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새만금 간척지에서 비닐하우스 작물 재배 가능성 검토를 위해 녹색꽃양배추를 대상으로 일일 관수량을 달리하여 관수량에 따른 토양 염농도 및 생육특성 등을 조사하여 관수량에 의한 재염화 억제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수확기의 표토의 평균 토양 EC 는 1.5 및 $3.0mm{\cdot}day^{-1}$ 처리구에서 각각 10.9 및 $11.5dS{\cdot}m^{-1}$였으며 $6.0mm{\cdot}day^{-1}$ 처리구에서 $5.1dS{\cdot}m^{-1}$로 1.5 및 $3.0mm{\cdot}day^{-1}$ 처리구보다 52~56% 낮게 나타나 점적관수량에 따른 제염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화뢰의 무게는 $6.0mm{\cdot}day^{-1}$ 처리구에서 주당 371.3g으로 1.5 및 $3.0mm{\cdot}day^{-1}$ 처리구의 60.9g 및 129.1g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 50%의 수량감소를 보이는 토양 EC는 $7.6dS{\cdot}m^{-1}$였으며 점적관수에 의한 토양 제염효과는 $6.0mm{\cdot}day^{-1}$ 처리에서 30~40cm 깊이까지 나타났다. 따라서 새만금간척지에서 녹색꽃양배추 재배시 점적관수에 의한 토양 재염화 억제를 위해서는 $6.0mm{\cdot}day^{-1}$ 수준의 관수량으로 총 422mm의 물량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염류의 이동은 토양 이화학적 특성 및 계절적 요인 등 여러 가지 환경요인에 영향을 받으므로 간척지 비닐하우스에서 점적관수에 따른 염류의 이동특성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rip irrigation level on soil salinity and growth of broccoli (Brassica oleracea L. var. italica) at the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from April to June, 2015. Drip irrigation was conducted at 1.5, 3.0 and $6.0mm{\cdot}day^{-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새만금간척지 비닐하우스에서 재염화 억제를 위한 물 관리 및 관수 방법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새만금간척지에서 시설하우스 소득작물 재배 가능성을 탐색하고 재염화 억제를 위한 일일 관수량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녹색꽃양배추를 대상으로 점적 관수량에 따른 토양 염농도 및 작물 생육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새만금 간척지에서 비닐하우스 작물 재배 가능성 검토를 위해 녹색꽃양배추를 대상으로 일일 관수량을 달리하여 관수량에 따른 토양 염농도 및 생육특성 등을 조사하여 관수량에 의한 재염화 억제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수확기의 표토의 평균 토양 EC는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척농지를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국내의 쌀 수입개방과 소비 감소로 간척지를 벼 재배 이외에 고소득 작물 생산기지로서의 활용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간척농지를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부가가치가 높은 원예 단지 개발이 필요하다(RRI, 2007). 또한 간척지의 활용 목적 변화로 간척지 녹비 및 사료 작물 재배(Sohn 등, 2009), 간척지 적응원예작물 품종 선발(Lee 등, 2003; Kim 등, 1977)등 간척지에서 밭작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간척지에서 밭작물에 대한 연구는 무엇이 있는가? 국내의 쌀 수입개방과 소비 감소로 간척지를 벼 재배 이외에 고소득 작물 생산기지로서의 활용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간척농지를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부가가치가 높은 원예 단지 개발이 필요하다(RRI, 2007). 또한 간척지의 활용 목적 변화로 간척지 녹비 및 사료 작물 재배(Sohn 등, 2009), 간척지 적응원예작물 품종 선발(Lee 등, 2003; Kim 등, 1977)등 간척지에서 밭작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정부는 간척 사업을 진행 중이거나 준공 후 미처분된 서남해안 11개 간척지(시화, 화옹, 석문, 남포, 이원, 새만금, 영산강, 군내, 보전, 삼산, 고흥간척지)의 다원적 활용을 위해 지구별 특성화 방안을 구상하여 고시하였으며 현재 다양한 밭작물 재배가 시도되고 있다.
서남해안 11개 간척지 중 새만금간척지는 어느정도의 방조제를 보유하고 있는가? 그리고 정부는 간척 사업을 진행 중이거나 준공 후 미처분된 서남해안 11개 간척지(시화, 화옹, 석문, 남포, 이원, 새만금, 영산강, 군내, 보전, 삼산, 고흥간척지)의 다원적 활용을 위해 지구별 특성화 방안을 구상하여 고시하였으며 현재 다양한 밭작물 재배가 시도되고 있다. 특히 새만금간척지는 식량생산기지 조성을 위해 1991년에 시작하여 2006년에 완공 되었으며 33km의 세계 최장의 방조제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새만금간척지구 28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ernstein, L., L.E. Francois, and R.A. Clark. 1974. Interactive effects of salinity and fertility on yields of grains and vegetables. Agron. J. 66:412-421. 

