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물과 그 식물의 근권미생물과의 협력관계는 이미 오래전부터 관심을 받아왔고 지구 기후변화에 따라 식물과 그 근권미생물의 생태 및 지구환경에 대한 적응성은 막대한 지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따라서 지구온난화에 따라 식물뿌리에 서식하는 근권미생물인 토양미 생물의 우점종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규명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한국 식물생태계의 대표종인 소나무 (A), 잣나무 (B), 상수리나무 (C), 오리나무 (D) 를 선발하여 각각 실온인 $27^{\circ}C$$29^{\circ}C$(실온$+2^{\circ}C$), $31^{\circ}C$(실온$+4^{\circ}C$), $33^{\circ}C$(실온$+6^{\circ}C$)에서 1년 이상 성장시킨 후 이들의 뿌리토양을 무균적으로 채취하여 미생물 screening법과 colony counting을 통하여 각각의 군에서 우점종을 선별한 뒤 16S rRNA 분석에 의해 이들 각각의 우점종을 동정하였다. 그 결과 소나무 $27^{\circ}C$에서는 Bacillus cereus와 Enterobacter sp. CCBAU 15492, 소나무 $29^{\circ}C$에서는 Bacillus sp. 210_64와 Enterobacter sp. CCBAU 15492, 소나무 $31^{\circ}C$에서는 Bacillus sp. 210_64와 Enterobacter ludwigii, 소나무 $33^{\circ}C$에서는 Bacillus sp. 210_64와 Enterobacter sp. CCBAU 15492, Bacillus marisflavistrain DS6이 검출되었고, 잣나무 $27^{\circ}C$에서는 Bacillus cereus Q1, Pseudomonas sp. PR1-3, Arthrobacter woluwensisstrain CBU05/5295, 잣나무 $29^{\circ}C$에서는 Bacillus sp. G3, Pseudomonas sp. PR1-3, Bacillus sp. 210_24, 잣나무 $31^{\circ}C$에서는 Bacillus cereus Q1, Pseudomonas sp. PR1-3, 잣나무 $33^{\circ}C$에서는 Bacillus coagulans strain, Pseudomo-Dominant-species Change of Soil Microbes 59 nas sp. PR1-3, Chryseobacterium sp. COLI2, 상수리나무 $27^{\circ}C$에서는 Bacillus cereus strain B1, Pseudomonas putida strain W30, Arthrobacter woluwensis strain CBU05/5295, 상수리나무 $29^{\circ}C$에서는 Bacillus cereus strain CICC10185, Pseudomonas putida strain W30, 상수리나무 $31^{\circ}C$에서는 Bacillus cereus strain CG-T2, Pseudomonas sp. W15Feb9B, 상수리나무 $33^{\circ}C$에서는 Bacillus sp. CCBAU 51490, Arthrobacter woluwensis strain CBU05/5295, 오리나무 $27^{\circ}C$에서는 Bacillus sp. B18, Pseudomonas sp. PD 16, Enterobacter sp. CCBAU 15492, 오리나무 $29^{\circ}C$에서는 Rhodococcus erythropolis PR4, 오리나무 $31^{\circ}C$에서는 Enterobacter cloacae, Pseudomonas sp. PD 16, 오리나무 $33^{\circ}C$에서는 Bacillus subtilis strain SYH15, Pseudomonas sp. PD16을 우점종으로 동정하였다. 이 중 소나무는 $33^{\circ}C$에서 Bacillus marisflavi strain DS6가 $27{\sim}31^{\circ}C$에서는 발견되지 않다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출현한 새로운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잣나무에서는 $27^{\circ}C$에서 Bacillus cereus Q1, $29^{\circ}C$에서는 Bacillus sp. G3, $31^{\circ}C$에서는 Bacillus cereus Q1 등의 Bacillus속이 주요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나 온도가 가장 많이 상승한 $33^{\circ}C$에서는 Chryseobacterium sp. COLI2으로 우점종이 변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은 차후 더 다양한 온도에서의 토양미생물 우점종 변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들 연구결과들이 연계되어 지구온난화와 미생물의 관계, 그리고 새롭게 출현한 토양미생물과 식물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도움이 되는 데이터가 도출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day, the weather is changing continually, due to the progress of global warming. As the weather changes, the habitats of different organisms will change as well. It cannot be predicted whether or not the weather will change with each passing day. In particular, the biological distribution of th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환경요인들은 매우 다양하지만 기상조건(기온, 강수량, 일조시수), 식생, 토양조건(이화학성) 등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는 지구온난화에 의해서 다양한 토양미생물이 그들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받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한국의 식물생태계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대표종인 소나무(A), 잣나무(B), 상수리나무(C), 오리나무(D)를 선발하였다. 이 수목들을 선정한 이유로 소나무(Pinus densiflora)는 우리나라, 중국 동북지방의 압록강 연안, 산둥반도 그리고 일본의 시코쿠, 큐슈, 혼슈 등 북위 37~38°사이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수종으로, 수직적 공간분포는 제주도의 경우 1,200~1,800 m에 출현하며 강원도 화악산과 함경도 추애산 등에서는 1,300 m가 그 분포한계선이며 북위 40°이북에서는 분포한계선이 900 m 이하로 나타난다.
