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탄화 낙엽송 및 백합나무 칩으로 제조한 펠릿의 현미경 관찰과 펠릿의 내구성에 대한 바인더의 영향
Microscopic Observation of Pellets Fabricated with Torrefied Larch and Tulip Tree Chips and Effect of Binders on the Durability of the Pellets 원문보기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화학공학, v.53 no.2, 2015년, pp.224 - 230  

박대학 (충북대학교 목재종이과학과) ,  안병준 (국립산림과학원) ,  김상태 (충북대학교 목재종이과학과) ,  이재원 (전남대학교 산림자원학부) ,  한규성 (충북대학교 목재종이과학과) ,  양인 (충북대학교 목재종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반탄화 처리한 낙엽송 및 백합나무 칩을 이용하여 제조한 펠릿의 내구성에 대한 영향 인자를 조사하기 위하여 펠릿 제조 및 내구성 측정, 그리고 제조된 펠릿의 현미경 관찰을 수행하였다. 또한 반탄화 펠릿의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수분 및 바인더를 첨가하여 펠릿을 제조하고, 이에 대한 내구성을 측정하여 수분 및 바인더가 펠릿의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반탄화 낙엽송 및 백합나무 목분으로 제조한 펠릿의 내구성은 무반탄화 펠릿과 비교하여 낮았으며, 반탄화 펠릿의 내구성은 $230^{\circ}C$/30분의 조건에서 가장 높았다. SEM-EDX를 이용한 펠릿의 관찰에서 무반탄화 펠릿의 표면에는 리그닌이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었으며, 반탄화 펠릿에서는 리그닌이 국부적으로 응집하여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펠릿 제조시 목분에 수분 첨가는 반탄화 낙엽송 펠릿의 내구성 향상에 기여하였으나, 반탄화 백합나무 펠릿의 내구성은 수분 첨가와 함께 감소하였다. 한편 반탄화 펠릿의 내구성은 바인더의 첨가와 함께 향상되었으며, 리그닌과 단백질이 전분보다 내구성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과를 종합하면, 반탄화 낙엽송 및 백합나무를 이용한 펠릿 제조시 $230^{\circ}C$ 이하의 온도와 30분 이하의 조건에서 반탄화 처리하는 것이 펠릿의 내구성 유지를 위한 적절한 반탄화 조건이라 판단된다. 또한 반탄화 처리한 고비중의 목재를 펠릿의 원료로 이용할 경우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원료에 대한 적절한 함수율 조절이, 그리고 저비중 목재는 함수율 조절보다 반탄화 처리 조건의 조절을 통하여 펠릿 제조용 원료로 이용하는 방안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veral variables on the durability of wood pellets fabricated with torrefied larch (LAR) and tulip tree (TUT) chips. Microscopic observation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 was also performed to identify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먼저 낙엽송 및 백합나무 펠릿에 대한 전계방출 주사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이하 FE-SEM) 및 에너지 분산 X-선 분광기(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 이하 EDX)로 관찰하여 각각 반탄화 펠릿의 표면 및 반탄화 조건에 따른 리그닌의 분포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또한 반탄화 낙엽송 및 백합나무 펠릿의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반탄화한 목분에 탄수화물, 단백질, 리그닌을 바인더로 첨가하여 목재 펠릿을 제조한 후, 내구성을 조사하여 바인더가 펠릿의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또한 반탄화 낙엽송 및 백합나무 펠릿의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반탄화한 목분에 탄수화물, 단백질, 리그닌을 바인더로 첨가하여 목재 펠릿을 제조한 후, 내구성을 조사하여 바인더가 펠릿의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반탄화 낙엽송 및 백합나무 펠릿의 내구성 향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반탄화처리란 무엇인가? 그러나 목재펠릿은 화석연료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에너지밀도와 장거리 운송중에 수분에 대한 낮은 저항성으로 최근 네덜란드의 에너지 연구센터에서 반탄화(Torrefaction)공정이 제시되었다[2]. 반탄화처리는 200~300oC의 온도에서 산소의 공급을 차단한 상태로 열처리를 하는 것으로 이에 따라 반탄화 처리한 바이오매스 중에 함유된 수분이 크게 저하되고 에너지 밀도는 상승되고 소수성을 보유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말미암아 최근 캐나다에서 생산된 반탄화 목재펠릿이 유럽과 아시아에 수출되고 있다[2].
바이오매스의 반탄화 처리에 대한 연구 중 대나무와 버드나무를 이용한 연구는 어떠한가? Thermya사에서는 소나무를 이용한 반탄화 펠릿을 개발하였는데, 이 펠릿의 함수율 및 회분 함량이 1% 미만이었다[4]. Chen과 Kuo(2009)의 대나무와 버드나무를 이용한 연구에서는 낮은 반탄화 조건에 의하여 해미셀룰로오스의 분해가 일어났으나, 셀룰로오스와 리그닌은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다[5]. 또한 Stelte(2012)는 밀짚을 원료로 반탄화 펠릿을 제조하였으며, 이렇게 제조된 펠릿의 강도 및 밀도는 반탄화 조건이 가혹해 짐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6].
목재펠릿은 어떤 장점을 보유하고 있는가? 세계적으로 온실가스 감축과 에너지 절약을 위하여 2000년대 초반부터 산림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에너지의 사용이 청정연료라는 인식과 함께 확산되고 있다. 산림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에너지 가운데 목재펠릿은 목재 칩과 비교하여 우수한 착화성 및 연소효율, 용이한 운반 및 보관성, 일정한 형상과 함수율, 연소기의 자동화 가능, 용이한 투입량 및 온도 조절 가능과 같은 장점을 보유하고 있어 국내외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1]. 그러나 목재펠릿은 화석연료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에너지밀도와 장거리 운송중에 수분에 대한 낮은 저항성으로 최근 네덜란드의 에너지 연구센터에서 반탄화(Torrefaction)공정이 제시되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Li, Y. and Liu, H., "High-pressure Densification of Wood Residues to form An Upgraded Fuel," Biomass Bioenerg., 19, 177-186(2000). 

