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천공간 확보를 위한 홍수의 공간적 범람 분석
Spatial Analysis of Flood Inundation for Ensuring Stream Space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5 no.2, 2015년, pp.341 - 351  

최천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  김주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  김규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  김길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만경강 유역을 대상으로 하천을 하도경사를 이용하여 구분하고 빈도별 홍수량에 따라 확보해야 하는 공간과 홍수 방어 대책 수립 지역을 선정하였다. 하천 구분에 의한 분석결과 상류하천 유역에서는 빈도별 홍수량이 커져도 홍수범람면적의 변화가 작으나 하류 하천유역의 경우 빈도별 홍수량이 커짐에 따라 범람면적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천구간별에 따라 주거지역 면적비율이 10%이하인 지역에 대해서는 하천공간 확보 가능 지역, 그리고 10% 이상인 지역은 홍수방어 보강지역으로 선정하고 분석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하류지역은 하천공간 확보 가능 지역이 많고, 상류지역은 홍수방어 보강지역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과거 하천 형태 및 습지 분포 위치 등을 고려한 하천공간 확보 가능지역을 분석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select the areas to ensure stream space or to implement flood defence measures according to flood frequencies by classifying the stream segment using river bed slope in Mangyeong river. The analysis result for each stream segment showed that the variation of flood inundation area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able 4는 각 지역별 건물면적율, 각 빈도별 범람면적율 및 주거지역 면적율을 고려하여 각 분석지역을 상대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통해 치수보강이 필요한 지역과 하천공간 확보 가능지역을 구분하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으로 각 분석지역의 RAR (Residential area ratio) 비율 중 10%를 넘는 지역은 재산 및 인명이 밀집되어있는 지역으로 인명의 보호가 필요한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 이 만경강 유역을 대상으로 하상경사를 이용하여 상류, 중류 및 하류 지역으로 구분하여 각 유역의 위치에 따른 범람해석 결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만경강의 제방은 100년 빈도 계획홍수위로 제방이 구축되어 있어 실제로는 치수에 안정적인 상태이나, 무제부를 가정한 가상 최대홍수범람도 작성을 통해 범람 가능성이 있는 지역에 대한 공간적 분석을 수행하여 하천공간 확보 및 홍수보강 후보지역 선정을 위한 분석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때 유역을 구분하기 위해서 만경강 하천기본계획(보완) 보고서(MLTMA, 2012)에 제시된 평균하상고를 기준 하상경사로 활용하여 상류와 중류 구간 분류 기준을 봉동수위표 지점으로 나누었으며, 중류와 하류는 전주천 합류후 지점을 기준으로 구분하였다.
  • 본 연구는 하도의 평균경사를 고려하여 만경강 유역을 상류, 중류, 하류로 지역을 구분하고 200년 빈도의 무제부를 가정한 홍수범람 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건물 및 건물군 정보와 도로망도를 이용하여 하천공간 활용가능 지역 및 치수보강 지역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만경강 유역을 대상으로 본류 구간에 대하여 하도경사를 바탕으로 상, 중, 하류로 구분하고, 현재의 제방을 무제부로 가정하여 빈도별 홍수량에 따른 침수지역 중에서 하천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지역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만경강 유역을 상류, 중류 및 하류로 구분하여 범람해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유역의 각 위치에 따른 범람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무제부를 가정하여 대상 구간의 가상최대홍수범람도 작성을 위한 홍수범람해석을 수행하였다. Fig.
  • 본 연구의 대상유역은 상류 하천에 산지가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하류지역에 농경지가 분포되어 있는 만경강 유역을 선정하였다. 이 만경강 유역을 대상으로 하상경사를 이용하여 상류, 중류 및 하류 지역으로 구분하여 각 유역의 위치에 따른 범람해석 결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만경강의 제방은 100년 빈도 계획홍수위로 제방이 구축되어 있어 실제로는 치수에 안정적인 상태이나, 무제부를 가정한 가상 최대홍수범람도 작성을 통해 범람 가능성이 있는 지역에 대한 공간적 분석을 수행하여 하천공간 확보 및 홍수보강 후보지역 선정을 위한 분석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기존 하천 주변에는 농경지역, 주거지역 및 상업지역 등이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지역에 대한 하천공간 확보는 건물 및 인명에 대한 분포를 파악하여 후보지 지역 선정에 고려하였으며, 범람해석을 통하여 하천공간으로 활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경강 일대를 상·중·하류로 구분하여 범람해석을 수행한 결과는 무엇이 원인이라 판단되는가? 만경강 유역을 상·중·하류로 구분하여 범람해석을 수행한 결과 농경지가 발달하고 하상경사가 완만한 하류지역에서의 범람면적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상류지역은 하천을 따라 적은 규모의 범람면적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하상경사가 하류로 갈수록 완만해지며, 상류가 상대적으로 산지가 많이 분포해 있기 때문에 상류에서 하류보다 작게 범람면적이 산정된 것으로 판단된다.
네덜란드의 Room for river 사업이 시행된 계기는 무엇인가? 네덜란드는 1993년과 1995년 홍수에 의해 25만 여명의 수재민이 발생하는 등의 피해를 입었으며, 기후변화에 따라 하천수위가 높아지는 빈도가 늘어남에 따라 라인강 주변 400만 명을 홍수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하기 위해 ‘Room for river (유역종합치수계획)’ 사업을 2007년부터 시작해서 2015년 완료를 목표로 치수안정성을 확보하고 하천 환경 개선을 감안한 치수 사업을 수행 중에 있다. 이 사업 이후로 10년 동안의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별도의 하천공간 확보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이 사업의 홍수방어 방안은 홍수터 및 주수로 준설을 통한 홍수소통 공간 확보와 제방 후퇴 및 하천 확대, 그리고 강변저류지를 이용한 저류공간확보와 습지화를 통한 철새 도래지 제공 등 홍수방어와 하천 환경개선을 위한 노력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다1).
우리나라의 치수대책은 어떻게 바뀌어 가고 있는가? 우리나라의 치수대책은 기존의 하천 중심으로 소극적인 홍수방어 개념에서 유역 내 저류기능을 확대하여 홍수량을 근본적으로 저감하는 유역단위의 치수계획 기조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Choi et al.,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Bates, P. D. and De Roo, A. P. J. (2000). "A simple raster-based model for flood inundation simulation." J. of Hydrology, Vol. 236, No. 1-2, pp. 54-77. 

