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갈색날개매미충(Pochazia shantungensis) (Hemiptera: Ricaniidae)의 기주식물, 발생지역 및 잠재서식지 예측
Predicting the Potential Habitat, Host Plants,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Pochazia shantungensis (Hemiptera: Ricaniidae)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54 no.3, 2015년, pp.179 - 189  

김동언 (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본부 위해생물연구부) ,  이희조 (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본부 위해생물연구부) ,  김미정 (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본부 위해생물연구부) ,  이도훈 (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본부 위해생물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014년 전국을 대상으로 갈색날개매미충의 국내 분포, 기주식물, 잠재서식지를 조사하였다. 갈색날개매미충은 43개 시군에서 관찰되었고, 경북에서 처음 확인되었다. 기주식물은 산지 및 농작물에서 53과 113종으로 확인되었고, 선행연구를 포함하여 62과 138종으로 조사되었다. 주요 기주식물은 사과나무, 두릅나무, 때죽나무, 갯버들, 닥나무, 자귀나무, 가죽나무, 밤나무, 아까시나무, 산수유 등이었다. 종분포 예측은 Maxent 모형을 사용하였고, 12개의 모형변수(8개 기후변수, 1개 토지피복변수, 1개 임상변수, 1개 생태자연도 변수, 1개 거리변수)를 활용하였다. 모형의 정확도는 0.884로 매우 우수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여름철 강수량, 여름철 평균기온, 임상현황, 토지이용현황이 갈색날개매미충의 잠재서식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2014, surveys were conducted in Korea to study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host plants, and potential habitats of Pochazia shantungensis. The occurrence of P. shantungensis was confirmed in 43 cities and counties nationwide, and identified for the first time in Gyeongsangbuk-do. P. shantunge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종 분포 모델을 이용한 분포 예측을 통해 잠재서식지를 예측하고 갈색날개매미충이 국내 유입된 후 자연생태계의 영향 및 농작물 해충화에 대비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전국 단위의 분포 및 기주식물 등 최근의 발생상황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 대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해충은 무엇이 있는가? , 2002). 최근 국내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해충은 꽃매미(Lycorma delicatula),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 등검은말벌(Vespa velutina nigrithorax), 갈색날개매미충(Pochazia shantungensis), 해바라 기방패벌레(Corythucha marmorata) 등 대발생으로 인해 생태계 및 경제적 피해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 노린재목(Hemiptera), 큰날개매미충과(Ricaniidae)에 속하는 갈색날 개매미충은 중국 산둥성, 저장성 등 서해와 인접한 동부지역이 원산지로 추정되며, 중국 지린성에서 다양한 과수와 가로수의 주요 경제적 해충으로 기록되어 있다(Chou and Lu, 1977; Chou et al.
갈색날 개매미충은 어떤 곤충인가? 최근 국내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해충은 꽃매미(Lycorma delicatula),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 등검은말벌(Vespa velutina nigrithorax), 갈색날개매미충(Pochazia shantungensis), 해바라 기방패벌레(Corythucha marmorata) 등 대발생으로 인해 생태계 및 경제적 피해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 노린재목(Hemiptera), 큰날개매미충과(Ricaniidae)에 속하는 갈색날 개매미충은 중국 산둥성, 저장성 등 서해와 인접한 동부지역이 원산지로 추정되며, 중국 지린성에서 다양한 과수와 가로수의 주요 경제적 해충으로 기록되어 있다(Chou and Lu, 1977; Chou et al., 1985; Rahman et al.
분포 모형에서 비 출현 정보 없이 출현 정보에 의존해야 할 때 사용하는 서식지를 예측 방법은 무엇인가? 대표적인 종 분포 모형에는 종의 출현/비출현 자료를 활용하고 이들 자료를 선형 회귀분석을 통해 잠재 서식지를 예측하는 GLM(Generalized Linear Model), GAM (Generalized Additive Model), ANN(Artificial Neural Network)등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와 같이 비출현 정보 없이 출현정보에 의존해야 할 경우 기계학습(Machine learning)방법으로 이루어지는 Maxent(Maximum Entropy Model)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Elith et al., 2011; Pears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oi, D.S., Kim, D.I., Ko, S.J., Kang, B.R., Lee, K.S., Park. J.D., Choi, K.J., 2012. Occurrence ecology of Ricania sp. (Hemiptera: Ricaniidae) and selec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for control. Korean J. Appl. Entomol. 51, 141-148. 

