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 원별 연구개발 효율성 분석
Analysis of Renewable Energy R&D Efficiency 원문보기

에너지공학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v.24 no.4, 2015년, pp.97 - 104  

조인경 (서울대학교 에너지시스템공학부) ,  김경희 (서울대학교 에너지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신재생에너지 연구개발사업(R&D)은 그 성과가 발전단가 감소에의 기여 등 상업적 측면 위주로 보는 특성으로 인해 학술적 기여에 대한 부분은 간과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중점 신재생에너지원에 대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던 효율성 분석에서 확대하여 2008년부터 2012년까지의 신재생에너지 원별 R&D 과제의 학술적 측면에서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총연구개발비와 지원과제수를 투입요소로, 특허와 논문 수를 산출요소로 설정하고 DEA 방법론을 적용하여 직접적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원별 연구개발 효율성을 판단하고 비효율 발생의 원인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신재생에너지원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 의의를 지니고 있으며, 에너지 정책 포트폴리오 수립 등 정책결정에 주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erformance in scientific contribution of renewable energy R&D has been overlooked, as it is shown in terms of industrial aspect. This paper analyzed the R&D efficiency of scientific aspects of each renewable energy resource in 2008-2012. Total R&D fund and the number of supported projects ar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신재생에너지 전체를 대상으로 각 에너지 원별 연구개발 효율성을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각 에너지 원별 특성에 따라 연구개발사업을 과제수와 과제 규모의 최적의 mix를 통하여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앞에서도 언급하였듯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연구개발의 1차적 성과에 의한 직접적 효율성 분석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각 원별 추진 정책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며, 향후 경제적, 산업적 측면에서의 성과는 모두 포함한 종합적 효율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 국가 차원에서 추진된 신재생에너지 R&D의 투자의 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모든 부처를 통해 투입된 예산과 인력 및 그에 따른 성과를 모두 고려하여야 하지만, 각기 다른 부처의 R&D 성과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 부재하기 때문에 모든 부처에서 수행하고 있는 각각의 모든 자료를 얻기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자료의 시계열성과 일관성을 갖추고, 또한 신재생에너지 부문 기술개발 투자 비중이 가장 큰 산업통상자원부의 신재생에너지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의 기초 데이터를 획득하여 연구개발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 기존 연구에서는 태양광, 풍력, 연료전지 등 국가에서 중점적으로 육성하는 에너지 원별 효율성을 비교 하는 정도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신재생에너지 전체를 대상으로 각 에너지 원별 연구개발 효율성을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각 에너지 원별 특성에 따라 연구개발사업을 과제수와 과제 규모의 최적의 mix를 통하여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분야 연구개발사업의 학술적 측면에서의 연구개발 효율성을 살펴보았으며,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그러나 논문과 특허 등은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차 성과를 통한 직접적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투입요소로 총연구개발비와 지원과제수를, 산출요소로 논문과 특허를 설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부에서 지원하는 신재생에너지 원별 연구개발 효율성을 분석함을 목표로 하며, 분석결과를 통해 동 분야 R&D 사업의 추진에 있어 효율성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가설 설정

  • Hwang et al.(2009)은 연구개발에 있어서 연구인력에 대한 인건비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므로 연구개발지출에 인건비 포함인 것으로 가정하고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도 이와 동일한 가정을 하고 분석을 수행하였다. 어느 사업에서 지원하고 있는 과제수의 많고 적음에 대해서는 어느 쪽이 성과 산출에 더 좋다고 할 수는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은 R&D 투자 규모 얼마나 증가시켰는가? 한국은 신재생 에너지 분야에서의 경쟁력 있는 선진기술 확보 및 기술 상용화 촉진을 위해 지속적으로 R&D 투자 규모를 증가시켜왔다. 2003년도에 33억원이던 정부지원 연구개발비가 2013년도에는 약 7.5배 정도인 249억원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민간 투자를 포함한 전체 예산은 2003년도에 510억원에서 2013년도에는 7,795억원으로 약 15배 이상으로 지원 규모가 확대되었다(MOTIE, 2014). 우리나라는 특히 태양광, 연료전지, 풍력 부문에 대한 예산 투자가 집중되어 왔으며, 석탄이용(IGCC)에 대한 투자 규모도 확대되었다.
효율성이란? 효율성(efficiency)이란 일반적으로 투입에 대한 산출의 비율로 정의될 수 있다. 일정한 투입요소를 사용하여 산출물 생산을 최대화하거나 일정한 산출물을 생산하기 위해 투입요소를 최소화하게 되면 효율성은 높아진다.
민간 투자를 포함한 R&D 투자 규모는 얼마나 증가하였는가? 5배 정도인 249억원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민간 투자를 포함한 전체 예산은 2003년도에 510억원에서 2013년도에는 7,795억원으로 약 15배 이상으로 지원 규모가 확대되었다(MOTIE, 2014). 우리나라는 특히 태양광, 연료전지, 풍력 부문에 대한 예산 투자가 집중되어 왔으며, 석탄이용(IGCC)에 대한 투자 규모도 확대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nker, R. D., Charnes, A., and Cooper, W. W.: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and Scale In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vol. 30, 1078-1092, (1984) 

