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능성 성분으로 알려진 Chitosan 분말을 온화한 향미의 마리보 치즈와 접목시킴으로써 기능성 반경성 치즈를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Chitosan 분말을 일반 Chitosan 분말(CP)과 Nano-Chitosan 분말(NCP)로 나눈 두 개의 처리구로 하여 마리보 치즈 커드에 각각 0.2%와 0.5% 함량을 달리하여 첨가한 치즈를 제조하여 숙성 중 품질 특성과 소비자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Chitosan을 첨가하여 제조한 마리보 치즈를 24주간 숙성하면서 숙성 중 유산균 수, pH, 수용성 질소화합물(WSN) 함량, Total phenolic acid 함량, 지방산패도 변화 등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CP와 NCP를 첨가한 마리보 치즈의 숙성 중 변화에서 pH는 처리구별 유의적 차이 없이 숙성이 경과에 따라 상승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NCP 0.2%와 0.5% 첨가구에서 높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유산균은 모든 처리구가 숙성이 경과될수록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Chitosan이 첨가된 마리보 치즈는 대조구에 비해 Chitosan이 가지고 있는 항균성으로 인해 숙성 중 유의적으로 유산균 수가 더 감소 되었다(p<0.05). WSN의 변화는 숙성 전반에 걸쳐 시험구간 유의적 차이 없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NCP 0.2%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지방산패도는 숙성이 진행될수록 모든 시험구에서 지방산패도가 증가함을 나타내었으며, 숙성 0주차와 4주차에서는 실험구 간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다가 숙성 8주차부터는 대조구보다 Chitosan 첨가구에서 높은 지방산패도를 나타내었다(p<0.05). TP 함량은 4주차를 제외한 모든 구간에서 대조구가 높은 TP 함량을 나타내었다. 치즈의 소비자 기호도 조사에서도 NCP 0.2% 첨가구에서 전반적인 수용도(54%), 향미(65%), 외관(67%) 그리고 구매의사(70%) 등이 비교적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CP와 NCP의 첨가가 마리보 치즈의 이화학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치즈의 품질상의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향후 키토산을 기능성 소재로 적용하여 마리보 치즈를 제조할 경우, CP보다는 NCP 0.2% 첨가량을 적용하면 최적 품질의 기능성 마리보 치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itosan provides beneficial effects such as decrease in cholesterol, weight loss, and antioxidative effects. The manufacture of Maribo cheese containing powdered chitosan (CP) or nanopowdered chitosan (NCP) is not yet established.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CP and NC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능성 성분으로 알려진 Chitosan 분말을 온화한 향미의 마리보 치즈와 접목시킴으로써 기능성 반경성 치즈를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Chitosan 분말을 일반 Chitosan 분말(CP)과 Nano-Chitosan 분말(NCP)로 나눈 두 개의 처리구로 하여 마리보 치즈 커드에 각각 0.
  • , 2002). 본 연구에서는 Chitosan의 생리활성과 기능적 특징을 접목한 기능성 자연치즈 개발을 위하여 맛과 향이 온화하여 한국인의 기호에 적합한 마리보 치즈에 각각의 Chitosan의 함량 비를 달리하여 치즈를 제조하고, 치즈의 제품화를 판단하는 숙성 중 변화에 따른 품질 특성을 검토하였기에 보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hitosan은 어떤 물질인가? 풍미는 덴마크의 다른 치즈인 단보 치즈(Danbo cheese)에 비해 풍부하지만, 온화하고 약간의 산미(acidulous)를 풍기면서도 독특한 향미 또한 풍부하고 뒷맛(aftertaste)이 아주 뛰어나다. Chitosan은 오징어의 연골, 게나 새우 등 갑각류의 외피에 존재하는 키틴을 탈-아세틸화시켜 생성한 물질로서, 단당체인 글루코사민이 β-1,4로 결합된 천연 고분자 물질이다(Park et al., 2008).
우리나라에서는 치즈를 어떻게 분류하는가? , 2011). 치즈의 형태는 여러가지 요인들에 의해 나눠지는데, 축종, 유산균 종류, 단백질 응유효소, 커드의 크기, 가수(加水, curd washing)의 유무, 숙성용 곰팡이 종류, 숙성 조건과 그 단계에 따라 구분되며, 우리나라에서는 수분 함량에 따라 경성, 반경성, 연성, 생 치즈로 분류된다(MFAFF, 2008). 치즈 속에는 우유와 달리 유당이 없기 때문에 유당 불내증을 지닌 사람들도 부담없이 먹을 수 있는 좋은 식품이며(Kim et al.
Chitosan은 특히 어떤 생리 활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었는가? , 2002). 특히 향균 작용, 항암 효과, 항고지혈증, 항산화 작용 등의 생리 활성들이 보고되어 있고, 기능성 식품개발 소재로도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Shin et al.,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S. I., Choi, K. H. and Kwak, H. S. 2011. Development of functionality in cheese. Korean J. Dairy Sci. Technol. 29:65-73. 

  2. Andersen, B. 1991. Consistent production of phenolic compounds by Penicillium brevi-compactum for chemotaxonomic characterization. Antonie van Leeuwenhoek 60:115-123. 

  3. Apostolidis, E., Kwon, Y. I. and Shetty, K. 2007. Inhibitory potential of herb, fruit, and fungal-enriched cheese against key enzymes linked to type 2 diabetes and hypertension. Innovative Food Science and Emerging Technologies 8:46-54. 

  4. Bae, I. and Cho, S. G. 2006. Current state of the education, starting business of farmstead natural cheese in Korea. J. Korean Dairy Technol. Sci. 24(2):11-20. 

