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exercise behaviors of the male manual workers and office workers based on health promotion model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and then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exercise program. Methods: The 97 laborers and 99 officiers were collected from two worksit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Male laborers' exercise behavior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xercise self-efficacy, exercise social support and exercise experience over 3 months, and these factors explained 50.2% of the total variance. Male officiers' exercise behavior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xercise self-efficacy, subjective health status, perceived exercise barriers and exercise social support, and they explained 47.3% of the total variance.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that exercise self-efficacy and exercise social support commonly influence exercise behavior of male laborers and officiers,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exercise program to improve exercise self-efficacy and exercise social support.
또한 사업장 근로자의 운동행위를 살펴보기 위해 건강증진 모형을 활용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ender의 건강증진 모형을 활용하여 사업장 근로자인 생산직과 사무직 근로자의 운동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과 경험 및 운동행위와 관련된 인지, 정서적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는 사업장 근로자의 운동행위를 증진하는데 효과적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건강증진 모형 | 건강증진 모형에서 운동행위에 미치는 요인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
지각된 운동 유익성, 지각된 운동 장애성, 운동 자기효능감, 운동 행위와 관련된 정서, 사회적 지지와 같은 대인 관계적 영향, 상황적 영향이 운동행위와 관련된 인지와 정서요인
운동행위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Pender의 건강증진 모형(Health Promotion Model)은 건강증진 행위가 동기화되는 요인을 설명하기 위해 많은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형이다(Pender, 1996). Pender의 건강증진 모형에 따르면 운동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각된 운동 유익성, 지각된 운동 장애성, 운동 자기효능감, 운동 행위와 관련된 정서, 사회적 지지와 같은 대인 관계적 영향, 상황적 영향이 운동행위와 관련된 인지와 정서요인이라고 하였다(Pender, 1996). Pender의 건강증진 모형을 활용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중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한 Cho, Choi, Lee 와 Cho (2015)의 연구에서 인지 관련 요인 중 자기효능감과 노화에 대한 기대가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
규칙적인 신체활동 | 운동을 포함한 규칙적인 신체활동의 효과는 무엇인가? |
인간의 전반적인 건강을 향상시키며, 좌식행동과 같은 생활습관과 관련 있는 사망의 다양한 위험인자들을 줄이는 효과
운동을 포함한 규칙적인 신체활동은 인간의 전반적인 건강을 향상시키며, 좌식행동과 같은 생활습관과 관련 있는 사망의 다양한 위험인자들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Lollgen, Bockenhoff, & Knapp, 2009). 또한 심폐기능을 향상시켜 심혈관질환의 예방 및 위험요소를 개선시킴으로써 삶의 질을 증진 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라고 하였다(Thompson et al. |
근로자의 건강유지 | 근로자의 건강유지가 매우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근로자의 건강은 근로자 자신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가족, 지역사회 주민, 나아가 국민건강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근로자의 건강은 사업장의 생산력이나 경제 상태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남성근로자는 여성 근로자의 수에 비해 전체 근로자의 수가 많고 비중이 크며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건강을 유지 ‧ 증진하기 위해 건강행위가 필요하다. 근로자의 건강은 근로자 자신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가족, 지역사회 주민, 나아가 국민건강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근로자의 건강은 사업장의 생산력이나 경제 상태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Shain & Kramer, 2004). 그러므로 근로자의 건강유지는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