  2. Choi, C. K., Choi, Y. S. and Kim, K. T. (2013). "Analysis of flood inundation using LiDAR and LISFLOOD model." J.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tudies, Vol. 16, No. 4, pp. 1-15 (in Korean). 

  3. Choi, C. K., Choi, Y. S. and Kim, K. T. (2014).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the inundation areas by levee breaching using LISFLOOD." J. of Wetlands Research, Vol. 16, No. 3, pp. 383-392 (in Korean). 

  4. Hong, I., Kang, J. G., Kang, S. J. and Yeo, H. K. (2012). "Functional assessment for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wetland-type old river channel: Mangyoung River." J.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Vol. 32, No. 4B, pp. 213-220 (in Korean). 

  5. Horritt, M. S. and Bates, P. D. (2002). "Evaluation of 1D and 2D numerical models for predicting river flood inundation." J. of Hydrology, Vol. 268, pp. 87-99. 

  6. Hunter, N. M., Bates, P. D., Horritt, M. S. and Wilson, M. D. (2007). "Simple spatially-distributed models for predicting flood inundation: A Review." Geomorphology, Vol. 90, pp. 208-225. 

  7. Kang, H. S., Cho, S. Y., and Song, S. I. (2011). "A study on flood storage plans of farmlands for extreme flood reduction." J.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Vol. 44, No. 10, pp. 787-795 (in Korean). 

  8.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 (2009). Fundamental research on costal landward boundaries integrated flood forecasting methods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in Korean). 

  9.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A) (2012). Mangyoung river river maintenance master plan report (in Korean). 

  10. Pappenberger, F., Frodsham, K., Beven, K., Romanowicz, R. and Matgen, P. (2007). "Fuzzy set approach to calibrating distributed flood inundation models using remote sensing observation." Hydrol. Earth Syst. Sci., Vol. 11, No. 2, pp. 739-752.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