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섬진강의 어류상
Fish Fauna in the Seomjin River,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3 no.3, 2015년, pp.314 - 329  

박세권 (서남대학교 생명과학과) ,  주현수 (서남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섬진강의 본류와 지류를 대상으로 2010년 5월부터 2013년 9월까지 어류상을 연구한 결과, 총 13목 41과 81속 107종 37,751개체가 확인되었다. 출현어류 중에서 1차 담수어류는 57종 (53.3%), 2차 담수어류는 10종 (9.3%), 해산어류는 40종 (37.4%)으로 확인되었다. 전체 우점종은 피라미 Zacco platypus (28.7%), 아우점종은 참갈겨니 Z. koreanus (15.0%)로 나타났다. 한국 고유종은 전체 21종 (31.3%)이 출현하였으며 보성강 수계에서 19종으로 다양하게 확인되었다.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야생동물 I급인 임실납자루 Acheilognathus somjinensis, II급인 다묵장어 Lampetra reissneri와 모래주사 Microphysogobio koreensis 등 3종이었다. 외래종은 모두 3종으로 떡붕어 Carassius cuvieri, 블루길 Lepomis macrochirus 및 베스 Micropterus salmoides였다. 얼록동사리 Odontobutis interrupta는 섬진강 수계에 이입되어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ish fauna was investigated from 2010 and 2013 at main stream and tributaries in the Seomjin River which has no estuary dike. The collected fishes were identified into 37,751 individuals of 107 species of 81 genera belonging to 41 families. Among the collected fishes the primary freshwater fis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하천의 이용과 개발이 촉진됨에 따라 섬진강의 인위적 환경변화가 예상됨으로써, 섬진강의 수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해 어류상을 조사·분석하고 현황과 변화를 정확히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섬진강의 본류와 12개 지류에 대한 어류상을 종합적으로 조사하여 정리하고 기존연구 자료와 비교함으로써 섬진강 수계의 어류상에 대한 현황과 경시변화를 파악하고 합리적인 담수생태계 관리에 기초생물학적인 자료를 확보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진강은 어떤 강인가? 섬진강은 한반도 남쪽의 중서부에 위치하며 유로연장 213.3 km, 유역 면적 4,896 km2로서 남한에서 네 번째 긴 강으로 하구에 댐과 둑이 건설되어 있지 않다. 섬진강 유역은 백두대간, 금남호남 정맥, 호남정맥으로 둘러싸여 있고 지리산 (1,915 m), 백운산 (1,217 m) 등으로 연결된 산악지형에 접하여 하천의 수질이 국내의 타 수계에 비해 비교적 양호하다(Kim et al. 2002).
대한민국의 어떠한 기후 특성이 수생태계의 안정성의 위협요인으로 작용하는가? 우리나라는 기후 특성상 하계에 강우가 집중되어 있어 홍수로 인한 피해와 물리적 교란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갈수기에는 수질이 악화되는 문제를 지니고 있어 수생태계의 안정성에 주요한 위협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건강한 하천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평가가 우선되어야 하며, 생태계 구성요소 중 하나인 담수어류를 이용한 수환경 평가는 그 중요성이 인정되고 있다 (Kim et al.
2010년부터 2013년까지의 어류상 연구 결과 섬진강의 출현 어류 중 전체 우점종과 아우점종은 무엇이었는가? 4%)으로 확인되었다. 전체 우점종은 피라미 Zacco platypus (28.7%), 아우점종은 참갈겨니 Z. koreanus (15.0%)로 나타났다. 한국 고유종은 전체 21종 (3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ae BS, YH Kang, SK Kim, KU Yoo, JM Park, HU Ha and UW Hwang. 2014.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Structure in the Yeong River, Nakdong River System, Korea. Korean J. Ichthyol. 26:50-51. 

