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덕유산의 생태계 탄소축적량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ccumulated Ecosystem Carbon in Mt. Deogyusan,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3 no.4, 2015년, pp.459 - 467  

정석희 (건국대학교 생명과학과) ,  엄지영 (건국대학교 생명과학과) ,  장지혜 (건국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재호 (국립생태원) ,  조구현 (산림생산기술연구소) ,  이재석 (건국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역적 규모의 탄소순환과 저장량 변화에 대한 자료는 지구적 규모의 탄소순환 형태 변화를 예측하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따라서 다양한 지역적 규모의 생태계에 대한 자료 수집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국내 다양한 생태계 중 자연성이 높은 국립공원지역 산림 생태계의 탄소축적량을 산정하여 자연군락이 축적 가능한 탄소축적 잠재량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지인 덕유산국립공원은 신갈나무 우점군락 10,881.5 ha (47.2%), 굴참나무 우점군락 2,314.6 ha (10.0%), 소나무 우점군락 1,952.6 ha (8.5%), 졸참나무 우점군락 402.9 ha (1.7%) 등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구는 군락의 분포지역을 확인하고, 수목밀도와 종조성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고, biomass 탄소축적량을 산정하기 매목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매목조사구 내 토양샘플구 ($30cm{\times}30cm$)를 각 3개씩 설치하여 토양 탄소축적량을 조사하였다. Biomass 탄소축적량과 토양 탄소축적량은 신갈나무 우점군락에서 각각 1,749,000 tC와 7,776,000 tC로 가장 높은 값이 측정되었다. 군락별 전체 생태계에 축적되어 있는 탄소량은 신갈나무 우점군락과, 굴참나무 우점군락, 졸참나무 우점군락, 소나무 우점군락에서 각각 9,536,000 tC, 1,405,000 tC, 147,000 tC, 346,000 tC로 나타났다. 또한 덕유산국립공원의 전체 생태계 탄소축적량은 11,434,000 tC로 산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derstanding of a carbon storage in a regional scale ecosystem is a very important data for predicting change of global carbon cycle. Therefore, the real data collected in the various ecosystems are a very useful for enhancing accuracy of model prediction. We tried to estimate total accumulated e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식물구계 상 남부아구에 속하며, 지리적으로는 백두대간의 중, 남부지역의 중심부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생태학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Kim et al. 2013) 덕유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국립공원 내주요 생태계의 biomass 탄소축적량 및 토양권 탄소축적량의파악 및 식생군락의 상호관계를 해석하여 교란되지 않는 산림 생태계에 대한 탄소축적량 특성의 이해를 높이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생태계의 탄소 저장 및 축적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산림생태계의 탄소 저장 및 축적은 크게 식생권과 토양권으로 구분되고 (Kim and Kim 1988; Lee 2012), 토양권은 식생권보다 많은 양의 탄소가 축적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Whittaker and Marks 1975; Post and Kwon 2000). 따라서 지구적 탄소순환의 이해에는 식생권 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는 것이 아닌 토양권 탄소축적량의 파악도 병행하여야 한다 (Kwon et al.
육상생태계에서 산림생태계는 어떤 역할인가? 육상생태계에서 산림생태계는 가장 큰 탄소 저장고로 탄소저장량의 변화 및 변동 연구의 주요한 주제이며 (McCarl and Schneider 2001; IPCC 2014), 전 지구적 탄소순환의 조절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산림의 올바른 관리는 지구 온난화 및 기후변화에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구 상 면적에서 산림은 41억 ha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육상생태계에서 지상부 탄소축적량의 80%를 저장하고있다.
지구적 탄소순환의 이해를 위해 토양권의 탄소축적량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산림생태계의 탄소 저장 및 축적은 크게 식생권과 토양권으로 구분되고 (Kim and Kim 1988; Lee 2012), 토양권은 식생권보다 많은 양의 탄소가 축적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Whittaker and Marks 1975; Post and Kwon 2000). 따라서 지구적 탄소순환의 이해에는 식생권 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는 것이 아닌 토양권 탄소축적량의 파악도 병행하여야 한다 (Kw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Gwon JH, MK Sin, HJ Kwon and HK Song. 2013. A Study on the Forest Vegetation of Jirisan National Park. J. Korean Environ. Res. Tech. 16:93-118. 

  2. Heiri O, AF Lotter and G Lemcke. 2001. Loss on ignition as a method for estimating organic and carbonate content in sediments: reproducibility and comparability of results. J. Paleolimnol. 25:101-110. 

  3. IPCC. 2014.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I and II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Geneva. 

  4. Jang JH, JS Lee, JS Jeong, TY Song, KJ Lee, SU Suh and JS Lee. 2014. A study of environment of forest ecosystem carbon storage in Gyeryongsan National Park, Korea. Korean J. Environ. Biol. 47:319-327. 

