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래순의 데침, 건조 및 발효 조건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ctinidia arguta (Siebold & Zucc.) Planch. ex Miq. by Blanching, Drying, and Ferment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3, 2015년, pp.425 - 433  

정지숙 (구례야생화연구소) ,  김용주 (구례야생화연구소) ,  박노진 (구례군농업기술센터) ,  고근배 (구례군농업기술센터) ,  손병길 (구례군농업기술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다래순을 상품화하기 위해 동결건조, 냉풍건조, 열풍건조 및 데친 후 열풍건조 하여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기능성 대용차의 개발 일환으로 항온항습기를 활용하여 차 발효를 한 후 발효한 다래순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다래순은 수분을 85.81% 함유하고 있었으며, 주요 유리당유기산은 sucrose와 succinic acid, citric acid였다. 필수아미노산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threonine, phenylalanine, tryptophan, lysine 8종을 포함하여 총 19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다. 동결건조 한 다래순의 총 유기산은 14,825.71 mg/100 g이었으며 중발효(상대습도 80%, 발효온도 $50^{\circ}C$, 발효시간 17시간)한 다래순은 29,026.53 mg/100 g으로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총 유리당은 냉풍건조 시료가 6,560.86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데친 후 열풍건조는 2,386.73 mg/100 g으로 감소하였다. 다래순은 비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이 더 높았으며 tyrosine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데친 후에는 상당량의 아미노산이 감소하였으며 동결건조 시료와 비교 시 54%가 감소하였다. 발효 후에는 leucine, valine, phenylalanine, threonine의 함량이 높게 증가하였다.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동결건조가 11.66%로 나타났으며 발효시간이 길어질수록 40.71~55.50%로 3.5~4.8배 이상 증가하였다. 중발효 시 GABA와 vitamin U는 각각 110.29 mg과 6.78 mg/100 g으로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따라서 다래순은 다양한 유리당과 유기산 및 유리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고 발효 후에는 필수아미노산이 증가하므로 GABA 함유 발효차 등으로 개발할 수 있을 것이며, 성인뿐만 아니라 성장기 어린이의 식품소재로의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by drying and fermentation in order to utilize Actinidia arguta. Moisture content of A. arguta was 85.81%. Major sugar and organic acids were sucrose, succinic acid, and citric acid. A. arguta contained 19 kinds of amino acids, incl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다래순을 나물로 상품화하기 위해 동결 건조, 냉풍건조, 열풍건조, 데친 후 열풍건조 하여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기능성 대용차의 개발 일환으로 항온항습기를 활용하여 차 발효를 한 후 발효한 다래순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다래순을 상품화하기 위해 동결건조, 냉풍건조, 열풍건조 및 데친 후 열풍건조 하여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기능성 대용차의 개발 일환으로 항온항습기를 활용하여 차 발효를 한 후 발효한 다래순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다래순은 수분을 85.

가설 설정

  • 2)Fermentation at temperature 50°C and relative humidity 80%.
  • 3)All values are expressed as mean±SD of triplicate determinations.
  • 3)ND: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래의 부위별 명칭과 각각의 용도는 어떠한가? )는 다래나무과(Actinidiaceae)에 속하는 목본식물로 우리나라 각처에서 자라는 낙엽 덩굴식물이다. 잎과 뿌리는 약용으로 건위, 청열, 소화불량, 황달, 관절통의 치료에 이용되어 미후리(獼猴梨)라 부르고 과실은 지갈 및 비뇨기 결석을 치료하는 데 이용되어 연조자(軟棗子)라 부른다(1). 국내에서 자생하는 동속식물로 다래(A.
다래란? ex Miq.)는 다래나무과(Actinidiaceae)에 속하는 목본식물로 우리나라 각처에서 자라는 낙엽 덩굴식물이다. 잎과 뿌리는 약용으로 건위, 청열, 소화불량, 황달, 관절통의 치료에 이용되어 미후리(獼猴梨)라 부르고 과실은 지갈 및 비뇨기 결석을 치료하는 데 이용되어 연조자(軟棗子)라 부른다(1).
산채나물이 채소보다 우수한 점은? 민간에서는 다래나무의 어린잎을 채취하여 나물로 식용하는데 약간 알싸한 맛과 특유의 깊은 맛으로 기호도가 높다(3). 일반적으로 산채나물은 약리적인 특수성분이 채소보다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생리활성 등의 기능성이 더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 그러나 대부분의 산채나물은 채취하는 시기가 제한적이며 보관이 용이하지 않아 생채는 주로 제철 식품으로 또는 건조형태로 보관하면서 수시로 이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Park DS, Lee YJ, Yu KE, Kim SM. 2007. Gangwon-native plants containing natural bioactive substances. Hongcheon Institute of Medicinal Herb, ed. Deayang Freecom Press, Gangwon, Korea. p 56-57. 

