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행동기에 따른 해외여행자 집단별 쇼핑행동 비교
Comparative Study on Shopping Behavior of Korean Overseas Tourist Groups Based on Travel Motivation 원문보기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17 no.1, 2015년, pp.25 - 37  

전양진 (명지대학교 디자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여행 동기에 따라 여행자들의 집단을 나누고 각 집단별로 해외여행시 구매하는 상품이나 이용 매장의 특성을 비교하는데 있다. 문헌연구를 통해 여행동기와 구매상품의 종류와 속성, 쇼핑장소의 유형과 속성에 대한 주요 문항들을 추출하였다. 20-50대 해외여행 경험자 4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K-평균 군집분석을 통해, 적극적 집단, 소극적 집단, 자연 쾌락추구 집단, 가족 발견추구 집단의 4개의 군집이 확인되었다. 적극적인 여행자들은 해외에서 구매하는 모든 상품종류에 대해 가장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다른 세 집단보다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특히 소극적인 여행자나 자연 쾌락추구 여행자들보다 패션 사치품이나 기념품 구매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품 속성에서 디자인과 명성, 실용성, 가격과 품질 등의 요인들을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구매 장소 측면에서는 적극적 집단은 지역 시장, 패션매장, 선물매장 순으로 선호하였으며 소극적인 여행자들은 패션매장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장소 속성의 중요도는 편의성, 디스플레이, 매장위치 및 판촉활동 순으로 중요시되었으며 적극적인 여행자들은 다른 세 집단 여행자들보다 매장 편의성에 대한 관심이 유의하게 높았다. 가족 발견중심 여행자와 자연 쾌락추구 여행자 집단은 쇼핑행동이 비슷하거나 일부 요인에서만 차이가 있었다. 소극적 여행자들은 나머지 세 집단과 구별되게 모든 쇼핑행동에 대한 관심이 낮았다. 여행동기에 근거한 시장세분화는 서로 다른 쇼핑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변별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egment Korean overseas tourism market based on travel motivation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 to find answer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file of Korean overseas tourists based on their travel motivations. Each segment of tourist groups would be compared in terms of types and attributes of purchasing product, types and attributes of shopping place.

가설 설정

  • 1. The outbound Korean tourists could be classified on the basis of travel motivation.
  • 3. Traveler groups might differ in terms of typ and attribute of shopping place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nderson, L., & Littrell, M. (1995). Souvenir-purchase behavior of women tourists. Annals of Tourism, 22(2), 328-348. 

  2. Beard, J. & Ragheb, M. (1983). Measuring leisure motiva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5(3), 219-228. 

  3. Cohen, E. (1972). Towards a sociology of international tourism. Social Research, 39(1), 164-182. 

  4. Crompton, J. (1979). Motivation for pleasure travel. Annals of Tourism Research, 6, 408-424. 

  5. Hong, H., Jang, A., Hyoun, J., & Kim, H. (2001). Tourism market segmentation in Jeju island based on fashion image of clothing souvenir and characteristics of sub-seg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2), 303-314. 

  6. Huh, K., Yu, J., & Kim, J. (2002).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gift-purchasing behavior of consumers. Journal of Korea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6(2), 31-52. 

  7. Jeon, Y. (2013). Effect of overseas tourists' motivation on shopping behavior. Paper presented at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Fall Conference, Seoul. 

  8. Kim, S. & Littrell, M. (2001). Souvenir buying intentions for self versus others. Annuals of Tourism Research, 28(3), 638-657. 

  9.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09). 2008 Survey on Korean oversea tourism. Seoul, Korea Tourism Organization. 

  10.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14). Korea statistical report on tourism interim 2013. Seoul, Korea Tourism Organization. 

  11. Kotler, P., Bowen, J. & Makens, J. (1996). Marketing for hospitality and tourism.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Inc. 

  12. Lee, M., Chung, S., & Jeon, Y. (2012). A study on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purchase fashion goods through social commerce.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4(2), 63-74. 

  13. Lee, M., & Suh, S. (2014). A study on color coordination of knitwear items for cultural goods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6(1), 125-138. 

  14. Littrell, M., Balzerman, S., Kean, R., Gahring, S., Niemeyer, S., Reilly, R., & Stout, J. (1994). Souvenirs and tourism styles. Journal of Travel Research, 33(1), 3-11. 

  15. Locker, L., & Perdue, R. (1992). A benefit-based segmentation of a nonresident summer travel market. Journal of Travel Research, 31(1), 30-35. 

  16. Mumuni, A., & Mansour, M. (2014). Activity-based segmentation of the outbound leisure tourism market of Saudi Arabia. Journal of Vacation Marketing, 20(3), 239-252. 

  17. Oh, H., Uysal, M., & Weaver, P. (1995). Product bundles and market segments based on travel motivations: A canonical correlation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14(2), 123-137. 

  18. Park, S. (1999).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purchase factors of tourism shopping products affecting postpurchase attitude. Unpublished master thesis, Dong-A University, Pusan. 

  19. Suh, C., & Cho, J. (2002). An empirical study on the clothing merchandise purchase motivation and behavior of feign visitor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1(4), 367-380. 

  20. Swanson, K. & Horridge, E. (2004). A structural model for souvenir consumption, travel activities, and tourist demographics. Journal of Travel Research, 42, 372-380. 

  21. Swetlana, Yu, H., & Ko, S. (2014). Factors related to cashmere product purchases by foreign tourists visiting Mongoli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8(4), 557-571. 

  22. UNWTO. (2014). Tourism Highlights 2014. UNWTO World Tourism Barometer, 12, October. 

  23. Uysal, M., & Jurowski, C. (1994). Testing the push and pull factors. Annals of Tourism Research, 21(4), 844-846. 

  24. Yu, J. (2014). A comparison on the satisfaction and the characteristic of fashion shopping behavior of the shoppers visited in special tourist zone, Dongdaemun and Myeongdong fashion town.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6(3), 117-1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