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건강증진 연구방법 및 전략으로서의 포토보이스
Photovoice as a research method and a strategy for community health promotion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2 no.1, 2015년, pp.77 - 87  

유승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환경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process of photovoice, to review relevant research cases, and to discuss the issues in photovoice applications for community health promotion. Methods: Literature review is performed on photovoice manuals, systematic review literature on international pho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역사회 건강증진에서 참여와 협력이 강조되고 참여전략의 모색이 과제인 시점에서 사진촬영을 매개로 참여와 공감 형성을 시도하고 현실 변화를 추구하는 포토보이스는 시도의 여지가 있는 연구이고 전략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토보이스의 방법과 과정, 국내외 연구현황과 경향을 살펴보고 적용상의 과제를 논의함으로써 포토보이스의 시도와 관련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토보이스란 무엇인가? 포토보이스(photovoice)는 현실사안의 당사자들이 그 사안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사진으로 표현하고 논의함으로써 공감대를 형성하고 의제화하여 사안·상황을 개선, 해결, 발전시키는 과정을 만들고 참여하는 실천연구의 한 유형이다. 사진(photo)을 통해 시각과 입장을 표현하고 현실사안에 대해 평소 낼 기회가 없었던 목소리(voice)를 낸다는 점 - 지역사회의 개인과 집합적 경험을 드러내는 활동(Voicing Our Individual and Collective Experience: VOICE; Wang & Burris, 1997)이라는 점에서 포토보이스의 참여, 실천적 성격이 드러난다.
포토보이스가 지역사회 건강증진에 가지는 의미는 무엇인가? 사진(photo)을 통해 시각과 입장을 표현하고 현실사안에 대해 평소 낼 기회가 없었던 목소리(voice)를 낸다는 점 - 지역사회의 개인과 집합적 경험을 드러내는 활동(Voicing Our Individual and Collective Experience: VOICE; Wang & Burris, 1997)이라는 점에서 포토보이스의 참여, 실천적 성격이 드러난다. 지역사회 건강증진1)에서 포토보이스는 지역사회가 인식하고 공감하는 건강사안과 사회문제를 당사자 시각에서 파악하고 표현하고 이해하는 과정이자, 그에 대한 대안과 지역사회의 역할을 탐색하고 이해관계자들 간의 논의와 활동을 통해 실천으로 이어가는 연구, 전략의 의의가 있다.
포토보이스의 목적은 어떤 논리를 기반으로 두고 있는가? 포토보이스의 목적은 사람들이 자신의 지역사회의 관심사와 장점에 대해 생각하여 사진으로 기록, 표현하고, 그 사진들에 대해 토론하며 중요 사안들에 대해 비판적 논의를 키워서 그 논의가 정책입안자들에게 닿고, 사회변화로 이어지게 하는 것이다(Wang & Burris, 1997). 이는 현실사안에 대해 당사자가 그들의 입장을 담은 사진이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전달하여 공감대와 논의를 불러일으킴으로써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논리를 기반에 두고 있다. 따라서 포토보이스는 지역사회와 그 구성원들의 역량강화 과정으로서, 지역사회 당사자들이 메시지를 담은 시각적 이미지를 만들고 소통하는 주체여야 하고, 정책입안자를 비롯한 이해 관계자들이 포토보이스의 주요 청중이자 협력자로 과정 초반부터 고려되고 포함되어야 한다(Wang,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atalani, C., & Minkler, M. (2010). Photovoice: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 health and public health. Health Education & Behavior, 37(3), 424-450. 

  2. Community Tool Box. (2014). Implementing photovoice in your community. Retrieved from http://ctb.ku.edu/en/table-of-contents/assessment/assessing-community-needs-and-resources/photovoice/main 

  3. Feldman, A. (n.d.). Photovoice. Retrieved from http://people.umass.edu/afeldman/ActionResearch/Photovoice.htm 

  4. Hergenrather, K. C., & Rhodes, S. D. (2008).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Applications for health and disability. In T. Kroll (Ed.), Disability and Health. (pp. 59-87). Hauppage, NY: Nova Science Publishers Inc. 

  5. Hergenrather, K. C., Rhodes, S. D., Cowan, C. A., Bardhoshi, G,, & Pula, S. (2009). Photovoice as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A qualitative review. American Journal of Health Behavior, 33(6), 686-698. 

  6. Hussey, W. (2006). Slivers of the journey: The use of photovoice and storytelling to examine female to male transsexuals' experience of health care access. Journal of Homosexuality, 51, 129-158. 

  7. Jun, J-S., Kim, K-M., & Yu, D-C. (2013). Social inclusion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using photovoice method.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15(2), 305-330. 

  8. Kim, J., Yoo, S., & Sim, S. (2011). Unveiling the meaning of walking for health promotion: the perspectives of urban walker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4), 63-77. 

  9. Kim, K-O. (2013). Social-ecological issues and improvement plans associated with physical inactivity in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n society: A photovoice study.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2(4), 103-116. 

  10. Kim, K-O. (2014). Student perceptions of meanings, barriers, and improvement plans for physical activity through courses in a mid-sized S University.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3(3), 107-125. 

  11. Palibroda, B., Krieg, B., Murdock, L., & Havelock, J. (2009). A practical guide to photovoice: Sharing pictures, telling stories and changing communities. Winnipeg, Manitoba. Canada: Prairie Women's Health Centre of Excellence. 

  12. Photovoice Steering Committee. (2007). Photovoice Hamilton manual and resource kit. Hamilton, Ontario. Canada: Hamilton Community Foundation. 

  13. Powers, M., Freedman, D., & Pitner, R. (2012). From snapshot to civic action: A photovoice facilitator's manual. Columbia, SC: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14. Rhodes, S. D., & Hergenrather, K. C. (2007). Recently arrived immigrant Latino men identify community approaches to promote HIV preventio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7(6), 984-985. 

  15. Sanon, M-A., Evans-Agnew, R. A., & Boutain, D. M. (2014). An exploration of social justice intent in photovoice research studies: From 2008 to 2013. Nursing Inquiry, 21(3), 212-226. 

  16. Wallerstein, N. (1987). Empowerment education: Freire's ideas applied to youth. Youth Policy, 9, 11-15. 

  17. Wang, C., & Burris, M., A. (1994). Empowerment through Photo Novella: Portraits of participation. Health Education Quarterly, 21(2), 171-186. 

  18. Wang, C., & Burris, M., A. (1997). Photovoice: Concept, methodology, and use for participatory needs assessment. Health Education & Behavior, 24(3), 369-387. 

  19. Wang, C. C. (1999). Photovoice: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strategy applied to women's health. Journal of Women's Health, 8(2): 185-192. 

  20. World Health Organization. (1986). The Ottawa Charter for Health Promotion. Ottawa, Canada: World Health Organization. 

  21. Yi, J., Kim, K., & Ra, M. (2014). Lived experiences and visual expressions from immigrant adolescents in Korea during their early adjustment - Using the photovoice methodolog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45, 103-130. 

  22. Yoo, S. (2012). Community participation for health promotion: Definitions and application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9(4), 57-66. 

  23. Yoo, S. & Kim, K. K. (2013). Contexts and directions of the collaboration between public health centers and community partners for health promo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0(4), 77-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