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paper wa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effect of concentrated animal feeding operations (CAFO) NPS pollution on a small watershed water quality. Monitoring was conducted from March to October, 2013. Monthly flow rate and selected water quality at each monitoring site were me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WAT 모델을 이용하여 축산시설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하천에 미치는 기여도를 평가 및 분석하고자 하였다. 유역내 축산시설에서 배출되는 축산 배출수의 배출 부하량을 저감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유역의 말단에서의 오염부하가 어떻게 변하는지 삭감량을 모의하였다.
  • (2013)의 선행연구에서 SUFI-2 알고리즘에서 NSE 산정에 강우시 발생하는 첨두유량이 모형의 보정 효율을 평가하는데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그러나 연구대상지역의 유량 및 수질 모니터링 결과에서 보듯이 저유량 때의 배출 부하량은 고유량 때의 배출 부하량에 비해 매우 미비하기 때문에 본 연구의 목적인 축산농가의 배출부하량의 하천 기여율 분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 축산비점오염원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축산비점오염원 배출특성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가 밑바탕 되어야 하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여타 분야의 비점오염연구 및 유역․수질관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축산농가의 분뇨개별처리시설과 공공처리시설이 포함되어 있는 소규모유역을 대상으로 배경농도 (산림)와 축산 배출수, 그리고 유역의 말단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을 모니터링하여 정량화하였으며, 모델링을 이용하여 축산농가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이 소유역에 미치는 기여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연구대상 유역 내의 축산농가에서 처리시설을 통하지 않은 배출수는 특정 배출구를 통해 유출되고 있고, 모니터링 또한 이 지점을 통해 이루어졌기 때문에 축산시설을 점오염원 시설로 가정하여, 모니터링 자료를 근거로 한 부하량 저감 시나리오를 적용하였다. 모니터링 결과를 입력자료로 구축한 시나리오A와 축산농가에서 배출되는 축산 배출수의 TN 부하량이 20 % 저감되었을 때를 모의한 시나리오B, 40 % 저감되었을 때를 모의한 시나리오C, 그리고 60 % 저감되었을 때를 모의한 시나리오D 유역 말단에서의 오염부하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비교함으로써 축산농가 배출수가 하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분뇨개별 처리시설과 자원화 시설이 있는 소규모 유역을 대상으로 배경농도 (산림)와 축산 배출수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모델을 적용하여 축산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이 하천에 미치는 기여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모의결과와 같이 축산시설에서의 배출부하 저감효율이 커질수록 말단에서도 부하량의 저감 효율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오염물질의 저감률에 비례하여 말단에서의 오염물질 저감율이 증가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에서 축산농가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모의하기 위해 SWAT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축산에서 배출되는 오염부하가 하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는 모델을 이용한 단순가정에 의한 결과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축산 비점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가설 설정

  • 3을 Point source로 가정하고 강우시와 비강우시 모니터링을 통해 얻은 유량과 오염부하 자료를 입력자료로 이용하여 모의하였다. 연구대상 유역 내의 축산농가에서 처리시설을 통하지 않은 배출수는 특정 배출구를 통해 유출되고 있고, 모니터링 또한 이 지점을 통해 이루어졌기 때문에 축산시설을 점오염원 시설로 가정하여, 모니터링 자료를 근거로 한 부하량 저감 시나리오를 적용하였다. 모니터링 결과를 입력자료로 구축한 시나리오A와 축산농가에서 배출되는 축산 배출수의 TN 부하량이 20 % 저감되었을 때를 모의한 시나리오B, 40 % 저감되었을 때를 모의한 시나리오C, 그리고 60 % 저감되었을 때를 모의한 시나리오D 유역 말단에서의 오염부하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비교함으로써 축산농가 배출수가 하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 5)에 미치는 오염부하 기여율을 나타내었다. 이는 부하량의 크기 비교 결과로 축산시설 오염물질이 하류로 유하하면서 외부의 오염물질이 없이 모두 하천 출구까지 이동한다고 가정한 결과이다. 유역 말단에서의 오염부하와 축산시설에서 하천으로 유입되는 배출부하 비교 결과 축산 배출수의 오염부하 기여율이 BOD는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WAT 2009의 개발 목적은? SWAT 2009 (Rev. 477)모형은 미국 농무성 농업연구소에서 개발된 유역모델로서, 다양한 종류의 토양과 토지이용 및 토지관리 상태에 따른 물과 유사 및 농업화학물질의 거동에 대한 토지관리방법의 영향을 예측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Neitsch et al., 2005).
비점오염원이란? 비점오염원관리 업무편람에 따르면 비점오염원은 공장, 하수처리장, 축사 등과 같이 오염물질 배출 지점이 명확한 점오염원을 제외하고 오염물질이 불특정하게 배출되는 도시, 도로,농지, 산지 등을 말한다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특히 우리나리는 전체 국토의 25 %를 농업지역이 차지하고 있는데, 하천 및 호소에 유입되는 오염물질 중 약 30 % 이상이 농업활동 등에 의한 농업비점오염원으로 분석되고 있다 (Shin, 2013; Shin et al, 2011; Jung et al.
축산시설이 하천 수질에 큰 영향을 끼치는 이유는? 축산시설은 폐수 처리 및 재활용 시설이 운영되고 오염물질 배출지점이 일정하여 점오염원으로 분류되어 있지만, 부실한 관리로 강우-유출수와 함께 배출되는 축산분뇨 등은 농업지역 비점오염원의 일부분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이러한 축산 폐수는 다른 폐수에 비해 오염부하가 훨씬 높아 하천 수질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Lee et al., 2001). 축산농가로부터 발생하는 미처리 배출수는 공공처리시설의 배출수 수질과 비교하여 7~28배의 고농도로 하천에 유입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Ministry of Environment, 2006), 세분류 토지이용에 대해 토지계 원단위를 새롭게 제정하기 위한 연구에서 축산지역이 제외되어 있으며, 축산비점오염원의 배출특성 규명 및 정량화가 수행되지 않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bbaspour, K. C., 2007. User Manual for SWAT-CUP. SWAT Calibration and Uncertainty Analysis Program, Swiss federal Institute of Aquatic Science and Technology. Eawag, Deubendorf, Switzerland. pp. 1-33. 

