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형 자율학교 상대적 효율성 분석
Relative Efficiency of Jeju Self-Governing School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3, 2015년, pp.477 - 487  

이인회 (제주대학교 교육학과) ,  김민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학교장에게 학교 운영의 권한이 대폭 위임된 제주형 자율학교 운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학교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료포락분석(DEA)을 활용하여 제주형 초등자율학교의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중요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형 자율학교의 상대적 효율성에 큰 차이가 있었으나, 이러한 효율성의 차이는 규모 요인보다는 운영상의 문제로 나타났다. 둘째, 제주형 자율학교의 상대적 비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학생 및 학부모의 만족도를 높여야 하며, 특히 학무모 변인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켜야 한다. 셋째, 제주형 자율학교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평가에 가용한 자원을 충분히 활용하였는가를 판단하는 효율성 관점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ve efficiency of nineteen Jeju Self-Governing Schools (JSGS) in elementary level by using DEA (Data Envelopment Analysis). Major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relative efficiency among JSG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2년 학교알리미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활용하여 제주형 초등자율학교의 상대적 효율성을 DEA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교육생산함수, 교육투자수익율, 비용-편입분석, 평가지표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되어 온 학교교육의 효율성 분석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론으로 공공조직 등 비영리조직의 상대적 효율성을 측정하는 비모수적 기법인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DEA)을 적용하여 제주형 자율학교의 효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형 자율학교의 교육성과를 중심으로 DEA를 활용하여 초등학교간의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DEA 분석결과는 학교수준에서 자율학교 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주형 자율학교의 운영 목적은 무엇인가? 제주도교육청[15]에 따르면, 제주형 자율학교의 운영 목적은 국제자유도시에 알맞은 제주지역의 차별화된 교육인프라 구축, 교육과정 및 학교경영의 자율권 부여로 특성화된 학교조성, 과대학교·과밀학급 해소 및 도내 지역 간 교육격차 해소, 창의적 교육과정·특성화된 프로그램 운영으로 최고 수준의 교육활동 전개의 4가지로 정리된다. 이러한 제주형 자율학교는 2년 단위로 지정·운영된다.
제주형 자율학교란 무엇인가? 제주형 자율학교는「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이하 ‘제주특별법’이라고함) 제186조 및 동법 시행령 제29~31조에 의해 규정하고 있는 특별한 학교 형태로, 제주도에서만 운영되고 있으며 제주도만이 갖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학교장에게 자율권을 대폭적으로 위임한 자율학교를 말한다[9].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하 ‘제주도교육청’이라고 함) 은 제주형 자율학교를 일명 'i-좋은학교'로 명명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말에서 아이들이 좋은 학교, “나”가 좋은 학교, 감탄사 “아이!” 좋은 학교라는 의미와 국제적인(international) 학교, 재미있게(interesting) 공부하는 학교, 상상력이 풍부한(imaginative) 학생들의 학교라는 의미이다.
학교 운영의 자율화와 분권화가 추진되면서 우리나라에는 어떠한 다양한 학교가 운영되었는가? 학교 운영의 자율화와 분권화가 200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추진되면서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적으로 다양한 학교를 운영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어 왔다. 서울 및 경기도 혁신학교, 광주시의 무지개학교, 전남 혁신학교 등은 주어진 여건 하에서 학교 운영의 자율성을 단위학교에 대폭 위임함으로써 학교교육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노력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2007년도부터 시작된 제주형 자율학교는 전국적으로 자율학교가 부각되기 이전부터 제주도에서 독자적으로 운영되어 온 학교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윤정일, 송기창, 조동섭, 김병주, 교육행정학원론, 학지사, 2012. 

  2. 나민주, 김민희, "일반고등학교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대학진학관련 교육성과를 중심으로", 교육재정경제연구, 제22권, 제2호, pp.1-28, 2013. 

  3. J. W. Guthrie, W. L. Garms, and L. C. Pierce, School Finance and Education Policy: Enhancing Educational Efficiency, Equality, and Choice (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88. 

