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차원 정밀 실내공간정보 품질인증 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 영등포역을 중심으로-
A Fundamental Study about a Quality Certification of 3D Precision Indoor Geospatial Information - Focused on Yeongdeungpo Station -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3 no.1, 2015년, pp.3 - 14  

이기성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정인훈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최윤수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김상봉 (중앙항업)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심지에서 초고층 건축물 및 지하시설물과 연계된 복합건축물 등 건축물이 대형화 복합화 됨에 따라 공간정보 서비스 대상영역의 범위가 실내공간으로 급속하게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보급, IT 기술의 발달과 함께 향후 실내공간정보 기반의 안전 및 시설물관리, 실내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서비스 수요를 창출하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실내공간정보의 경우, 구축된 실내공간정보 데이터 품질에 대한 인증 기준이 부재하여 이에 따른 검증 기준 마련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연구사례를 검토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내공간정보 품질검증 방안을 마련하여 2014년도 구축된 영등포역의 실내공간정보에 대해 검증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실내공간정보 품질인증의 방법 및 기준에 대한 검증실험을 통해 균일하고 완성도 높은 품질의 데이터를 분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오류 발생 빈도가 높은 유형 등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실내공간정보 품질인증체계를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buildings in the downtown area, such as the complex building connected to the skyscraper and the underground facility, have become large and complex, the range of target domain of the space information service is rapidly expanding to the interior space; it is considered that this change will c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공간정보관련 표준 및 연구사례를 검토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내공간정보 품질검증방안을 제시하여 2014년도 구축된 영등포역의 실내공간정보에 대해 검증실험을 실시하였다.
  • 위에서 제시한 실내공간정보 품질인증 요소는 현재 3차원 공간정보 구축 지침인 ‘3차원 국토공간정보구축 작업지침’과 연관하여 기존에 시행되고 있는 규정을 적용함으로써 현실적인 품질인증 항목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간정보서비스의 영역의 범위가 실외에서 실내로 확대공간정보서비스의 영역의 범위가 실외에서 실내로 확대되어가고 있으며, 국내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빠른 보급, IT기술의 발달과 함께 향후 실내공간정보 기반의 안전 및 시설물관리, 실내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실내공간정보기반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우리나라의 도시지역 인구비율은 91.04%로 도심인 구집중현상이 매우 뚜렷하며, 도심지에서의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건축물의 대형화와 복합화 그리고 지하철 및 지하공간과의 연계화 경향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으로 인해 공간정보서비스의 영역의 범위가 실외에서 실내로 확대되어가고 있으며, 국내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빠른 보급, IT기술의 발달과 함께 향후 실내공간정보 기반의 안전 및 시설물관리, 실내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실내공간정보기반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도시지역 인구비율은? 우리나라의 도시지역 인구비율은 91.04%로 도심인 구집중현상이 매우 뚜렷하며, 도심지에서의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건축물의 대형화와 복합화 그리고 지하철 및 지하공간과의 연계화 경향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으로 인해 공간정보서비스의 영역의 범위가 실외에서 실내로 확대되어가고 있으며, 국내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빠른 보급, IT기술의 발달과 함께 향후 실내공간정보 기반의 안전 및 시설물관리, 실내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실내공간정보기반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품질요소에는 무엇이 있는가? 품질요소는 완전성(Completeness), 논리 일관성(Logical Consistency), 위치 정확도 (Positional Accuracy), 시간적 품질(Temporal quality), 주제 정확도 (Thematic Accuracy), 사용성 요소(Usability element)가 있다. 안정성은 지형지물에 대한 속성과 관계의 유무를 나타내며 논리 일관성은 데이터의 구조, 속성 및 관계의 논리적 원칙의 준수정도를 나타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Ministry of Land, 2003, A study on the quality management method for GIS data. 

  2.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2004, Design guideline for standard data models of framework data. 

  3. Hyung Tae Kim, 2009, 3 dimensional land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project. 

  4. Hyung Tae Kim, Mu Wook Pyeon, Jae Sun Park, Min Soo Kang 2008, The analysis of accuracy in according to the registration methods of terrestrial LiDAR data for indoor spatial modeling 

  5. Seo, Chang-Wan, Choi, Yun-Soo, Kim, Jae-Myeong, Kim, Young-Hak, Kim, Young-Gil, 2009, Improvement plan of quality control for 3D geospatial database,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Vol. 17, No. 2, pp. 231-241. 

  6. Jae Myeong Kim, Yun Soo Choi, Jae Pil Seo, Eun Mi Chang, 2011, A preliminary study of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for geo-spatial information device,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Proceedings of Spring Conference. pp. 96-98. 

  7. A study on the quality certification of 3D geospatial Dataset 

  8. Park, Hong Gi, 2013, Study on the korean accuracy standards setting of digital sketch for the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precise geospatial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1, No. 6-1, pp. 493-502. 

  9. Ministry of Land 2013, Next-generation precision spatial information model and application. 

  10. Antti Jakobsson, Jorgen Giversen, 2013, Guidelines for implementing the ISO 19100 geographic information quality standards in national mapping and cadastral agencie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