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증진모형을 활용한 유헬스 시스템의 행위 의도 연구
A Study on Behavioral Intention on u-Health using Health Promotion Model 원문보기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19 no.3, 2015년, pp.747 - 755  

양영배 (Dept.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Jeju National University) ,  김민철 (Dept.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Jeju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Pender [11]의 건강 증진모형을 활용하여 유헬스의 행위 의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을 위하여 유효한 설문지 216부를 갖고 부분최소자승 기반 구조방정식 방법을 활용하여 제시된 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적 건강관리 경험 요인이 자기효능감 요인으로의 경로와 자기효능감 요인이 행위 의도로의 경로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시된 모형에서는 유헬스 시스템에 대한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의 수집된 데이터의 적은 표본 수 및 유헬스에 대한 구체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점에서 세부적인 추가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on behavioral intention in u-health system using Health Promotion Model(HPM) by Pender [11]. This study used PLS-SEM(Partial Least Squares-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for verification of the proposed model and conducted the analysis wi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ender [11]의 건강증진모형(Health Promotion Model)을 바탕으로 그동안 연구되었던 제 모형의 변수들과 우리나라 성인의 유헬스 서비스 행위 의도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 하지만 응답자를 구분하여 세분화 시켜 분석하게 된다면, 평균 수준의 응답자(5점 척도에서 2점과 4점 사이의 응답자)들은 오히려 건강관리경험이 많을수록 사회적 지지에 대한 수준이 높아진다고 달리 해석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충분한 데이터의 수가 일반화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그 가능성에 대해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Kock[33]에 의하면 이러한 비선형 관계에 대해 해석은 쉽지 않지만, 단지 선형으로만 간주하게 된다면 신기루(mirage)라고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활용하여 유헬스의 행위 의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즉, 본 연구에서는 건강증진모형의 기본적 내용에 근거하여 최초의 선행 변수로서의 개인적 경험 요인이 유헬스 시스템을 활용함에 있어서 행위의 특별한 인지 요인들을 통하여 행위 의도(Behavior intention)와 더불어 건강증진행위 요인에 영향을 주는지를 가설검증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배경에서 설명한 건강증진모형의 기본적 내용에 근거하여 최초의 선행 변수로서의 개인적 경험(Individual experience)이 행위의 특별한 인지(Behavior-Specific cognition)를 통하여 행위의 결과적 변수(Behavior outcome)로서 행위 의도(Behavior intention)와 더불어 최종적인 변수로서 건강증진행위(Health promoting behavior)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 본 연구는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활용하여 유헬스의 행위 의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즉, 본 연구에서는 건강증진모형의 기본적 내용에 근거하여 최초의 선행 변수로서의 개인적 경험 요인이 유헬스 시스템을 활용함에 있어서 행위의 특별한 인지 요인들을 통하여 행위 의도(Behavior intention)와 더불어 건강증진행위 요인에 영향을 주는지를 가설검증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들이 건강증진모형을 활용할 때, 건강증진을 위한 행위 요인에 초점이 두고 있지만, 본 연구와 같이 유헬스 시스템과 연계된 연구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가설 설정

  • 가설: 개인적 경험은 행위 인지와 영향을 통하여 행위 결과(행위 의도 및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친다.
  • 보다 일반화하기 위하여 충분한 데이터의 수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유헬스에 대한 정의가 덜 구체적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현재 적용중이고 현실적인 유헬스 정의를 갖고 분석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무엇인가? 유비쿼터스(Ubiquitous)는 1988년 미국 Xerox사 PARC(Palo Alto Research Center)의 Mark Weiser에 의해 제안되었다.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필요한 사용자에게 언제 어디서나 시·공간을 초월하여 원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무수히 많은 컴퓨터로 구성 된 시스템을 말한다[12].
유헬스가 활성화의 결과는? 이러한 상황에서 유헬스가 활성화되면 본인이 직접 병원을 방문하여 자신의 건강관리나 의료서비스를 받을 필요가 없으며, 일상생활의 한 부분으로 건강상태를 점검하고 관리할 수 있는 획기적인 유헬스 서비스가 가능해진다고 볼 수 있겠다. 따라서 유헬스는 질병의 치료에 국한 하는 것이 아니고 건강의 예방관리 및 건강증진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본다[6].
유헬스 서비스의 주요 요인은? 이러한 유헬스를 시작으로 병원에서 직접 환자를 대면하여 치료하는 한정된 서비스에서 벗어나 언제, 어느 곳에서 제공되고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확대되었다. 이는 보건의료비의 절감에 대한 필요가 높아지고, 사용자의 의료서비스의 질 증가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는 것이 주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 H, Kim, "Market analysis and institutional maintenance plan of Korea U-health industry," The e-Business Studies, vol. 14, no. 2, pp. 3-24, 2013. 

