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axEnt 모형과 고라니의 이동행태를 고려한 수변지역 이동통로 적지선정
Selecting Suitable Riparian Wildlife Passage Locations for Water Deer based on MaxEnt Model and Wildlife Crossing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3 no.1, 2015년, pp.101 - 111  

정승규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이화수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  박종훈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이동근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박종화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서창완 (국립생태원 기후생태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우리나라는 하천정비사업으로 인해 수변생태계는 큰 위협을 받고 있으며, 수변의 야생동물은 고립되고 이동의 영향을 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변지역을 대상으로 이동통로 적지를 선정하는 것이다. 목표종은 고라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Maximum Entropy 모형과 눈길위흔적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최소비용거리에 따른 야생동물의 행동생태학적인 관점에서 수변지역의 이동통로 적지를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변인접서식지 분석에서 고라니의 잠재서식지 영향을 주는 중요요소는 수계와의 거리, 영급, 토지피복, 경사, 향, 고도, 밀도, 도로와의 거리순으로 나타났으며, 수변에서는 토지피복, 수변면적, 지류와의 거리, 시가지와의 거리가 주요 변수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적지선정 지점은 수변과 인접지역의 각각의 서식지에서 적합도가 높은 지점과 이동경로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적지선정 지점들은 수변의 산림, 초지 및 농경지가 고라니의 주요 서식지이나 도로나 제방으로 인해서 연결성이 저하된 곳이었으며, 이동에 영향을 받아 우회하는 것을 눈길위흔적조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고라니는 수변지역에서 지류를 통해서 수변과 인근의 좋은 서식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유추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적지 선정 방법은 구조적이고 기능적인 분석을 통합한 방법으로 적지선정에 적용한다면 시간적 경제적인 소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ream restoration projects have become threats to riparian ecosystem in Rep. of korea. Riparian wildlife becomes isolated and the animals are often experience difficulties in crossing riparian corridor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select suitable wildlife passages for wild animals crossing 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야생동물의 서식 환경 및 서식지간 이동을 고려하지 않은 시공으로 인해 이 지역 야생동물 군집의 서식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일부 구간에서는 로드킬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하천수변조사와 야생동물 흔적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MaxEnt (Maximum Entropy) 모형과 GIS분석을 실시하여, 고라니의 이동통로 적지선정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변지역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하천과 육상의 경계에 있는 수변지역은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독특한 생태계를 구성하고 있으며, 높은 생물다양성을 보인다. 특히 이 지역은 포유류, 조류, 양서 파충류를 비롯한 많은 생물의 서식공간으로서 역할 뿐만 아니라 이동공간으로도 기여함으로써, 인근 생태계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 에서는 1960년대부터 치수와 이수를 목적으로 한 하천 종합개발계획을 수립한 결과 보, 제방, 하구둑 등 많은 구조물의 건설되었으며, 수변지역은 둔치와 같은 친수 공간을 조성하였다.
서식지 적합성 평가란 무엇인가? 선진국에서는 이미 1970년대 이후 자연환경 관리정책에 생물종의 서식지 적합성 평가에 따른 보전지역 설정 및 복원을 위한 대상지 선정을 반영하고 있다(Lee and Song, 2009). 서식지 적합성 평가는 환경변수를 이용하여 야생동물의 서식에 적합한 환경조건을 분석하는 것으로 과거에는 GAP(Gap Analysis Program)이나 서식지적합성 지수(Habitat Suitability Index)와 같은 모형을 이용하였으나 정확도 부분에서는 한계가 있었다. 최근에는 종분포도와 통계 기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종분포모형이 개발되었으며, 자료의 종류(출현/비출현자료, 출현자료만)에 따라 적합한 모형을 적용 중이다(Kwon, 2011;Seo et al.
서식지의 파편화와 단절은 어떤 결과를 일으키는가? 서식지의 파편화와 단절은 생물다양성 감소를 야기 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메타개체군 절멸로 이어진다 (Park et al.,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Bae, Y. J., D. H. Won, W. J. Lee, and H. W. Seung, 2003, Development of environment assessment technique and biodiversity management system and their application to stream ecosystem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Biology, Vol. 31, No. 3. pp. 223-233(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Bae, Y. J., and B. H. Lee, 2001, Human impacts on stream ecosystems and freshwater arthropods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tomology, Vol. 31, No. 2, pp. 63-76(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Baguette, M., and H. V. Dyck, 2007, Landscape connectivity and animal behavior : functional grain as a key determinant for dispersal. Landscape Ecology, Vol. 22, pp. 1117-1129. 

