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금속광산 하류 논토양의 중금속 오염도 평가
Assessment of the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Paddy Soils Below Part of the Closed Metalliferous Mine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34 no.1, 2015년, pp.6 - 13  

김민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홍성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명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최순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이종식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소규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정구복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폐금속광산 주변 토양의 중금속 오염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광산 하류에 위치한 논토양을 대상으로 중금속 오염지수, 부화계수지화학적 농축계수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광산 하류 논토양의 중금속 전함량 평균치는 Cd 8.88, Cu 56.7, Pb 809, Zn 754 및 As 37.9 mg/kg이었고, 중금속 중에서 Cd, Pb 및 Zn 평균함량은 우리나라 농경지의 토양오염 우려기준(Cd 4, Pb 200, Zn 300 mg/kg)을 초과하였다. 토양의 전함량에 대한 0.1M HCl 침출성의 함량비율은 Pb 35.1, Cd 27.7, Cu 21.3, Zn 13.8 및 As 10.5% (1M HCl) 순으로 나타났다. 토양 내 중금속의 오염지수 평균치는 3.21, 범위는 0.42~11.92로 나타나 심하게 오염된 상태임을 알수 있었다. 토양의 중금속별 부화계수(EFc) 평균 값은 Cd>Pb>Zn>As>Cu 순으로 높았고, 채취 지점간 편차가 큰 것을 알수 있었다. 토양 중금속별 지화학적 농축계수(Igeo) 평균치는 Cd>Pb>Zn>Cu>As 순으로 높았으며, 특히 Cd, Pb 및 Zn의 Igeo 평균 값이 각각 3.10, 2.64, 2.49로 나타나 다른 성분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Most of the tailings have been left without any management in abandoned metalliferous mines and have become the main source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for agricultural soils and crops in the these areas. METHODS AND RESULTS: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ssess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금속광산 인근 논토양의 중금속 오염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충남 서산에 위치한 폐광산 하류에 위치한 논토양 30지점을 채취․ 분석하여 토양 중금속의 오염지수, 부화계수 및 지화학적 농축계수로 평가하였다.
  • 토양의 중금속 전함량을 Kloke (1979)가 제안한 중금속의 허용한계치(Cd 3, Cu 100, Pb 100, Zn 300, As 20 mg/kg)를 근거로 하여 오염지수를 계산하였다. 토양 중금속의 오염지수는 중금속 오염상태를 상대적인 지수로 표현한 것으로 퇴적물이나 토양 등의 환경 매개체에 나타날 수 있는 복합적인 중금속 오염정도를 정량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일반적으로 토양의 중금속 오염지수 값이 1 이상이면 중금속 오염이 존재하는 오염지역, 1 이하는 비오염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산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구분하면? 광산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은 선광과 제련 과정에서 발생 하는 폐석, 그리고 광미로 구분되며, 특히 강우 등으로 유출된 광산배수는 하류로 이동하여 수계 퇴적토 및 농경지를 심각하게 오염시킬수 있다(Kim et al., 2005; Christos et al.
농경지가 중금속으로 오염되면 생기는 문제는? 농업생산 기반인 농경지가 중금속으로 오염되면 토양을 배지로 하는 농작물로 흡수 이행되고, 이를 소비하는 인간과 가축이 중금속에 노출되어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킨다. 폐광산은 비점오염원으로 금속광산과 석탄광으로 구분되며, 금속광산은 지하에 매장된 광석을 채굴․ 선광 후 고품위로 제련하고, 저품위는 일반적으로 광산 인근에 야적을 한다.
폐광산이 2차적인 지구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이유는? 폐광산은 비점오염원으로 금속광산과 석탄광으로 구분되며, 금속광산은 지하에 매장된 광석을 채굴․ 선광 후 고품위로 제련하고, 저품위는 일반적으로 광산 인근에 야적을 한다. 특히, 과거 채광이나 선광․ 제련과정 등의 광산활동으로 인하여 2차적인 지구환경 오염의 주된 원인이 된다. 우리나라의 금속광산은 1980년대 이후 품위저하와 채산성 악화로 인하여 대부분 폐광된 상태로 1,000여개 이상이 전국에 산재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u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owen, H. J. M. (1979). Environmental Chemistry of the elements. 1st Edn., Academic Press, London, England, ISBN: 0121204502. 