  2. Han YB. 2003. South Korea wild edible plant resources. 2nd ed. Korea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 62-65. 

  3. Je GY. 2011. Eating vegetables & eating flowers encyclopedia. Kim SI, ed. Hyesung Press, Seoul, Korea. p 298-299. 

  4. Park HJ. 2011. Pharmacological action of wild vegetables.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10(1): 18-24. 

  5. Oh HK. 2013.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different parts of Taraxacum coreanum according to drying methods. J Korean Diet Assoc 19: 389-399. 

  6. Kim AR, Kang ST, Jeong E, Lee JJ. 2014. Effects of ramie leaf according to drying method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682-689. 

  7. Jo IH, Kim HS, Kim GM, Kim JS, Kim GC. 2012. Effects of packaging method on the quality of blanched namul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9: 328-336. 

  8. Cho SH, Lee SD, Choi YJ, Kim NG, Kang JH, Cho SH. 2005. Effects of packaging and storage temperature on quality during storage of mungbean sprouts. Korean J Food Preserv 12: 522-528. 

  9. Lee JS, Lee HE, Lee YS, Chun CH. 2008. Effect of packag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leaf lettuce. Korean J Food Preserv 15: 630-634. 

  10. Ahn SM, Choi TH, Kwun IS, Sohn HY. 2011. Antifungal activity of methylene chloride fraction of Pimpinella brachycarpa against Aspergillus niger.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9: 168-174. 

  11. Ahn SM, Kim MS, Jung IC, Sohn HY. 2011. Antibacterial, antioxidative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against human colorectal cell of Pimpinella brachycarpa. Korean J Food Preserv 18: 590-596. 

  12. Lee JJ, Jung HO. 2012.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ergularia marina Griseb by blanching. Korean J Food Preserv 19: 866-872. 

  13. Choi JY, Kim HM, Mok SY, Choi K, Ku J, Park KW, Cho EJ, Lee S. 2012. Antibacterial activity and protective role against gastric cancer by Sedum sarmentosum. J Appl Biol Chem 55: 157-161. 

  14. Kim DH, An BJ, Kim SG, Park TS, Park GH, Son JH. 2011. Anti-inflammatory effect of Ligularia fischeri, Solidago virga-aurea and Aruncus dioicus complex extracts in Raw 264.7 cells. J Life Sci 21: 678-683. 

  15. Kim DH, An BJ, Kim SG, Park TS, Park GH, Son JH. 2011. Antimelanogenic effect of Ligularia fischeri, Solidago virga-aurea, Aruncus dioicus extracts from Ullung island in murine melanoma cells. J Life Sci 21: 279-285. 

  16. Lee HN, Lim DY, Lim SS, Kim JD, Yoon Park JH. 2011. Anti-inflammatory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Eupatorium japonicum.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65-71. 

  17. Lee YJ, Lee OH, Kim JY, Kwon KH, Cha HS, Kim B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ozen Doraji (Platycodon grandiflorum) according to various blanching treatment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18: 661-668. 