  2. G. T. Ryu, and H. Choi,. "Implementaion of U-Healthcare System for Chronic Diseas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vol. 51, no. 1, 2014. 

  3. Korea Electronic Communication Institute, "Study on the Korean Health Project typed and market forecasting," 2005. 

  4.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Introduction of smart public health services," IT Policy Research Series, 2011. 

  5. S. W. Kang, and J. Y. Kim, "Economic impact and growth strategy of u-Health," Seri Research Report, 2007. 

  6. G. S. Park, "Research on Utilizing U-Health to Provide Telehealthcare to the Elderly in Rural Areas," e-Business Trade, vol. 13, no. 1, pp.464-465, 2012. 

  7. H. J. Hwang, J. T. Choi, "Application Framework for Improving Interoperability in u-health service," JKIIT, vol. 8, no. 5, pp. 111-118, 2010. 

  8. S. W. Yeon, D. Y. Chun, and J. W. Kwon, " The Impact of Acceptance Factors of Ubiquitous Application Service on Purchase Intention," Korea Venture Reserch Institute, vol. 11, no. 1, pp.53-77, 2008. 

  9. T. M. Song, Y. H. Cho, G. S. Kim, and S. Ruy, "Cross-Validation of Acceptance Factors to u-Health: Multi-Group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vol. 37, no. 1, 98-108, 2012. 

  10. K. H. Kim, "Market analysis and institutional maintenance plan of Korea U-health industry," The e-Business Studies, vol. 14, no. 2, pp. 3-24, 2013. 

  11. Pender, N. J. and A. R. Pender.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Norwalk, CT: Appleton & Lange, 1982. 

  12. M. Weiser, Hot topic: Ubiquitous Computing, IEEE Computer, pp. 71-72, 1993. 

  13. C. G. Pack, R. U. Pack, and S. P. Jun, Issues of health care services provider in the U-Health environment,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2005. 

  14. G. D. Kim, and I. K. Song, "u-healthcare service needs and develop plan,"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ol.10, no. 3, pp.9-17, 2009. 

  15. Seoul National University u-Health Research, Future of Smart Healthcare?, Seminar, 2012. 9. 

  16. N. J. Pender, and A. R. Pender,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Norwalk, CT: Appleton & Lange, 1982. 

  17. S. H. Ryu, "Community health-oriented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of coopera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26, no. 4, pp.83-90, 2009. 

  18. I. Ajzen, From intentions to actions: A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 J. Kuhl & J. Beckman (Eds), Action-control: From cognition to behavior, Heidelberg: Springer, pp. 11-39, 1985. 

  19. H. G. Kim, "Factors Influencing Healt Promotion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using Pender's Model,"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e, vol. 12, no. 2, pp. 132-141, 2006. 

  20. M. J. Kim, "Problems and Solutions for Health Promoting Schools in Korea,"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vol. 39, no. 1, pp. 57-67, 2013. 

  21. J. W. Oh, and Y. S. Moon, "A Predictive Model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10, pp.391-403, 2014. 

  22. M. Sherer, and J. E. Maddux,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vol. 51, pp.663-667, 1982. 

  23. J. S. Moon, A study of instrument development for health belief of korean adults, Doctori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of Korea, Seoul, 1990. 

  24. Y. M. Back, White-collar men's health promotion behavior prediction model, Doctori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of Korea, Seoul, 2005. 

  25. H.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NJ: Princeto University Press, 1965. 

  26. R. P. Bagozzi, and Y. Yi, "Specification,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 40, pp. 8-34, 2012. 

  27. J. J. Sosik, S. S. Kahai, and M. J. Piovoso, 'Silver Bullet or Voodoo Statistics? A Primer for Using the Partial Least Squares Data Analytic Technique in Group and Organization Research," Group Organization Management, vol. 34, no. 1, pp. 15-36, 2009. 

  28. W. W. Chin, "Issues and Opinion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IS Quarterly, vol. 22, no. 1, vii-xvi, 1998. 

  29.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18, no. 1, pp. 39-50, 1981. 

  30. D. Gefen, and D. Straub, "A Practical Guide to Factorial Validity Using PLS-Graph: Tutorial and Annotated Example,"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vol. 16, pp. 91-109, 2005. 

  31. J. C. Nunnally, Psychomtric Theory, 2nd ed., McGraw-Hill, New York, 1978. 

  32. R. Bagozzi, P. Y. Yi, and L. W. "Phillips, Assessing Construct Validity in Organizational Research,"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 36, no. 3, pp. 421-458, 1991. 

  33. Kock, N. WarpPLS 4.0 user manual, ScriptWarp $Systems^{TM}$ .. Laredo, TX, USA,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