  2. Peng, J. H., "A Study of Softwood Torrefaction and Densification," Lambert Academic Publishing, 1-10(2013). 

  3. Kiel, J., "Energy research Centre of the Netherlands," European Pellet Conference(2011). 

  4. Chauvin, H., "Torrefaction-Fast Continuous Biomass Depolymerisation System," Thermya(2009). 

  5. Chen, W. H. and Kuo, P. C., "A Study on Torrefaction of Various Biomass Materials and its Impact on Lignocellulosic Structure Simulated by Thermogravimetry," Energy, 35, 2580-2586(2010). 

  6. Stelte, W., Jonas, D., Niels P. K. N. and Hans, O. H., "Densification Concepts for Torrefied Biomass," International Energy Agency Bioenergy(2012). 

  7. Bas, S. H., "A Study on the Economic Analysis and Optical Project Model of Woodchip Cogeneration Systems," Korean J. Chem. Eng., 28(4), 1023-1028(2011). 

  8. Kim, K. S., Choi, E. A., Ryu, J. S., Lee, Y. P., Park, J. Y., Choi, S. H. and Park, S. J., "A Study on Pyrolysis Characterization and Heating Value of Semi-carbonized Wood Chip," Appl. Chem. Eng., 23(5), 440-444(2012). 

  9. Na, B. I., Ann, B. J., Jo, S. T. and Lee, J. W., "Optimal Condition of Torrefaction for the High-density Solid Fuel of Larch," Korean Chem. Eng. Res., 51(6), 739-744(2013). 

  10. Lee, J. W., Kim, Y. H., Lee, S. M. and Lee, H. W., "Torrefaction Characteristics of Wood Chip for the Production of High Energy Density Wood Pellet," Korean Chem. Eng. Res., 50(2), 385-389 (2012). 

  11. Park, S. J., "Development of Torrefaction Process for Production of High Heating Value Torrefacted Pellet," Korea Forest Service, 15-28(2011). 

  12. Ahn, B. J., Chang, H. S., Cho, S. T., Han, G. S. and Yang, I., "Effect of the Addition of Binders on the Fuel Characteristics of Wood Pellet," J. Mokchae Konghak, 41(6), 475-489(2013). 

  13. Kim, S. T., Park, D. H., Yang, I., Han, G. S. and Ahn, B. J., "Effect of Torrefaction Condition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Fuel Characteristics of Larch," J. Mokchae Konghak, 43(1), 122-134(2015). 

  14.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tandard of Wood Pellet," KFRI No. 2013-5, Seoul, Republic of Korea(2013). 

  15. Lehtikangas, P., "Quality Properties of Pelleted Sawdust, Logging Residues and Bark," Biomass Bioenerg., 20, 351-360(2014). 

  16. Obernberger, I. and Thek, G., "Physical Characterization and Chemical Composition of Densified Biomass Fuels with Regard to Their Combustion Behaviour," Biomass Bioenerg., 27, 653-669 (2004). 

  17. Stakl, M., Granstrom, K., Berghel, J. and Renstorm, R., "Industrial Process for Biomass Drying and Their Effects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Wood Pellets," Biomass Bioenerg., 27, 621-628(2004). 

  18. Mani, S., Tabil, L. G. and Sokhansanj, S., "Effects of Compressive Force, Particle Size and Moisture Content on Mechanical Properties of Biomass Pellets From Grasses," Biomass Bioenerg., 20, 648-654(2006). 

  19. Bergstrom, D., Israelsson, S., Ohman, M., Dahlqvist, S., Gref, R., Boman, C. and Wasterlund, I., "Effects of Raw Material Particle Size Distribu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Scots Pine Sawdust Fuel Pellets," Fuel Process. Technol., 89, 1324-1329(2008). 

  20. Kim, H., Lu, G., Li, T. and Sadakata, M., "Binding and Desulfurization Characteristics of Pulp Black Liquor in Biocoalbriquettes," Environ. Sci. Technol., 36, 1607-1612(2002). 

  21. Briggs, J. L., Maier, D. E., Watkins, B. A. and Behnke, K. C., "Effects of Ingredients and Processing Parameters on Pellet Quality," Poultry Science, 78, 1464-1471(1999). 

  22. Kaliyan, N. and Morey, R. B., "Factors Affecting Strength and Durability of Densified Biomass Products," Biomass Bioenerg., 33, 337-359(2009). 

  23. Lee, S. M., Ahn, B. J., Choi, D. H., Han, G. S., Jeong, H. S. Ahn, S. H. and Yang, I., "Effects of Densification Variables on the Durability of Wood Pellets Fabricated with Larix kaempferi C. and Liriodendron tulipifera L. Sawdust," Biomass Bioenerg., 48, 1-9(2013). 

  24. Ahn, B. J., Yang, I., Kim, S. T. and Park, D. H., "Potential of Torrefied Tulip-tree for the Production of Solid Bio-fuels," J. of The Korean Society for New and Renewable Energy, 9(4), 40-50(2013). 

  25. Stevens, C. A., "Starch Gelatinization and the Influence of Particle Size, Steam Pressure and Die Speed on the Pelleting Process," Ph. D. dissertation, KS: Kansas State University, Manhattan (198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