  4. E. A. Hanushek, "The Economics of Schooling,"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Vol.24, pp.1141-1171, 1986. 

  5.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제주형 자율학교 운영비 지원계획,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내부자료, 2014. 

  6. 강형인, 제주형 자율학교 "i-좋은학교"의 운영실 태 및 성과분석: 제1기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7.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제3기 제주형 자율학교 종합평가보고서: 초등학교,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2012. 

  8. 동아일보(2010.10.27). 제주형 자율학교로 본 혁신 학교 성패 예상도. 

  9. 현순안, 제주형 자율학교의 특징과 개선 방안: 제1기 시범운영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0. 문현식, 제주형 자율학교의 지정의도와 운영 결과,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1. 이혜형, 제주형 자율학교 운영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2. 홍경선, "제주형 자율학교의 초등영어 특성화 프로그램 연구", 언어연구, 제24권, 제3호, pp.629-656, 2008. 

  13. 장승희, "제주형 자율학교의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분석", 윤리교육연구, 제24권, pp81-106, 2011. 

  14. 이인회,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 분석 및 발전방향", 디지털융합연구, 제13권 제2호, pp.23-34, 2015. 

  15.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글로벌 제주 교육을 위한 'i-좋은학교 plan' 기본구상, 제주특별자치도 교육청 내부자료, 2006. 

  16. 박만희, 효율성과 생산성 분석, 한국학술정보, 2008. 

  17. 최호택, 강호정, "대학의 행정정보공개와 상대적 효율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1호, pp.371-379, 2010. 

  18. 김무영, 서화정, 김병주, "DEA기법을 활용한 특성화 고등학교의 효율성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제20권, 제4호, pp.29-56, 2011. 

  19. A. Charnes, W. W. Cooper, and E. Rhodes,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MUs. Internal Report, Centre for Efficiency and Productivity Analysis, University of New England, 1978. 

  20. M. J. Farrell, "The Measurement of Productive Efficiency,"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A(120), pp.253-290, 1957. 

  21. R. D. Banker, A. Charnes, and W. W. Cooper,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and Scale In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Vol.30, No.9. pp.1078-1092, 1984. 

  22. 고동원,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시설 운영의 효율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238-245, 2011. 

  23. 서효한, 자료포락분석(DEA) 모형에 따른 초등학교 상대적 효율성 분석: 전라북도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4. 김수진, DEA를 활용한 초등학교 기관 운영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5. D. F. Primont and B. Domazlicky, "Student Achievement and Efficiency in Missouri Schools and the No Child Left Behind Act,"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Vol.25, No.1, pp.77-90, 2006. 

  26. J. Johnes, "Efficiency Measurement," In G. Johnes, & J. Johnes (Eds.), International Handbook on the Economics of Education, pp.613-742, Northampton, MA: Edward Elgar Publishing Ltd, 2004. 

  27. 나민주, 김민희, "DEA를 활용한 대학교육 효율성 국제비교", 교육재정경제연구, 제14권, 제2호, pp.205-237, 2005. 

  28. S. Banxia, Banxia Frontier Analyst User's Guide, UK: Banxia Software Ltd, 2003. 

  29. 김현제, 윤원철, "DEA 기법과 토빗모형을 활용한 효율성 차이에 대한 분석: 서울시 고등학교의 교육성과를 대상으로", 재정논집, 제21권, 제1호, pp.97-114, 2006. 

  30. 진동섭 외, 한국 학교조직 탐구, 학지사, 2006. 

  31. 김민희, "DEA와 Tobit모형을 활용한 충청북도 일반계고등학교 효율성 분석", 한국교육, 제37권, 제3호, pp.105-133, 2010. 

  32. 김은정, 김현제, 조성한, "DEA 기법을 활용한 서울지역 고등학교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교육재정 경제연구, 제15권, 제1호, pp.33-55, 2006. 

  33. 이상린, 문명현, 김병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결과와 DEA를 활용한 중학교 효율성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제20권, 제4호, pp.1-27,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