  2. Daniela Di Baccio, F. Navari-Izzo, and R. Izzo. 2004. Seawater irrigation: antioxidant defence responses in leaves and roots of a sunflower (Helianthus annuus L.) ecotype. Journal of plant physiology 161(12): 1359-1366. 

  3. Hanson, B. and D. May. 2003. Drip irrigation increases tomato yields in salt-affected soil of San Joaquin Valley. California Agriculture 57(4): 132-137. 

  4. Kim, H.Y., B.I. Lee, and K.K. Kim. 1977. Varietal selection experiment suitable for reclaimed land. Res. Rept. Vegetable & Hort. Sta. p. 1020-1024 (in Korean). 

  5. Jun, H.J., Y.S. Shin, and K.S. Jun. 2012. Soil EC and yield and quality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 as affected by fertigation. J. Bio-Environ. Control 21:186-191(in Korean). 

  6. Kim, P.J., D.K. Lee, and D.Y. Chung. 1997. Vertical distribution of bulk density and salts in a plastic film house soil. Kor. J. Soil Sci. Fert. 30(3):226-233 (in Korean). 

  7. Koo, J.W., K.W. Han, J.G. Son, and D.W. Lee. 1992. Determining irrigation requirements and water management practices for normal growth of dry field crops in reclaimed tidelands. J. Kor. Soc. Agri. Eng. 34(4):80-96 (in Korean). 

  8. Lee, S.H., B.D. Hong, Y. Ahn, and H.M. Ro. 2003. Relation between growth condition of six upland-crops and soil salinity in reclaimed land. J. Kor. Soc. Soil Sci. Fert. 36(2):66-71(in Korean). 

  9. Lee, Y.J., H.B. Yun, R.Y. Kim, R.Y. Kim, J.S. Lee, Y.S. Song, J.K. Sung, and J.E. Yang. 2012. Determination of exchangeable cations in soils affected by different types of salt accumulation. Kor. J. Soil Sci. Fert. 45(2):135-142 (in Korean). 

  10. Mbagwu, J.S.C. and J.O. Osuigw. 1985. Effects of varying levels and frequencies of irrigation on growth, yield, nutrient uptake and water use efficiency of maize and cowpeas on a sandy loam ultisol. Plant and soil 84(29): 181-192 

  11. Park, J.M., J.L. Tae, and S.E. Lee. 2012. Effect of subsurface drip pipes spacing on the yield of lettuce, irrigation efficiency,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in greenhouse cultivation. Kor. J. Soil Sci. Fert. 45(5):683-689 (in Korean). 

  1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00. Method of soil and plant analysis. RDA, Suwon, Korea. 

  1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1997. A study on water management in greenhouse. RDA, Suwon, Korea. 

  14. Rural Research Institute (RRI). 2007. Development method of the future agriculture complex in reclaimed land. Res. Rpt. Rural Research Institute. Korea Rural Community & Agriculture Corporation. Ansan, Korea. p. 18. 

  15. Seelig, B.D. 2000. Salinity and sodicity in North Dakota soils. North Dakota State University Extension Service. 

  16. Shin, M.S. 2011. Floating Architecture Project and inner development in reclamation area of semangeum. J. Arch. Inst. Kor. 55(9):32-36 (in Korean). 

  17. Sohn, Y.M., G.Y. Jeon, J.D. Song, J.H. Lee, and M.E. Park. 2009. Effect of spatial soil salinity variation on the growth of soiling and forage crops seeded at the Newly Reclaimed Tidal Lands in Korea. Kor. J. Soil Sci. Fert. 42(3):179-186 (in Korean). 

  18. Vimala, P., Illias, M. K., Yeong, N. H., and Salbiah, H. 1997. Nutrient uptake studies on broccoli (Brassica oleracea L. var. italica) grown on peat. J. Trop. Agr. Food. Sci. 25:9-14. 

  19. Yuk, C.S., J.J. Kim., S.D. Hong and B.G. Kang. 1993. Salt accumulation in horticultural soils of PE film house in Chungbuk area. Kor. J. Soil Sci. Fert. 26(3):172-180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