  2. Nikolaidis, C., Zafiriadis, I., Mathioudakis, V., & Constantinidis, T. (2010). Heavy metal pollution associated with an abandoned lead-zinc mine in the Kirki Region, NE Greece. Bulleti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xicology, 85(3), 307-312. 

  3. Duce, R. A., Hoffman, G. L., & Zoller, W. H. (1975). Atmospheric trace metals at remote northern and southern hemisphere sites: pollution or natural?. Science, 187(4171), 59-61. 

  4. Espinosa, E., Armienta, M. A., Cruz, O., Aguayo, A., & Ceniceros, N. (2009). Geochemical distribution of arsenic, cadmium, lead and zinc in river sediments affected by tailings in Zimapan, a historical polymetalic mining zone of Mexico. Environmental geology, 58(7), 1467-1477. 

  5. Huang, X., Zhu, Y., & Ji, H. (2013). Distribution, speciation, and risk assessment of selected metals in the gold and iron mine soils of the catchment area of Miyun Reservoir, Beijing, China.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185(10), 8525-8545. 

  6. Hwang, E. H., Wee, S. M., Lee, P. K., & Choi, S. C. (2000). A study on the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paddy soil in the vicinity the Seosung Pb-Zn min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5(2), 67-85. 

  7. Jung, G. B., Lee, J. S., Kim, W. I., Ryu, J. S., & Yun, S. G. (2008). Monitoring of seasonal water quality variations and environmental contamination in the sambo mine creek,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7(4), 328-336. 

  8. Jung, G. B., Kim, W. I., Lee, J. S., Lee, J. S., Park, C. W., & Koh, M. H. (2005).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residual mine tailings near abandoned metalliferous min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4(3), 222-231. 

  9. Jung, G. B., Kwon, S. I., Hong, S. C., Kim, M. K., Chae, M. J., Kim, W. I., Lee, J. S., & Kang, K. K. (2012). Contamination assessment of water quality and stream sediments affected by mine drainage in the Sambo mine cree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1(2), 122-128. 

  10. Jung, M. C., Jung, M. Y., & Choi, Y. W. (2004). Environmental assessment of heavy metals around abandoned metalliferous mine in Korea, Korea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37(1), 21-33. 

  11. Kim, H. J., Park, B. K., Kong, S. H., Lee, J. Y., Ok, Y. S., & Jun, S. H. (2005). Fraction and Geoaccumulation Assessment Index of Heavy Metals in Abandoned Mines wastes.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10(6), 75-80. 

  12. Kloke, A. (1979, August). Contents of arsenic, cadmium, chromium, fluorine, lead, mercury and nickel in plants grown on contaminated soil. Paper presented at United Nations-ECE Symposium, Geneva. 

  13. Li, Z., Ma, Z., van der Kuijp, T. J., Yuan, Z., & Huang, L. (2014). A review of soil heavy metal pollution from mines in China: pollution and health risk assessment.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68-469, 843-853. 

  14. Loska, K., Wiechula, D., & Korus, I. (2004). Metal contamination of farming soils affected by industry. Environment International, 30(2), 159-165. 

  15. Muller, G. (1969). Index of geoaccumulation in sediments of the Rhine river, Geo Journal 2(3), 108-118. 

  16. Li, Z., Ma, Z., van der Kuijp, T. J., Yuan, Z., & Huang, L. (2014). A review of soil heavy metal pollution from mines in China: pollution and health risk assessment.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68, 843-85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