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도 습지보호지역의 식생 분포 특성
A Characteristic of Vegetation Distribution in Jangdo Wetland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3 no.1, 2015년, pp.63 - 74  

안경환 (국립환경과학원) ,  임정철 (국립환경과학원 국립습지센터) ,  이율경 (참생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습지보호지역인 장도습지에 대한 식생의 다양성과 공간적 분포 특성 파악을 통해 습지의 보전 및 복원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이루어졌다. 종조성을 기반으로 하는 Z.-M. 학파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방법에 의한 식생 조사 및 버드나무의 매목 조사, 좌표결정법에 의한 식물군락과 환경요소들 간의 관계 규명이 이루어졌다. 총 88종으로 이루어진 7개의 식물군락이 분류되었으며 습생식생과 건생식생으로 대분류되었다. 식물군락의 공간적 분포는 일차적으로 토양 수분조건에 의해 결정되고, 이차적으로 유기물 양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습지식생 면적은 $7,337m^2$로서 습지보호지역의 약 8%이며, 습지보호지역 이외의 공간에도 분포하고 있어 보호지역 경계 재조정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버드나무의 분포 확산은 1990년대 이후 휴경과 가축 방목이 통제 되면서 습지 가장자리부터 중앙부로 확장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보호지역 보전 및 복원 방안이 제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s information for ecological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Jangdo wetland conservation area through the survey of vegetation diversity and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Syntaxonomic account of plant communities were carried out field survey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습지보호지역인 장도습지에 대한 식생의 다양성과 공간적 분포 특성 파악을 통해 습지의 보전 및 복원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이루어졌다. 종조성을 기반으로 하는 Z.
  • 본 연구의 목표는 독특한 지리적, 기후적 환경 특성을 가지는 장도 습지보호지역 내에서 토양내 수분공급이 양호하여 핵심지역으로 평가되는 상류지역 일대에 대한 상세한 식물군락 조사와 현존식생도 작성 및 버드나무의 분산 특성 분석을 통해 식생 발달의 식물사회학적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특히 수분구배에 의해 다양한 식물군락이 발달하게 되는 습지에서 식물군락의 분포특성 규명은 서식처의 환경조건을 기반으로 발달하는 식물군락에 대한 식생관리(모니터링, 보존, 건전한 이용, 복원 등)의 생태학적 기반정보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도습지는 어디에 위치하는가? 장도습지는 행정구역상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장도리 대장도의 산지대에 위치한다. 대장도는 장축이 1.
대장도는 어떠한 섬인가? 장도습지는 행정구역상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장도리 대장도의 산지대에 위치한다. 대장도는 장축이 1.8 km, 단축이 1 km, 면적 1.55 km2의 작은 섬으로 습지는 북에서 남으로 경사 6º 미만으로 완만하게 비탈진 평탄한 산지에 위치하고 있다(Choi and Choi 2010). 장도에 인접한 흑산도의 14년(1997~2010) 간 평균기온은 13.
기장대풀군락의 특징은 무엇인가? 평탄한 지형과 함께 깊게 형성된 낙엽부식층의 영향으로 습생식생이 발달하는 지역 가운데 가장 습한 환경이 유지되는 입지이다. 본 군락은 계절적으로 여름 이후 (9월~)에 나도바랭이새가 우점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는 두 식물종이 매토종자로부터 발아하는 시점의 시간적 차이에 의한 것으로 나도바랭이새는 기장대풀의 최성기에 성장을 시작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ecking RW. 1957. The Zurich-Montpellier School of phytosociology. Bot. Rev. 23:411-488. 

  2. Braun-Blanquet, J. 1965. Plant Sociology. The Study of Plant Communities. (Transl. by GD Fuller and HS Conard). New York. 