  18. Lee HO, Kim JY, Kim GH, Kim B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ozen Aster scaber according to various blanching treatment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246-253. 

  19. Kim MH, Jang HL, Yoon KY. 2012.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aetsun vegetables by blanch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647-654. 

  20. Kwak CS, Lee JH. 2014.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im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sprout of evening primrose (Oenothera laciniata) and gooseberry (Actinidia argu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207-215. 

  21. Sacheon Agricultural Development & Technology Center. 2011. The development of rural tourism program utilizing regional specialization resources. PJ00785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acheon, Korea. 

  22. Yun H, Oh HJ, Choi SW. 2012. Difference of catechins extracted level when fermented sun-dried salt and green tea. J Korea Contents Assoc 12: 278-285. 

  23. Park SY, Lee SJ. 2011. The analysis of the physiologic activities of the Jeju teas according to the fermentational degree. Korean J Plant Res 24: 236-242. 

  24. Kim DH, Lim DW, Bai S, Chun SB. 1997.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whole soybean meju model system inoculated with 4 Bacillus strai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006-1015. 

  25. Gancedo M, Luh BS. 1986. HPLC analysis of organic acid and sugars in tomato juice. J Food Sci 51: 571-573. 

  26. Mun MI, Xu M, Park YD, Hur Y. 2009. Organic nutrition and gene expression in different tissues of Chinese cabbage. Hort Environ Biotechnol 50: 166-174. 

  27. Hong JH, Lee WY.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osmotic dehydrated sweet pumpkin by different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573-1579. 

  28. Kim YD, Jeong MH, Koo IR, Cho IK, Kwak SH, Kim BE, Kim KM. 2006. Chemical composition of Prunus mume flower varieties and drying method. Korean J Food Presev 13: 186-191. 

  29. Kim MJ, Kim IJ, Nam SY, Lee CH, Yun T, Song BH. 2006. Effects of drying methods on content of active components, antioxidant activity, and color values of Saururus chinensis Bai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 8-13. 

  30. Son HK, Kang ST, Jung HO, Lee JJ. 2013.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after blanching. Korean J Food Preserv 20: 628-635. 

  31. Kim HJ, Joo HK. 1989. Change in sugar composition of ginseng extract during heat treatment. Korean J Ginseng Sci 13: 56-59. 

  32. Hwang CR, Oh SH, Kim HY, Lee SH, Hwang IG, Shin YS, Lee JS, Jeong HS. 2011.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eoduk (Codonopsis lanceolata) and Doragi (Platycodon grandiflorum) according to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798-803. 

  33. Aida TM, Tajima K, Watanabe M, Saito Y, Kuroda K, Nonaka T, Hottori H, Smith Jr RL, Arai K. 2007. Reactions of D-fructose in water at temperatures up to 400°C and pressures up to 100 MPa. J Supercrit Fluids 42: 110-119. 

  34. Kang NS, Kim JH, Kim JK. 2007. Modificati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onion powder by hot-air, vacuum and freeze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4: 61-66. 

  35. Choi OJ, Choi KH. 2003.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wild teas (green tea, semi-fermented tea, and black tea) according to degree of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356-362. 

  36. Pyo YH. 2008. Effect of Monascus-fermentation on the content of GABA and free amino acids in soybe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08-1213. 

  37. Park JH, Han SH, Shin MK, Park KH, Lim KC. 2001. Change in the main constituents by a treatment condition of anaerobically treated green tea leave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9: 275-279. 

  38. Chang JS, Lee BS, Kim YG. 1992. Changes in ${\gamma}$ -aminobutyric acid (GABA) and the main constituents by a treatment conditions and of anaerobically treated green tea leav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315-319. 

  39. Park JH, Han SH, Shin MK, Park KH, Li KC. 2002. Effect of hypertention falling of functional GABA green te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0: 37-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