  4. Belisle, M., 2005, Measuring landscape connectivity : the challenge of behavioral landscape ecology, Ecology, Vol. 86, No. 8, pp. 1988-1995. 

  5. Bunn, A. G., D. L. Urban, and Keitt, T. H., 2000, Landscape connectivity : A conservation application of graph theory.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ol.59, pp. 265-278. 

  6. Cortes R. M. V., S. V. de Oliveira, S. J. Hughes, and M. T. Ferreira, 2008, Combining habitat and biological characterization: Ecological validation of the river habitat survey, Limnetica, Vol. 27, No. 1, pp. 39-56. 

  7. Choi, S. Y., 2003, Development of Habitat Suitability Evaluation Model for Korean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argyropus) in Daebu Island, Korea, Theses of Master's Degree,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8. Choi, T. Y., 2007, Road-Kill Mitigation Strategies for Mammals in Korea: Data Based on Surveys of Road-kill, Non-wildlife Passage Use, and homerange, Ph 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9. Choi, T. Y., H. S. Kwon, D. G. Woo, and C. H. Park, 2012, Habitat Selection and Management of the Leopard Cat(Prionailurus bengalensis) in a Rural Area of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 26, No. 3, pp. 322-332(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Gustafson, E. J., and R. H. Gardner, 1996, The effect of landscape heterogeneity on the probability of patch colonization, Ecology, Vol. 77, pp. 94-107. 

  11. Jeong, S. K., 2014, Evaluation Model of Riparian Corridor Connectivity : A Case Study of Seom River Basin, Gangwon-do, Ph 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2.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3, A Study on the Comparison and Assessment for Four River Restoration Project South Korea, KEI Annual Report : 2013-05-04. 

  13. Kim, E. M., J. O. Kwon, C. W. Kang, K. M. Song, and D. W. Min, 2013, Home range size and habitat environment related to the parturition of Roe Deer at warm-temperate forest in Jeju island using gps-cdma based wildlife tracking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6, No. 2, pp. 65-74(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M. S., 2005, The existing conditions and problems of ecological corridor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ol. 8, No. 1, pp. 17-26(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0, Habitat evaluation strategy for legally protected wildbirds in Korea. 

  16. Park, H. M., and S. D. Lee., 2013, Habitat use pattern of Korean Waterdeer based on the land coverage map,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ol. 15, No. 4, pp. 567-572(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won, H. S., 2011, Integrated evaluation model of biodiversity for conservation planning : focused on Mt. Jiri, Mt. Deokyu and Mt. Gaya region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8. Kwon, H. S., 2006, Causes and reductions of the Raccoon dog(Nycterestes procyonides ussuricnsis MATSCHIE) road-kill occurrence, M.Sc.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9. Kim, J. Y., C. W. Seo, H. S. Kwon, J. E. Ryu, and M. J. Kim, 2012, A study on the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using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 21, No. 4, pp. 593-607(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Krebs, J. R., and Davies, N. B., 1981, An introduction to behavioral ecology, Blackwell Science Inc., USA. 