  • 식물과 그 식물의 근권미생물과의 협력관계는 이미 오래전부터 관심을 받아왔고 지구 기후변화에 따라 식물과 그 근권미생물의 생태 및 지구환경에 대한 적응성은 막대한 지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따라서 지구온난화에 따라 식물뿌리에 서식하는 근권미생물인 토양미생물의 우점종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규명하고자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한국 식물생태계의 대표종인 소나무(A), 잣나무(B), 상수리나무(C), 오리나무(D)를 선발하여 각각 실온인 27℃와 29℃ (실온+2℃), 31℃(실온+4℃), 33℃ (실온+6℃)에서 1년 이상 성장시킨 후 이들의 뿌리토양을 무균적으로 채취하여 미생물 screening법과 colony counting을 통하여 각각의 군에서 우점종을 선별한 뒤 16S rRNA 분석에 의해 이들 각각의 우점종을 동정하였다.
  • 2005). 따라서 한국의 식물생태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이들 4종의 한국 대표 수목을 이용하여 지구의 온도 상승에 따라 이들 4종 식물의 뿌리에 거주하고 있는 토양미생물의 우점종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가속화하고 있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온상승에 대해 한국자생수목인 소나무, 잣나무, 상수리나무, 오리나무의 뿌리에 서식하는 토양미생물 우점종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측정하기 위해 실시한 실험으로 실온에서 최대 +6℃까지 조절할 수 있는 온실 house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한국의 6월 평균기온인 27℃를 기준으로하여 각각 2℃씩 온도가 상승한 비닐하우스를 제작하였다.
  • 극단적인 기후변화처럼 눈에 보이는 것부터 온도변화에 따른 미세한 변화까지 그 영향은 실로 크다. 본 연구는 지구온난화의 영향에 의한 눈에 보이지 않는 변화에 대한 것으로 토양 미생물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 이유는 생태계는 생물이 존재하여야 하며, 생태계가 정상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물질순환이 효율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토양미생물이 깊이 관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의 식물생태계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대표하는 수목 종은 무엇이 있나요? 그 환경요인들은 매우 다양하지만 기상조건(기온, 강수량, 일조시수), 식생, 토양조건(이화학성) 등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는 지구온난화에 의해서 다양한 토양미생물이 그들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받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한국의 식물생태계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대표종인 소나무(A), 잣나무(B), 상수리나무(C), 오리나무(D)를 선발하였다. 이 수목들을 선정한 이유로 소나무(Pinus densiflora)는 우리나라, 중국 동북지방의 압록강 연안, 산둥반도 그리고 일본의 시코쿠, 큐슈, 혼슈 등 북위 37~38°사이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수종으로, 수직적 공간분포는 제주도의 경우 1,200~1,800 m에 출현하며 강원도 화악산과 함경도 추애산 등에서는 1,300 m가 그 분포한계선이며 북위 40°이북에서는 분포한계선이 900 m 이하로 나타난다.
토양미생물은 어떤 환경요인에 영향을 받나요? 토양미생물들의 경우도 그 생존은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단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 환경요인들은 매우 다양하지만 기상조건(기온, 강수량, 일조시수), 식생, 토양조건(이화학성) 등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는 지구온난화에 의해서 다양한 토양미생물이 그들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받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한국의 식물생태계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대표종인 소나무(A), 잣나무(B), 상수리나무(C), 오리나무(D)를 선발하였다.
토양미생물 연구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나요? 그러나 토양미생물 연구는 다른 연구와 달라서 직접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고 토양에서의 환경조건의 변동에 따라 극적으로 영향을 받고 그 균종의 양과 질이 극적으로 변동할 수 있기 때문에 예측이 어려우며, 실험 방법도배양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그 변동양상을 검토해야 하며 현재까지 개발된 그 어떤 배지도 완벽하지 않아서 실제로 토양 중에 존재하는 미생물 종의 수 %만을 반영하는 등 어려움이 많은 특징이 있다(Yoon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김윤식, 고성철, 오병운. 1981. 한국식물의 분포도에 관한 연구(V). 참나무과의 분포도. 고려대학교 이론공집. pp.93-133. 