  5. Bae, I. H. 2010. Current state and prospect of environment friendly farmstead processing in Korea. Korean J. of Organic Agriculture 18(2):155-176. 

  6. Barlow, I., Lloyd, G. T., Ramshaw, Z. H., Miller, A. J., McCabe, G. P. and McCABE, L. 1989. Correlations and changes in flavor and chemical parameters of Cheddar cheese during maturation. Aust. J. Dairy. Technol. 44:7-18. 

  7. Brito, C., Astete, M. A., Pinto, M. and Molina, L. H. 2000. Maribo cheese manufactured with concentrated milk: Characteristics, maturation and yield. International Journal of Dairy Technology 53:6-12. 

  8. Butikofer, M., Ruegg, M. and Ardo, Y. 1993. Determination of nitrogen fractions in cheese: Evaluation of a collaborative study. Lebensm. Wiss. Technol. 26: 271-275. 

  9. Douroumin, D. and Fahr, A. 2006. Nano- and microparticulate formulations of poorly water-soluble drugs by using a novel optimized technique. Eur. J. Pharm. Biopharm. 63:173-175. 

  10. Hou, J. G., Wang, Y., Xu, W., Yang, L., Wu, Z. Q. and Zhang, Y. H. 1998. Formation of oriented layered silver Nano-crystallites. Mater. Lett. 34:36-39. 

  11. Hull, M. E. 1947. Studies on milk protein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the partial hydrolysis of the proteins in Milk. J. Dairy Sci. 30:881-884. 

  12. Kim, C. T., Kim, C. J., Cho, Y. J., Kim, Y. H., Kim, I. H. and Choi, A. J. 2008. Novel fabrication technology of food nano emulsions. Food Science and Industry 41:33-45. 

  13. Kim, M. J. and Chung, H. J.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different amounts of cheese powder. Korean J. Food Preservation 18:39-45. 

  14. Lee, H. Y., Kim, S. M., Kim, J. Y., Youn, S. K., Choi, J. S., Park, S. M. and Ahn, D. H. 2002.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on the bread added chitosa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449-453. 

  15. Lee, H. Y., Park, S. M. and Ahn, D. H. 2003. Effect of storage properties of pork dipped in chitosan solu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519-525. 

  16. Marshall, R. T. 1993.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dairy product (16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299-308. 

  17. MFAFF. 2008. Development of Korean brand cheese added with traditional medical liquors.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s, 35. 

  18. Moon, M. S., Lee, M. S., Kim, C. T. and Kim, Y. H. 2007. Dietary chitosan enhances hepatic CYP7A1 activity and reduces plasma and liver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diet-induced hyper-cholesterolemia in rats.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1:175-179. 

  19. Nah, J. W. and Jang, M. K. 2002. Spectroscopic characterization and preparation of low molecular, water-soluble chitosan with free-amine group by novel method. J. Polym. Sci. 40:379-380. 

  20. Park, J. K., Kim, D. G., Choi, C. Y., Jeong, Y. I., Kim, M. Y., Jang, M. K. and Nah, J. W. 2008.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ithocholic acid conjugated chitosan oligosaccharide nanoparticles for hydrophobic anticancer agent carriers. Polymer(Korea) 32:263-269. 

  21. SAS. 1996. SAS/STAT Software for PC. Release 6.11,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22. Seo, M. H., Lee, S. Y., Chang, Y. H. and Kwak, H. S. 2009. Physicochemical, microbial, and sensory properties of yogurt supplemented with nano powdered chitosan during storage. J. Dairy Sci. 92:5907-5916. 

  23. Shetty, K., Curtis, O. F., Levin, R. E., Witkwosky, R. and Ang, W. 1995. Prevention of vitrification associated with in vitro shoot culture of oregano (Origanum nulgare) by Pseudomonas spp. Journal of Plant Physiology 147:447-451. 

  24. Shin, E. J., Park, J. E., Ha, B. G., Cho, H. J., Lee, S. H., Kim, M. K., So, M. S. and Shon, Y. H. 2012. Inhibitory effect of deep sea water containing chitosan oligosaccharides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J. Chitin Chitosan 17:164-168. 

  25. Son, E. J., OH, S. H., Heo, O. S. and Kim, M. R. 2003. Physicochemical and senxory characteristics of turnip pickle added with chitosan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1302-1309. 

  26. Soultos, N., Tzikas, Z., Abrahim., Georgantelis, D. and Ambrosiadis, I. 2008 Chitosan effect on quality properties of Greek style fresh sausage. Meat Sci. 80:1150-1156. 

  27. Vernon, C. W., Krause, G. F. and Bailey, E. M. 1970. A new extraction method for determining 2-thibarbuitturic acid values of pork and beef during storage. J. Food Sci. 35:582-585. 

  28. Visser, F. M. W. 1977a. Contribution of enzymes from rennet, starter bacteria milk to proteolysis and flavor development in Gouda cheese. 3. Protein breakdown; analysis of the soluble nitrogen and amino acid nitrogen fractions. Neth. Milk and Dairy J. 31:188-209. 

  29. Visser, F. M. W. and De Groot-Master, A. E. A. 1977b. Contribution of enzymes from rennet, starter bacteria milk to proteolysis and flavor development in Gouda cheese. 4. Protein breakdown; a gel electrophoretical study. Neth. Milk and Dairy J. 31:210-239. 

  30. Yoon, S. S. 2011. Research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for R&D vitalization of domestic dairy industry. Korean J. Dairy Sci. Technol. 29:23-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