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보건교육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Expanding Health Education Plan For Improving Public Health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3, 2015년, pp.303 - 317  

윤기선 (호서대학교 교양학과) ,  박정열 (나사렛대학교 국제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민건강증진을 위해 보건교육기관에서 실시하던 보건교육을 평생교육원의 보건교육으로 확대하여 보건교육의 기회 폭을 넓혀 누구나 쉽게 가까운 장소에서 보건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서 보건교육을 증진시키고 의료비용을 절감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국민건강증진향상을 위한 보건교육확대방안에 관한 연구를 분석하고자 20대 이상 보건교육을 필요로 하는 남 여를 대상으로 보건프로그램이나 교육에 참가한 사람 중 무작위 추출법을 사용하여 연구표본을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과 데이터 크리닝 과정을 거쳐 SPSS 20.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민건강증진의 교육과 질병예방 및 영양개선 그리고 식생활개선은 보건교육확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참가의향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보건교육지원이나 건강보험혜택과 교육장소 확대는 참가의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참가의향이 높을수록 의료비절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국민건강증진의 교육과 질병예방은 의료비절감에 영향을 주지 않으나, 영양개선 및 식생활개선, 보건교육지원, 건강보험혜택 그리고 교육장소 확대는 의료비절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the public health centers have been initiating health education recently, it is not extending as expected and the participation of the program is low. The reason is that the office workers have few opportunities to receive health education since there are few public health centers in rel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국민건강증진을 위해 보건교육장소의 확대시키고 참가의향을 높여 의료비 지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 이에 최근 평생교육원이 많이 생겨나고 있어이를 보건교육과 연계시켜 평생교육원에서 보건교육을 담당하고 건강보험의 혜택을 부여하며 보건교육사의 보건교육을 활성화시키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건소에서 보건교육을 해오던 것을 보건교육활성화 방안으로 평생교육원에서 보건교육을 실시하고, 보건교육사를 통하여 보건교육의 폭을 확대하고 나아가 보건교육을 받은 사람들에게 건강보험의 혜택을 줌으로써 보건교육확대를 꾀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민건강증진향상을 위한 보건교육참여확대방안을 연구하기 위하여 성인 남·여 509명을 대상으로 보건교육을 받았거나 받기를 희망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활용하여 응답자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대 이상 보건교육을 필요로 하는 남녀를 대상으로 국민건강증진향상을 위한 보건교육확대방안에 관한 연구를 분석하고자 보건프로그램이나 교육에 참가한 사람을 대상으로 무작위 추출법을 사용하여 연구표본을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대 이상 보건교육을 필요로 하는 남녀를 대상으로 국민건강증진향상을 위한 보건교육확대방안에 관한 연구를 분석하고자 보건프로그램이나 교육에 참가한 사람을 대상으로 무작위 추출법을 사용하여 연구표본을 선정하였다.
  • 요인추출방법으로는 주성분분석으로 원래의 변수들의 분산 중 가급적 많은 부분을 설명하는 소수의 요인을 추줄 하는데 목적을 두었고 공통요인분석은 원래변수들의 토대가 되는 잠재차원들을 찾아내는데 목적을 두었다. 요인분석은 기본적인 상관관계가 높은 변수들끼리 그룹핑하는 것이므로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가 전반적으로 매우 낮다면 (대체로 ± .
  • 그 이유는 대부분 한정된 장소인 보건소에서 보건교육을 하기 때문에 교육받는 당사자들이 시간이 없거나 직장인들은 보건교육을 받을 기회가 적으며, 또한 집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보건교육을 받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보건교육의 참여확대 유도를 통해 국민건강 증진을 위한 보건교육 장소를 확대함으로써 보건교육의 참가의향을 높이고 의료비용을 감소시키고자 하며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그러나 보건소는 지역성의 한계가 있어 많은 사람이 지역보건소를 찾아가서 보건교육을 받는 경우는 소수에 불과하다. 이에 최근 평생교육원이 많이 생겨나고 있어이를 보건교육과 연계시켜 평생교육원에서 보건교육을 담당하고 건강보험의 혜택을 부여하며 보건교육사의 보건교육을 활성화시키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건소에서 보건교육을 해오던 것을 보건교육활성화 방안으로 평생교육원에서 보건교육을 실시하고, 보건교육사를 통하여 보건교육의 폭을 확대하고 나아가 보건교육을 받은 사람들에게 건강보험의 혜택을 줌으로써 보건교육확대를 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교육이란 무엇인가? 보건교육이란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거나 그 지식을유지하고 있는 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7], 건강을 자기 스스로 지켜야 한다는 생각으로 올바른 행동을 일상생활에서 습관화 하도록 돕는 교육과정이며, 보건교육의 목적은 보건교육을 통하여 지역사회 구성원 스스로건강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도록 하는데 있으며, 질병 발생 전에 질병예방, 건강의 유지와 증진, 행동과 태도의 변화, 질병 유발인자의 제거 및 개선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6][7]. 보건교육의 원칙은 다음과 같다.
보건복지부가 보건교육을 보건소에서만 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또, 현재 보건복지부는 보건교육을 보건소에서만 하고 있다. 이에 직장인이거나 보건소에서 거리가 멀리떨어진 사람들은 보건교육을 받을 교육의 기회가 많지않다. 그리고 건강보험은 국민의 질병, 부상에 대한 예방, 진단, 치료, 재활, 출생, 사망 등 국민건강증진에 대하여 보험급여를 실시함으로써, 국민건강보건을 향상시키도록 되어있으나 검진, 치료위주의 보험급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보건교육의 목표는 무엇인가? 보건교육의 목표는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과 관련된개념의 이해, 정확한 정보 및 건강증진서비스에 접근할수 있는 능력함양, 건강을 개선하고 건강위험을 줄이는능력과 문화, 매체, 기술 등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인지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건강개선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의 기술 함양, 건강개선을 위해 목표를 설정하고 의사결정기술(decision-making skill)의 능력을 갖게 하며개인, 가족, 지역사회의 건강을 위해 지원활동을 할 수있도록 유도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고승덕, 노인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 추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5-15, 1996. 