  3. Choi BK, JW Kim, SY Kim and JC Lim. 2012. Vegetation of Jangdo Island. Korean J. Environ. Ecol. 26:512-5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i KH and TB Choi. 2010. Geomorphological and Sedime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Jangdo Wetland in Shinan-gun, Korea. J. Korean Geomorphol. Assoc. 17:63-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ylinder PD, KM Bogdan, EM Davis and AI Herson. 1995. Wetlands Regulation: A Complet Guide to Federal and California Programs. Point Arena : Solano Pres Books. 

  6. ESRI inc. 2006. ESRI ArcGIS version 9.2. 

  7. Heo CH and SY Kim. 2005. Geology and soil environment of Jangdo wetland, Heuksan-myon, Sinan-Gun, Cheollanamdo-province: A preliminary study. J. Korean Earth Sci. Soc. 26:661-6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eddy PA and TH Ellis. 1985. Seedling recruitment of 11 wetland plant species along a wate level gradient: shared or distinct responses?. Can. J. Bot. 63:1879-1879. 

  9. Kim JW and YI Manyko. 1994. Syntaxonomical and synch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l-temperate mixed forest in the southern Sikhote Alin, Russian Far East. Kor. J. Ecol. 17:391-413. 

  10. Kim JW and HK Nam. 1998. Syntaxonomical and Syn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rice field vegetation. J. Ecol. Field Biol. 21:203-2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JW. 2006. Vegetation Ecology (2nd edition). Worldscience Press. Seoul. (in Korean) 

  12. Kim JW and YK Lee. 2006.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Worldscience Press, Seoul. (in Korean) 

  13. Lee CB. 2003. Colored Flora of Korea. Vol. I,II. Hyangmunsa, Seoul, I: pp. 914; II: 910. (in Korean) 

  14. Lee SM. 2006. Secondary Succession and Seed Bank Structure of Abandoned Rice Paddy Field, and its Ecological Restoration. Thesis of the Seoul Women's University. 

  15. Lee WC. 1996.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in Korean) 

  16. Miller HG and RL Donahue. 1990. Soils: An introduction to soils and plant growth. Prentice-Hall Inc. Englewood Cliffs, N.J. 

  17. Mitsch WJ and JG Gosselink. 1993. Wetlands (2nd. ed.) John Wiley & Sons, Inc. 

  18. Mulamoottil M, BG Warner and EA McBean. 1996. Wetlands: Environmental Gradients, Boundaries and Buffers. CRC Press Inc. U.S.A. 

  19.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4. Research report of natural ecosystem of Jangdo wetl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in Korean) 

  2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7. 2007 Detailed investigation on wetland protected area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pp. 311-328. (in Korean) 

  21. Park JK and HK Yang. 2004. Runoff Characteristics and Soil Moisture Distribution of 'U-shaped Goll' valley head slope. J. Korean Geo. Soci. 39:45-55. 

  22. Podani F. 2001. SYN-TAX2000. Computer program for data analysis in ecology and systematics. Budapest: Scientia Publishing. 

  23. Silver WL, FN Scatena, AH Johnson, TG Siccama and MJ Sanchez. 1994. Nutrient availability in a montane wet tropical forest: spatial patterns and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Plant Soil 164:129-145. 

  24. Song HK, GS Park, HR Park, SK So, HJ Kim and MY Kim. 2006.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of a Forest Wetland in Jangdo, Sinan-Gun. Korean J. Environ. Ecol. 20:407-4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Vivian-Smith G. 1997. Microtopographic heterogeneity and floristic diversity in experimental wetland communities. J. Ecol. 85:71-82. 

  26. Westhoff V and E Maarel. 1973. The Braun-Blanquet approach. pp.167-726. In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communities (RH Whittaker ed.). Dr. W Junk by Publisher. Hague. 

  27. Yang HK and TB Choi. 2009. Management considering water balance of Jangdo island high moor. J. Korean Geomorphol. Ass. 16:61-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Yeongsan River Basin Environmental Office. 2006. Wetland protect area conservation planning of Jangdo wetland.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