  2. APHA, AWWA, WEF,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pp. 5,12-5,16. 

  3. Arnold, J. G., 1992. Spatial scale variability in model development and parameterization. Ph.D. diss., West Lafayette, Ind.: Purdue University. 

  4. Arnold, J. G., and R. Srinivasan, 1994. Integration of a BASIN-SCALE Water Quality Model with GIS. Water. 

  5. Arnold, J. G., R. Srinivasan, R. S. Muttiah and J. R. Williams, 1998. Large area hydrologic modeling. Journal of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4(1), pp. 73-89. 

  6. Jeong, I. H., S. C. Choi, C. H. Won, B. S. Chang and J. M. Rim, 2006.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with Land Application of Animal Wast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Korean Soceity of Water & Wastewater, pp. 959-967 (in Korean). 

  7. Jung, C. G., J. Y. Park, H. J. Lee, J. D. Choi and S. J. Kim, 2012. HSPF Modeling for Identifying Runoff Reduction Effec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by Rice Strqw Mulching on Upland Crop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4(4), pp. 1-8 (in Korean). 

  8. Kim, M. H., T. Y. Heo and S. W. Chung, 2013. Uncertainty Analysis on the Simulations of Runoff and Sediment Using SWAT-CUP.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9(5), pp. 681-690 (in Korean). 

  9. Lee, J. W., Y. J. Lee, H. G. Kwon, J. S. Yoon, C. S. Lee and S. U. Cheon, 2012. Estimation of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 Source by Land Cover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21(8): 977-988 (in Korean). 

  10. Lee, N. H., K. S. Yoon, S. J. Kim and S. G. Hong, 2001. Hydrologic and Water Quality Monitoring from a Small-Scale Livestock Watershed. Rural Planning, 7(2): 13-25 (in Korean). 

  11.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Manual Management of Nonpoint Pollutant Source. 

  12.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Annotation process water pollution test methods. 

  13. Ministry of Environment, EGIS, 2009. http://egis.me.go.kr. Accessed Oct. 2013. 

  14. Moriasi, D. N., J. G. Arnold, R. L. Binger, R. D. Binger and T. Veith, 2007. Model evaluation guidelines for systematic quantification of accuracy in watershed simulations. Transactions of the ASABE 50(3), pp. 885-900. 

  1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8. Technical Guidelines of Total Water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16.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Clearinghouse, http://www.ngic.go.kr. Accessed Oct. 2013. 

  17. Neitsch, S. L., J. G. Arnold, J. R. Kiniry, and J. R. Williams, 2005.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oretical Documentation Version 2005. USDA, ARS, Temple, Texas. Resources Bulletin.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pp. 453-462. 

  18. Ramanarayanan, T. S., J. R. Willians, W. A. Duga, L. M. Hauck, and A. M. S. McFarland, 1997. Using APEX to identify alternative practices for animal waste management. ASAE International Meeting, Paper 97-2209. pp. 1-7. 

  19. Rostamian, R., A. Jaleh, M. Afyuni, S. F. Mousavi, M. Heidarpour, A. jalalian, and K. C. Abbaspour, 2008. Application of a SWAT Model for Estimating Runoff and Sediment in Two Mountainous Basins in Central iran. Journal of Hydrological Sciences, 53(5), pp. 977-988. 

  20. Ryu, J. C., H. W. Kang, J. W. Choi, D. S, Kong, D. H. Gum. C. H. Jang and K. J. Lim, 2012. Applicaion of SWAT-CUP for Streamflow Auto-calibration at Soyang-gang Dam Watershed.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8(3), pp. 347-358 (in Korean). 

  21. Shin, M. H., 2013. Study on the reduc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s and greenhouse gas emission from upland crop area by climate change impact. PhD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22. Shin, M. H., C. H. Won, W. J. Park, Y. H. Choi, J. R. Jang, K. J. Lim and J. D. Choi, 2011. Analysis of the Reduction Effect on NPS Pollution Loads by Surface Cover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3(4), pp. 29-37. 

  23. Shin, M. H., J. R. Jang, C. H. Won, Y. H. Choi, J. Y. Shin, K. J. Lim and J. D. Choi, 2012. Effect of Surface Cover on the Reduction of NPS Pollution at a Vegetable Field.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8(3): 436-443 (in Korean). 

  24. Shin, M. H., J. W. Choi, Y. H. Choi, W. J. Park, C. H. Won, D. S. Shin, K. J. Lim and J. D. Choi, 2011.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Generated on Golf Cours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7(6):784-793 (in Korean). 

  25. Won, C. H., M. H. Shin, Y. H. Choi, J. Y. Shin, W. J. Park and J. D. Choi, 2011, Application of Surface Cover Materials for Reduction of Soil Eros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7(5): 848-584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