  21. Lee, B. K., 2003, Morphological, ecological and DNA taxonom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water deer(hydropotes inermis swinhoe), Doctoral dissertation, Chungbuk University 

  22. Lee, D. K., and W. K. Song, 2009, A study on the analytic unit of habitat suitability assessment and selection in conservation area for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 focus on Chuncheong province area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ol. 36, No. 5, pp. 64-72(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Lee, D. K. and H. G. Kim, 2010, Habitat Potential Evaluation Using Maxent Model - Focused on Riparian Distance, Stream Order and Land Us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ol. 13, No. 6, pp. 161-172. 

  24. Lee, Y. W., and M. W. Lee, 2006, Eco-corridor positioning for target species - By field surveying of mammals' road-kill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ol. 9, No. 3, pp. 51-5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Manen, F. T. van, and M. R. Pelton, 1997, A GIS model to predict black bear habitat use, Journal of Forestry, Vol. 95, No. 8, pp. 6-12 

  26.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2010.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 Hoengseong-, Ministry of Environment. 

  27. Park, J. E., B. J. Kim, D. H. Oh, H. Lee and S. D. Lee, 2011, Feeding Habit Analysis of the Korean Water Deer,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Vol. 25, No. 6, pp. 836-845. 

  28. Park, J. J., D. G. Woo, D. H. Oh, and C. H. Park, 2012, Site selection of wildlife passage for Leopard Cat in urban area using space syntax,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ol. 40, No. 1, pp. 92-99(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Park, J. H., H. D. Yoo, and M. Y. Park, 2009, A study on assessment items analysis for eco-corridors' a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 18, No. 5, pp. 301-312(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Park, S. T., 2010, The 4-river restoration project from the viewpoint of 21st century river manage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ol. 36, No. 1, pp. 72-75(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Phillips, S. J., and M. Dudik, 2008. Modeling of species distributions with Maxent : new extensions and a comprehensive evaluation, Ecography, Vol. 31, No. 2, pp. 161-175. 

  32. Phillips, S. J., R. P. Anderson, and R. E. Schapire, 2006, Maxium entropy modeling of species geographic distributions, Ecological Modelling, Vol. 190, pp. 231-259. 

  33. Sagong, J. H., J. H. Ra, and O. S. Jung, 2011, Earmarking the areas in which wildlife exist as "ecologically connected areas requiring preferential preserv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ol. 39, No. 1, pp. 106-116(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4. Sealey, A., and Oakley, L., 2014, Why did the Canada goose cross the sea? Accounting for the behaviour of wildlife in the documentary series Life,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Linguistics, Vol. 24, No. 1, pp. 19-37. 

  35. Seo, C. W., Y. R. Park, and Y. S. Choi, 2008, Comparison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according to location dat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16, No. 4, pp. 59-64(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6. Shin, S. A., and T. M. Ahn, 2008, Approach to the location of wildlife corridors on highways - Between Yang-jae and Pan-gyo ICs of Seoul-Busan highway, Ko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ol. 11, No. 2, pp. 19-27(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7. Song, B. W., 1996, Master plan for riparian eco-corridor - Concentrated on Anyangchon basin -, Theses of Master's Degre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38. Song, W. K. and E. Y. Kim, 2012, A comparison of machine learning species distribution methods for habitat analysis of the Korea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argyropu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28, No. 1, pp. 171-180(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9. Tischendorf, L. and L. Fahrig, 2000, On the usage and measurement of landscape connectivity, Oikos, Vol. 90, No. 1, pp. 7-19. 

  40. Thuiller, W., 2003, BIOMOD - optimizing predictions of species distributions and projecting potential future shifts under global change, Global Change Biology, Vol. 9, pp. 1353-1362. 

  41. Woo. D. G., 2010, Wildlife Habitat Conservation Plan of Leopard cats and Raccoon dogs in Gang-Seo Ecological Park, Seoul, Korea, Theses of Master's Degre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42. Yang, W. I., 2011,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four major river restoration project, Theses of Master's Degree, Kwangwoon University,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