  5. Kim CH, JG Oh and NS Lee. 2013. A Study on the forest vegetation of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Ecol. 46:33-40. 

  6. Kim CH, JG Oh, YE Choi, SS Lee and EO Kang. 2013.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Plant Community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Ecol. 46:570-580. 

  7. Kim CH, JG Oh, EO Kang and JG Lim. 2014. Community Distribution on Mountain forest vegetation of the Gyebangsan area in the Odaesan National Park, Korea. Korean J. Ecol. Environ. 47:135-145. 

  8. Kim G and C Kim. 1988. Research trends on forest biomass production in Korea. J. Korean. Forest Environ. 8:94-107. 

  9. Kim HS, SM Lee and HG Song. 2011. Actual vegetation distribution status and ecological succession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Ecol. 25:37-43. 

  10. Kim HS, S.M Lee and HK Song. 2010. Vegetation structure of the Hyangjeokbong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J. Korean Environ. Res. Tech. 24:708-722. 

  11. Kim JH. 1971. A study of forest productivity and growth structure, Pinus rigida plantation. J. Plant Biol. 14:19-23. 

  12. Kim YO. 2012. Study on national park visitors' consciousness on nature conservation and their attitude toward eco-tourism (-Focusing on BukHanSan National Park). Tourism Res. 26:77-97. 

  13. Korean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0. Survey manual for biomass and soil carbon. 

  14. Korea Forest Service. 2010. Forest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Available from http://fgis.forest.go.kr/fgis. Accessed 2015 December 16. 

  15.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4. Deogyusan National Park Nature Resources Survey. 

  16.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9.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 National Park Service. Seoul. Available from http://deogyu.knps.or.kr/front/portal/visit. Accessed 2015 December 16. 

  17. Kwon GC and DG Lee. 2006. Above- and below-ground biomass and energy content of Quercus mongolica. J. Korean. Forest Environ. 25:31-38. 

  18. Kwon S, JH Seo, YM son and YK Park. 2005. Biomass carbon emissions according to conversion of forest land in Korea. J. Korean. Forest Environ. 24:10-15. 

  19. Lee IK, KJ Kim, JM Cho, DW Lee, DS Cho and JS Yoo. 1994. Biodiversity Korea to 2000. Minumsa, Seoul. 

  20. Lee IK, JH Lim, CS Kim and YK Kim. 2006. Nutrient dynamics in decomposing leaf litter and litter production at the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Site in Mt. Gyebang. J. Ecol. Field Biol. 26: 585-591. 

  21. Lee JS. 2004. A study on change of an accumulated organic matter contents according to successional stage on temperate grassland. Korean J. Environ. Biol. 22:381-386. 

  22. Lee NY. 2011. Estimation of Carbon Storage in Three Cool-Temperate Broad-Leaved Deciduous Forests at Bukhansan National Park, Korea J. National Park Res. 2:53-57. 

  23. Lee NY. 2012. Estimation of carbon storage in three cool-temperate broad-leaved deciduous forests at Jirisan National Park, Korea. Korean J. Environ. Biol. 30:121-127. 

  24. McCarl BA and UA Schneider. 2001. Greenhouse gas mitigation in U.S agricul forest. Sci. 294:2481-2482. 

  25. Ministry of Environment. 2015. Environment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Available from http://egis.me.go.kr/egis/home/main.asp. Accessed 2015 December 16. 

  26. Post WM and KC Kwon. 2000. Soil Carbon Sequestration and Land-Use Change: Processes and Potential. Global Change Biol. 6:317-328. 

  27. Pregitzer KS and ES Euskirchen. 2004. Carbon cycling and storage in world forests: biome patterns related to forest age. Global Change Biol. 10:2052-2077. 

  28. Wang GJ, G Qian, G Cheng and Y Lai. 2002. Soil organic carbon pool of grassland on the Qinghai-Tibetan plateau and its global implication. Sci. Total Environ. 291:207-217. 

  29. Weon HG. 2012. Forest management for increasing carbon absorption. For. magazine (National forestry cooperative federation) 2:58-62. 

  30. Weon HY, GH Oh, JH Pyo and HT Mun. 2012. Decay rate and nutrient dynamics during litter decomposition of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mysinaefolia. Korean J. Environ. Ecol. 26: 74-81. 

  31. Whittaker RH and PL Marks. 1975. Methods of assessing terrestrial productivity. Springer-Verlag, New York. 

  32. Yim YJ and T Kira. 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 J. Ecol. 25:77-88. 

  33. Zhu B, X Wang and J Fang. 2010. Altitudinal changes in carbon storage of temperate forests on Mt Changbai, Northeast China. J. Plant Res. 123:439-4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