  2. 산림청. 1999. 산림입지조사요령. 

  3. 임업연구원. 1999. 소나무 소나무림. 임업연구원. 

  4. 정태현, 이우철. 1965. 한국삼림식물대 및 적지적수론. 성균관대학교논문집. 10:329-435. 

  5. Abbott S. 1999. Klebsiella pneumoniae, Enterobacter, Citrobacter, and Serratia. Manual of Clinical Microbiology. 7th ed.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Press., Washington D.C. pp. 475-482. 

  6. Amin El, HS Hanson, B Petterson, B Petrini and LV Von Stedingk. 2000. Identification of non-tuberculous mycobacteria: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vs. conventional methods. Scand J Infect Dis 32:47-50. 

  7. Brandsch R. 2006. Microbiology and biochemistry of nicotine degradation. Appl. Microbiol. Biotechnol. 69:493-498. 

  8. Chang HW, JW Bae, YD Nam, HY Kwon, JR Park, KS Shiin, KH Kim, ZX Quan, SK Rhee, KG An and YH Park. 2007. Arthrobacter subterraneus. sp. nov., isolated from deep subsurface water of the south coast of Korea. J. Microbiol. Biotechnol. 17:1875-1879. 

  9. Choi MY. 2003. Microbial Diversity on an Industrialized and Agricultural District. Department of Biotechnology and Chemic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Yosu National University. pp.2-3. 

  10. Dunbar J, S Takara, SM Barns, JA Davis and CR Kuske. 1999. Levels of bacterial community diversity in four arid soils compared by cultivation and 16S rRNA gene cloning. Appl. Environ. Microbiol. 65:1662-1669. 

  11. Houghton J. 2007. Global Warming. Hanul Academy. 

  12. Kuroyanagi M, M Simomae, Y Nagashima, M Muto, T Okuda, N Kawahara, T Nakane and T Sano. 2005. New diarylheptaniods from Alnus Japonica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y. Chem. Pharm, Bull. 53:1519-1523. 

  13. Lee JS, KC Lee and Bae KS. 2003. Arthrobacter koreensis sp. nov., a novel alkalitolerant bacterium from soil. int. J. Syst. Evol. Microbiol. 53:1277-1280. 

  14. Mantelin S and B Touraine. 2004. Plant growth-promoting bacteria and nitrate availability: impacts on root development and nitrate uptake. J. Exp. Bot. 55:27-34. 

  15. Sanders WE Jr. and CC Sanders. 1997. Enterobacter spp.: pathogens poised to flourish at the turn of the century. Clin. Microbiol. Rev. 10:220-241. 

  16. Xu Z, H Dai and X Li. 1986. Rational management of broadleaved Pinus Koraiensis (korean pine) forest and improvement of woodland productivity in north-east China. The Temperate Forest Ecosystem. Institute of Terrestrial Ecology. National Environment Research Council. pp.59-67. 

  17. Yoon SY. 2008. Microbiological Diversity of Highland and Development of Biological Assessment Technolog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p.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