  2. 김영복, 위자형, "단기 보건교육 프로그램 활용한 중학생보건의 효과분석", 한국보건교육학회지, 제14권, 제1호, pp.1-18, 1997. 

  3. 김대희, "건강증진정책의 방향 및 융통성 검토",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16권, 제2호, pp.251-264, 1999. 

  4. 김남선, 신미정, "마을평생학습리더 양성과정 참여자의 프로그램 만족도에 관한 연구", 평화통일 연구, 제7권, 제1호, pp.25-46, 1990. 

  5. 김종서, "우리나라의 학원교육의 개혁 방안", 명지대학교사회교육연구소, 제10권, 제2호, pp.189-200, 1999. 

  6. 김영혜, 여성 노인의 건강행위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2-9, 2003. 

  7. 문상식, 이시백, "주관적 건강인식과 건강검진 결과의 비교분석을 통한 건강 행위연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18권, 제3호, pp.11-36, 2001. 

  8.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 지침, 서울: 보건복지부, 2005. 

  9.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 중간평가, 서울: 보건복지부, 2006. 

  10. 송은주, 평생교육 참여 의도가 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1. 신경희, 고등학생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단기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개발 및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2. 장정유, 평생교육시설에서의 중년여성을 위한 구강보건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3. 이공숙, 학부모의 학교교육참여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14. 임영희, 안주영, 권인탁, "대학 평생교육원 프로그램 참여자의 참여 동기, 프로그램 만족도, 행복감의 구조관계 분석", 한국 HRD 연구, 제7권, 제1권, pp.45-66, 2012. 

  15. 이시백, "보건문제의 변화와 보건교육의 역할", 한국보건교육학학회, 제10권, 제1호, pp.1-7, 1993. 

  16. 이기환, 평생교육학습자의 참여 동기와 만족도: 관공서의 평생교육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17. 이해경, "정신건강과 치유환경",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34-38, 2014. 