  2. Byun, S. K., and Han, J. H.: "Efficiency Estimations for the government driven R&D projects in IT industries", Hannam jouranl of Law & Technology, vol. 15, 179-206, (2009) 

  3. Charnes, A., Cooper, W. W., and Rhodes, E.: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 2, 429-444, (1978) 

  4. Choi, K. S.: "Analysis of Economical efficiency for renewable energy in Steam Power Plant",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 23, 11-17, (2014) 

  5. Chudnovsky, D., Lopez, A., and Pupato, G.: "Innovation and Productivity in Developing Countries" A study of Argentine manufacturing Firms' Behavior(1992-2001)", Research Policy, vol. 35, 266-288, (2006) 

  6. Eric C. Wang, and Weichiao Huang: "Relative efficiency of R&D activities: A cross-country study accounting for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DEA approach", Research Policy, vol. 36, 260-273, (2007) 

  7. Farrell, M. J.: "The measurement of Productive Efficiency",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vol. 120, 253-290, (1957) 

  8. Freeman, C. and Soete, L.: "The Economics of Industrial Innovation", The MIT Press, (1997) 

  9. Hwang, S. W., Ahn, D. H., Choi, S. H., Kwon, S. H., Chun, D. P., Kim, A. R., and Park, J. H.: "Efficiency of national R&D investment",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2009) 

  10. Kim, C. M., and Kim, K. Y.: "A study on economic analysis of new renewable energy power (photovoltaic, wind power, small hydro, biogas)",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28, 70-77, (2008) 

  11. Kim, H. H., Lee, D. J., Kim, K. T., and Park, S. J.: "Measuring the Efficiency of Investment in the Deployment and Technology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in Korea Using the D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vol. 40, 358-365, (2014) 

  12. Kim, H. K., Kang, W. J., Park, J. H., and Yeo, I. K.: "Comparing Efficiencies of R&D Projects Using DEA : Focused on Core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vol. 36, 126-132, (2013) 

  13. Kim, J. B.: "The Basic Study on the Ripple Effect of Industrial & Technological Policy for New & Renewable Energy",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32, 18-24, (2012) 

  14. Kim, T. H., Kim, I. H., Ahn, S. B., and Lee, K. S.: "A Way to Enhance Efficiency of Nuclear Program in Korean R&D Program by Data Envelopment Analysis", Journal of Korean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ol. 12, 70-87, (2009) 

  15. Kim, Z. O., Kim, J. W., and Boo, K. J.: "Analysis of Economic Feasibility of New & Renewable Energies-Photo Voltaics, Wind Power and Small Hydro", New & Renewable Energy, vol. 1, 79-86, (2005) 

  16.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2013 Energy R&D projects and utilize research and analysis report", (2014) 

  17. Lee, G. H.: "An Economic Measures of the Renewable Energy considering Environmental Costs",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24, 93-100, (2004) 

  18. Lee, H. Y., Park, Y. T., and Choi, H. G.: "Comparative evaluation of performance of national R&D programs with heterogeneous objectives: A DEA approach",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 196, 847-855, (2009) 

  19. Lee, S. K., Gento, M, Zhuolin, L., K. S. Hui, Lee, S. K., K. N. Hui, Park, S. Y., Ha, Y. J., and Kim, J. W.: "Measuring the relative efficiency of hydrogen energy technologies for implementing the hydrogen economy: An integrated fuzzy AHP/DEA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vol. 36, 12655-12663, (2011) 

  20.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2012 new and renewable energy technology development and utilization dissemination action plan", (2012) 

  21.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 2014 New & Renewable Energy White Paper", (2014) 

  22. Oh, S. H., and Lee, C. Y.: "Economic Evaluation for Renewable Energy R&D in South Korea",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vol. 13, 171-197, (2014) 

  23. Park, M. H.: "Analysis of efficiency and productivity", Korean Studies Information, (2008) 

  24. Park, S. J., Kim, K. H., and Jeong, S. K.: "The Study on the Analysis of Efficiency of Governmental R&D Programs Regarding to the S&T Outcomes",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ol. 14, 205-222, (2011) 

  25. Park, S. J., Lee, D. J., and Kim, K. T.: "Forecasting the Grid Parity of Solar Photovoltaic Energy Using Two Factor Learning Curve Model", IE Interfaces, vol. 25, 441-449, (2012) 

  26. Seema Sharma and Thomas, V. J.: "Inter-country R&D efficiency analysis: An application of data envelopment analysis", Scientometrics, vol. 76, 483-501, (200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