  2. Choi, G.Y., 2011. Variability of temperature lapse rate with height and aspect over Halla Mountain. Journal of Climate Research. 6(3), 171-186. 

  3. Choi, Y.S., Hwang, I.S., Kang, T.J., Lim, J.R., Choe, K.R., 2011. Oviposition characteristics of Ricania sp. (Homoptera: Ricaniidae), a new fruit pest. Korean J. Appl. Entomol. 50, 367-372. 

  4. Chou, I., Jinsheng, L., Huang, J., Sizheng, W., 1985. Economic Insect Fauna of China. fasc. 36, Homoptera Fulgoroidea, Science Press, Beijing, China. 

  5. Chou, I., Lu J.S., 1977. On the Chinese Ricaniidae with descriptions of eight new species. Acta Entomologica Sinica. 20(3), 314-322. 

  6. Elith, J., Phillips, S.J., Hastie, T., Dudik, M., Chee, Y.E., Yates, C.J., 2011. A statistical explanation of Maxent for ecologists. Diversity and Distributions. 17(1), 43-57. 

  7. Franklin, J., 2009. Mapping species distributions: spatial inference and predic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Goodale, C. L., Aber, J.D., Ollinger, S.V., 1998. Mapping monthly precipitation, temperature, and solar radiation for Ireland with polynomial regression and a digital elevation model. Climate Research. 10, 35-49. 

  9. Jo, S.J., 2014. Study on the control and ecology of Pochazia shantungensis. Journal of Tree Health. 19, 35-44. 

  10. Jung, H., Snin, H.J., Park, J.Y., Jung, I.K., Kim, S.J., 2011. A Study of Spatial Interpolation Impact on Large Watershed Rainfall Considering Elev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3(6), 23-29. 

  11. Kang, T.J., Kim, S.J., Kim, D.H., Yang, C.Y., Ahn, S.J., Lee, S.C., Kim, H.H., 2013. Hatchability and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of Overwintered eggs of Ricania sp. (Hemiptera: Ricaniidae). Korean J. Appl. Entomol. 52(4), 431-436. 

  12. Kim, Y.S., Shim, K.M., Jung, M.P., Choi, I.T., 2014. Accuracy comparison of air temperature estimation using spatial interpolation methods according to application of temperature lapse rate effect.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5(4), 323-329. 

  13. Lee, D.K., Kim, H.G., 2010. Habitat potential evaluation using Maxent Model: Focused on riparian distance, stream order and land use. J. Korean Env. Res. Tech. 13(6), 161-172. 

  14. Logan, D.P., Allison, P.A., Stannard, K., 2002. Selection of wild hosts for feeding by passion vine hopper, Scolypopa australis (Walker) (Hemiptera: Ricaniidae) in the bay of plenty. New Zealand Plant Protection. 55, 368-373. 

  15. Park, C.P., Lee, J.H., Lee, J.H., 2014. Predicting the suitable habitat of the Pinus pumila under climate change.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3(5), 379-392. 

  16. Pearson, R.G., Raxworthy, C.J., Nakamura, M., Peterson, A.T., 2007. Predicting species distributions from small numbers of occurrence records: A test case using cryptic geckos in Madagascar. Journal of Biogeography. 34(1), 102-117. 

  17. Phillips, S.J., Anderson, R.P., Schapire, R.E., 2006. Maximum entropy modeling of species geographic distributions. Ecological Modelling. 190(3), 231-259. 

  18. Rahman, M.A., Kwon, Y.J., Suh, S.J., Youn, Y.N., Jo, S.H., 2012. The Genus Pochazia Amyot and Serville (Hemiptera : Ricaniidae) from Korea, with a Newly Recorded Species. Korean J. Appl. Entomol. 9(5), 239-247. 

  19. Seo, C.W., Park, Y. R., Choi, Y.S., 2008. Comparison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according to location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6(4), 59-64. 

  20. Shen, Q., Wang, J.Y., Liu, J.D., Chen, Y.F., Fan, X.H., Zhu, Y.Q., 2007. Bionomios and control of Ricania shantungensis. Chinese bulletin of Entomology. 44(1), 116-119. 

  21. Smith, C.D.,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monthly precipitation and elevation in the Alberta Foothills during the Foothills orographic precipiation experiment. In: M.K.Woo(ed.). Cold Region Atmospheric and Hydrologic Studies, Springer, USA, pp. 167-185. 

  22. Thuiller, W., Lafourcade, B., Engler, R., Arauujo, M.B., 2009. BIOMOD - a platform for ensemble forecasting of species distributions. Ecography. 32(3), 369-37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