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주도에 분포하는 박쥐류상 (Chiroptera)을 밝히기 위해 2006년 7월부터 2015년 6월까지 용암동굴, 해식동굴, 진지동굴, 생태통로 등으로 지역을 구분하여 조사되었다. 또한 제주도 내 박물관에 소장된 박쥐류 표본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3과 6속 8종의 박쥐류의 서식이 확인되었는데, 이 결과는 1928년부터 보고된 사전 문헌기록들과는 다소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용암동굴과 진지동굴에서는 관박쥐, 흰배윗수염박쥐, 붉은박쥐, 큰발윗수염박쥐, 긴가락박쥐가 공통적으로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해식동굴에서는 1개 지역에서만 관박쥐가 확인되었고, 생태통로에서는 관코박쥐와 집박쥐를 비롯한 5종이 확인되었다. 지역 내 박물관에 소장된 표본조사 결과 큰귀박쥐의 표본도 확인되었다. 연구를 통해 확인된 8종 외에 큰집박쥐, 작은긴가락박쥐, 윗수염박쥐, 쇠큰수염박쥐, M. branditii, 물윗수염박쥐, 작은집박쥐 등 7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흥미로운 점은 멸종위기종으로 알려진 붉은박쥐와 한반도에서는 드물게 발견되는 흰배윗수염박쥐가 제주도에서 서식하는 것이 확인된 것과, 관코박쥐도 조사과정에서 처음으로 발견되는 등 다양한 장소에서 박쥐류가 서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는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제주도에서 박쥐류의 보전을 위한 생물다양성 연구나 생태학적 연구를 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at (Chiroptera) fauna in Jeju Island. Bat distribution was monitored in lava tubes, sea caves, cave encampments and eco-corridors from July, 2006 to June, 2015. Bat specimens were also confirmed at the museums in Jeju Island. From the present study, w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제주도에 분포하는 박쥐류상(Chiroptera)을 밝히기 위해 2006년 7월부터 2015년 6월까지 용암동굴, 해식 동굴, 진지동굴, 생태통로 등으로 지역을 구분하여 조사되었다. 또한 제주도 내 박물관에 소장된 박쥐류 표본을 조사하였다.
  • 하지만 제주도 박쥐류에 대한 연구들이 한라산이나 천연동굴 학술조사의 일환으로 진행되거나, 국내 또는 외국 학자들이 단기간에 걸친 방문조사로 진행된 사례들이 많아,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조사결과들이 마련되지 못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약 10년 동안 제주도의 34개 지역에서 현장조사와 박물관 표본 확인 등을 수행하여, 명확한 근거를 위주로 과거 제주도에서 보고된 박쥐류 15종 중 8종의 서식을 확인하였다. 제주도 박쥐류에 대한 연구들 중에는 개인적인 관찰에 대한 미보고 자료를 문헌에 기재한 경우도 간혹 발견되며, 표본의 부재로 인해 재확인이 불가한 경우도 없지 않다.
  • 이에 본 연구는 제주도 박쥐류의 주요 서식처로 기존에 연구되어 온 천연 용암동굴, 해안 해식동굴, 오름과 제주도 해안에 조성된 진지동굴, 한라산 계곡과 교각, 숲 등 생태통로를 선정하여 관찰, 채집 조사를 수행하고, 제주도 내에 소장되어 있는 표본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그동안 보고되었던 문헌상의 기록들을 재검토하고, 제주도 박쥐류상을 재정립 하여 생물상보전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박쥐는 분류학적으로 어디에 속하며 몇 가지 종류가 분포하는가? 박쥐는 포유강 (Mammalia), 익수목 (Chiroptera)에 속하며, 포유류의 약 1/4에 해당하는 1,300여 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Fenton and Simmons 2014). 포유류 중에서는 설치목 다음으로 종 수가 많고, 나무가 자라지 못하는 추운 지역과 대양의 섬을 제외하고 전 세계에서 발견된다.
제주도가 동굴성, 산림성 박쥐의 서식지로 좋은 환경을 갖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반도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제주도는 화산활동에 의해 형성된 섬으로, 150여 개의 천연 용암동굴 (lava tube)과 과거 일제강점기에 건설된 군사용 진지동굴 (cave encampment) 이 곳곳에 산재해 있으며, 중심부에 위치한 한라산과 곶자왈 등이 있어, 동굴성 박쥐와 산림성 박쥐가 서식하기에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다. 제주도 박쥐류에 대한 연구보고는 Mori (1928)가 처음으로 큰수염박쥐 (Myotis mystacinus) 1종을 채집하여 기록하였으며, 이후 1933년에 체색과 비막이더 어두운 점을 들어 제주관박쥐 (Rhinolophus ferrumequium quelpartis)를 보고하였다 (Mori 1933).
제주의 용암동굴과 진지동굴에서 공통으로 서식하는 박쥐류는 무엇이 있는가? 연구결과, 3과 6속 8종의 박쥐류의 서식이 확인되었는데, 이 결과는 1928년부터 보고된 사전 문헌기록들과는 다소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용암동굴과 진지동굴에서는 관박쥐, 흰배윗수염박쥐, 붉은박쥐, 큰발윗수염박쥐, 긴가락박쥐가 공통적으로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해식동굴에서는 1개 지역에서만 관박쥐가 확인되었고, 생태통로에서는 관코박쥐와 집박쥐를 비롯한 5종이 확인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Fenton MB and NB Simmons. 2014. A World of Science and Mystery Bats. pp. 10-11.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2. Han SH. 2012. Vertebrates. pp. 323-326. In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3. Han SH, D Fukui, CU Chong, YG Choi, SS Kim and JM Jun. 2011. Biodiversity and Phylogenetic Research of Bats in Forests (1). pp. 63.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4. Jo YS, TW Kim, BJ Choi and HS Oh. 2012. Current status of terrestial mammals on Jeju Island. J. Species Res. 1:249-56. 