  2. Choi KC. 1983. Nature of Gyeongnam (Freshwater Fishes). Gyeongsangnam-do Education Committee. 311pp. 

  3. Choi KC. 1988. Nature of Jeonbuk (Freshwater Fishes). Jeollabuk-do Education Committee. 386pp. 

  4. Choi KC. 1989. Nature of Jeonnam (Freshwater Fishes). Jeollanam-do Education Committee. 399pp. 

  5. Choi JW and KG An. 2008. Characteristics of fish compositions and longitudinal distribution in Yeongsan River watershed. Korean J. Limnol. 41:301-310. 

  6. Chyung MK. 1977. The Fishes of Korea. Iljisa. 727pp. 

  7. Hur JW, JW Park, SU Kang and JK Kim. 2009. Estimation of Fish Fauna and Habitat Suitability Index in the Geum River Basin. Korean J. Env. Eco. 23:516-527. 

  8. Jang SH, HS Ryu and JH Lee. 2009.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in the Mid-Upper Region of the Seomjin River. Korean J. Limnol. 42:394-403. 

  9. Jeon SR and YJ Kim. 1996. First Record of the Odontobutis interrupta (Gobioidei : Odontobutidae) from Samsan - river and Seomjin - river. Korean J. Limnol. 29:111-117. 

  10. Jeon SR. 1999. The fishes of Namwon-Imsilcheon, and Hwangsan, The 2nd National Ecosystem Survey, Ministry of Envionment. 

  11. Kang EJ, H Yang, HH Lee, KK Kim and CH Kim. 2012. Characteristics of Fish Fauna Collected from Near Estuaries Bank and Fish-way on the Bank of Naktong River. Korean J. Ichthyol. 24:201-219. 

  12. Kim CH, EJ Kang, H Yang, KS Kim and WS Choi. 2012. Characteristics of Fish Fauna Collected from Near Estuary of Seomjin River and Population Ecology. Korean J. Environ. Biol. 30:319-327. 

  13. Kim DS, CG Choi, JJ Seong and JH Kim. 2002. Preservation of Fish Community by the Construction of the Tamjin Dam. Korean J. Environ. Biol. 35:237-246. 

  14. Kim IS. 1997.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37 (Freshwater Fishes). Ministry of Education. 629pp. 

  15. Kim IS, KC Choi and TT Nalbant. 1976. Cobittis longicorpus, a new cobitid fish from Korea. Korean J. Zool. 19:171-178. 

  16. Kim SH, CH Youn and HS Joo. 2002. Freshwater Fish Fauna in the Seomjin River, Gokseong-gun,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0:152-157. 

  17. Lee EH, JW Choi, JH Lee and KG An. 2007. Ecological Health Diagnosis of Sumjin River using Fish Model Metric, Physical Habitat Parameters, and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Korean J. Limnol. 40:184-192. 

  18. Lee JS, JG Kang and JG Kim. 1993. Studies on the Irrigation Water Quality along the Seomjin River. Korean J. Environ. Agric. 12:19-25. 

  19. Lee WS. 2013. Effects of Climate and Human Aquatic Activity on Early Life-history Traits in Fish. Korean J. Limnol. 46:395-408. 

  20.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36-71. 

  21. Martinez PJ, TE Chart, MA Trammell, JG Wullschleger and EP Bergersen. 1994. Fish species composition before and after construction of a main stem reservoir on the White River, Colorado. Environ. Biol. Fish. 40:227-239. 

  22. Nam MM. 1997. The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in the Kapyong Stream. Korean J. Limnol. 30:357-366. 

  23. Nelson JS. 2006. Fishes of the world (4th ed). John Wiely & Sone. New York. 601pp. 

  24. Pie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s. J. Theoret. Biol. 13:131-144. 

  25. Ross ST. 1991. Mechanisms structuring stream fish assemblages: are there lessons from introduced species. Environ. Biol. Fish. 30:359-368. 

  26. Shannon CE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177pp. 

  27. Youn CH. 2002. Fishes of Korea with pictorial key and systematic list. academy-book. 747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