Flight Mechanics Meeting, Santa Fe, United States of America, 2014. 

  10. Hwayeong Kim, "Optimization of Sun-synchronous Spacecraft Constellation's Operational Orbits",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14. 

  11. Vallado, David A. Fundamentals of astrodynamics and applications. Vol. 12. Springer, 2001. 

  12. Hak-jung Kim, and Young-suk Hong., "Orbit Design of Sun-synchronous Satellite Using J2 Effect", J.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Vol.21, No.4, 1993, pp.73-82. 

  13. Abdelkhalik, Ossama, and Ahmed Gad. "Optimization of space orbits design for Earth orbiting missions." Acta Astronautica Vol. 68, No. 7, 2011, pp.1307-1317. 

  14. Hae-Dong Kim, Ok-Chul Jung, and Hyochoong Bang. "A computational approach to reduce the revisit time using a genetic algorithm."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EEE, 2007. 

  15. www.mathworks.co.kr 

  16. www.agi.com 

  17. Ji Marn Lee, Tae Soo No, Okchul Jung, amd Dae Won Chung., "Mission-based Operational Orbit Design for Sun-synchronous Spacecraft", J.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Vol.40, No.2, 2012, pp.752-75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