  5. Koyanagi K, H Yoshino, H Tamura and SH Han. 2009. Faunal survey of bats in Jeju Island, Korea. Bull. Asian Bat Res. Institute 8:37-44. 

  6.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4. Mammals. pp. 49. In Korea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nd Eds. Jisungsa. Seoul. 

  7. Mori T. 1928. On the Chiroptera of Korea. Zool. Mag. Tokyo 40:282-303. 

  8. Mori T. 1933. On two bats from Korea. J. Chosen N. H. Soc. 16:1-5. 

  9. Namkung J. 1981. The fauna of the lava caves and its environment in Jeju Island, Korea. Hangokdonggulhakhoiji 6:17-27. 

  10. Oh HS. 2006. Mammals of Mt. Halla, Korea. pp. 139-153. In Report of Survey of Hallasan Natural Reserve. Research Institute for Mt. Halla.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Jeju. 

  11. Oh HS, MH Chang and BS Kim. 2007. Current status of mammals in Hallasan National Park. Korean J. Eviron. Ecol. 21:235-242. 

  12. Shim JH. 1986. A study on the heredity and morphological variation of the Korean Greater Horseshoe bat (Rhinolophus ferrumequinum). Master thesis, In-Ha University. 

  13. Simmons NB. 2005. Order Chiroptera. pp. 312-529. In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Third ed. (Wilson DE and Reeder DM ed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14. Son SW. 1981. Notes on some bats from the Jejoo Islands. Theses Collection, Kyungnam Univ. 8:161-168. 

  15. Son SW. 2001. Bats: Jiseong Natural History series 3. pp. 92-105. Jiseongsa. Seoul. 

  16. Won HG. 1968. Mammals of Korea. pp. 73-139. Kwahakwon Co. Ltd. Pyungyang. 

  17. Won PH. 1967. Chiroptera. In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vol 7. Mammals. pp. 294-375. Ministry of Education. Seoul. 

  18. Yoon MH. 2010. Vertebrate Fauna of Korea, vol. 5, no. 1: Bats. pp. 123. In Flora and Fauna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19. Yoon MH and SW Son. 1989. Studies on taxonomy and phylogeny of bats inhabiting Korea I. Taxonomical review of one Rhinolophid and six Vespertilionid bats, and the Korean microchiropteran faunal succession. Korean J. Zool. 32:374-392. 

  20. Yoon MH, SH Han, HS Oh and JG Kim. 2004. The Mammals of Korea. pp. 36-94. Dongbang Media.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