  18. 이야리, 정영철, "보건복지 개인정보보호 교육콘텐츠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pp.39-43, 2014. 

  19. 오요섭, 평생학습도시 주민의 평생교육 만족도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0. 윤병준, "일부국가의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에 관한 고찰", 한국학보건교육학회지, 2013. 

  21. 윤영집, 카톨릭교회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참여 동기와 만족도 분석,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2. 오현주, 농촌지역 노인의 건강행태와 보건지소에서의 노인건강증진사업 활성화, 인제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23.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교육 공시자료, 2014. 

  24. http://www.who.int/, 2014. 

  25. http://www.nhis.or.kr/portal/site/main/MENU_WBDDG03. 

  26. 권이종, 사회교육개론, 서울: 교육과학사, 1992. 

  27. 김현희, 보건관련법규, 예당출판사, 2010. 

  28. 김성순, 고령사회정책론, 홍익제. 2003. 

  29. 배장오, 평생교육개론, 서울: 서현사, 2009. 

  30. 서울시 송파구 송파보건소 보건교육자료, 2014. 

  31. 조유향, 노인보건, 현문사, 1989. 

  32. A. W. Astain, What matters in college Four critical tears revisited. San Francisco, CA: Jossey Bass. 1993. 

  33. R. Boshier,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alternative form of the education participation scale, Adult Education Quarterly, Vol.43, No.3, pp.150-167, 1991. 

  34. R. S. Caffarella, Planning programs for adult learners, Apractical guide for educators, trainer and staff developers, SanFrancisco, CA: Jossey-Bass, 1994. 

  35. K. P. Cross, Adult as learners, Increasing participation and facilitating learning, San Francisco, Jossey-Bass, 1981. 

  36. G. Darkenwald and S. Merriam, Adult education: Foundations of practice, 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s, 1982. 

  37. C. B. Eavay, History of Christian Education, Chicago: Moody Press, 1964. 

  38. J. S. Edward, T. H. David, J. K. Richard, and David Satcher, "Progress toward the healthy people 2010 goals and objectives,"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Vol.31, pp.271-281, 2010. 

  39. C. O. Houle, Inquiring mind.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61. 

  40. Hasegawa Toshihiko, Healthy Japan 21, a New perspective on health promotion policy for Japan in the 21st centur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22, No.3, pp.135-155, 2005. 

  41. P. Jarvis,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London: Routledge, 1995. 

  42. O. Kenneth and S. Warren, Christian education, Its history and philosophy, eugene: Wipf & Stock Pub, 1992. 

  43. M. Knowles, Modern practice of adult education, Chicago, Association Press, 1970. 

  44. K. G. Keppel, J. N. Pearcy, and R. J. Klein, "Measuring progress in healthy people 2010," Healthy People 2010 Stat Notes, Vol.25, pp.1-16, 2010. 

  45. M. S. Knowles, Andragogy in action: Applying modern principles for adult learning, San Francisco: Jossey-Bass, 1984. 

  46. H. K. Koh, J. J. Piotrowski, S. Kumanyika, J. E. Fielding, "Healthy People, a 2020 vision for the social determinants approach," Health Educ Behav, Vol.38, No.6, pp.551-557, 2011. 

  47. E. A. Locke,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Chicago, IL, Rand McNally, 1976. 

  48. S. B. Merriam and R. S. Caffarella, Learning in adulthood, SanFrancisco: Jossey-Bass. 1991. 

  49. E. W. Nam, T. Hasegawa, J. K. Davies, and N. Ikeda, "Health promotion policies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Japan, a comparative study," Health Promotion & Education, Vol.13, No.1, pp.20-28, 2006. 

  50. T. Valentin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current predominance of learning for the job. In P. Belanger & S. Valdivielso (Eds.), The emergence of learning societies: Who participates in adult learning, pp.95-108, 1997. 

  51. US DHHS,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Objectives for the Nation, Washington DC, DHHS, 19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