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기업의 기술경영 역량수준의 성숙도 평가 모형 개발
The Development of a Maturity Evaluation Model on the Technology Management Competence (MEMTMC) 원문보기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지, v.22 no.4, 2015년, pp.77 - 94  

안연식 (가천대학교 경영학과) ,  김화영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e a maturity evaluation model on the technology management competence (MEMTMC)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management competencies and maturity evaluation level in Korean firms. After research framework building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f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 수행하고자 하는 내용은 기술경영 역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기술경영 역량 수준을 진단함으로써 이를 후속단계로 발전시켜 성숙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형으로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즉 국내 기업의 기술경영 자원, 활동, 성과를 주요 대상 영역으로 한 기술 경영 역량수준을 파악하여, 기업의 기술경영 역량 수준의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전형적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적용할 수 있도록 실증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서론에서 제시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문헌연구 및 현장조사를 통해 설정한 기술경영 성숙도 평가 모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평가 모형의 타당성 및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관련 협회에서 개설한 기술 경영 관련 교육과정에 참여한 기업의 기술경영 전문가 및 실무자들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성숙도 평가 모형을 도출하기 위해 기업 조직의 기술경영 성숙도를 수준 1에서 수준 5까지 총 5단계의 역량 수준으로 구분해서 이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 서창적과 이찬형[2007]은 기술경영이 기술을 획득하기 위한 기술혁신활동과 획득된 기술의 상업적 활용을 위해 필요한 모든 범위의 활동으로 정의하고, 국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과 이를 통해 중소기업이 경쟁력 제고 및 지속적인 성장 발전을 위해서는 기술경영이 더욱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기술혁신요인이 기술경영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제시하였다.
  •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기술경영 역량의 성숙도 평가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국내 기업의 기술경영 역량과 성숙도 평가 수준 간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한다.
  • 이하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술경영 역량수준의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모형의 활용 성을 위한 상세 검증을 수행한 결과를 제시한 다. 우선 <표 8>에서는 기술경영 역량의 성숙도는 1부터 5까지 5단계로 평가하도록 하였는 데, 응답 기업은 총 111개로서, 이중에서 1단계가 7개, 2단계 30개, 3단계 55개, 4단계 17개 그리고 5단계 기업은 2개 기업으로 나타났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 수행하고자 하는 내용은 기술경영 역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기술경영 역량 수준을 진단함으로써 이를 후속단계로 발전시켜 성숙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형으로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즉 국내 기업의 기술경영 자원, 활동, 성과를 주요 대상 영역으로 한 기술 경영 역량수준을 파악하여, 기업의 기술경영 역량 수준의 성숙도를 평가하기 위한 전형적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적용할 수 있도록 실증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가설 1-4] 기업에서 기술경영의 프로젝트관리 수준은 기술경영 성숙도 수준과 관계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기업 또는 강소기업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기업 또는 강소기업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기술경영(management of technology)으로 최적의 기술기회 탐색, 선택, 개발, 활용, 그리고 기술사업화 등을 통한 지속적인 핵심 경쟁력 확보가 필요한 시점이다.
기술경영은 어떤 학문인가? 기술경영은 최근 부상하고 있는 학제적인 연구영역으로서, 첨단기술을 바탕으로 한 기술혁 신을 추구해야 하는 기업들에게 기술과 경영의 원리를 접목하는 새로운 경영부문의 학문이다.그러나 현실적으로 국내의 대다수 기업들은 이에 관해 무관심하거나 기술혁신 역량을 높이기 위한 방법, 정책 등 기반이 취약한 상황이다.
국내에서 기술경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기술경영은 최근 부상하고 있는 학제적인 연구영역으로서, 첨단기술을 바탕으로 한 기술혁 신을 추구해야 하는 기업들에게 기술과 경영의 원리를 접목하는 새로운 경영부문의 학문이다.그러나 현실적으로 국내의 대다수 기업들은 이에 관해 무관심하거나 기술혁신 역량을 높이기 위한 방법, 정책 등 기반이 취약한 상황이다. 따라서 기업들에게 자사의 기술역량 수준을 극대 화하고, 그 수준을 점진적으로 성숙단계로 이행 하도록, 스스로 기술역량 활동을 높이고 단계적 으로 기술혁신을 강화하는 방법론으로서 평가 모형이 매우 중요하고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김문선, 김수정, 남경현, "R&D 혁신역량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제40권 제4호, 2012, pp. 631-640. 

  2. 김은홍, "중소기업의 정보화 성숙도 평가 모형에 관한 연구", 정보기술연구, 제12집 제2호, 2006, pp. 21-46. 

  3. 김은홍, 김화영, 경영정보학 개론, 다산출판사, 2008, pp. 505-514. 

  4. 김은홍, 김화영, 이환범, "중소 제조업체의 주요 업무프로세스별 정보화 수준 평가모델 개발", 한국경영과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2005, pp. 334-337. 

  5. 박용태, 기술지식 경영, 생능출판사, 2012, pp. 17-74. 

  6. 박용태, "기술경영의 개념정립과 체계화모형", 연구보고 95-26,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 1995. 

  7. 서창적, 이찬형, "정부의 연구개발지원제도가 중소기업 기술경영수준 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 제9회 경영관련학회 하계통합학술대회논문집, 2007, pp. 1-21. 

  8. 신용세, 하규수, "기술경영능력이 기술사업화 성공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정책연구, 제10권 제8호, 2012, pp. 97-110. 

  9. 안연식, "소프트웨어 기업의 기술혁신 활동과 혁신 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제8권 제2호, 2009, pp. 71-87. 

  10. 안연식, 조형래, 유정상, 기술경영, 학현사, 2013, pp. 66-70. 

  11. 윤현덕, 서리빈, "기술혁신형(Inno-Biz) 중소기업의 기술경영성과에 미치는 핵심요인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 연구, 제19권 제1호, 2011, pp. 111-144. 

  12. 이경실, "기업의 기술 및 시장 환경을 고려한 기술경영 수준과 기술경영 성과간의 관계 규명",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3. 이범진, "기업의 기술경영 경쟁력 측정을 위한 지표의 검증",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4. 이범진, 조근태, 홍순욱, 조용곤, "기술경영 경쟁력 측정지표의 개발", 경영과학, 제30권 제1호, 2013, pp. 103-124. 

  15. 이종민, "기업의 기술경영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술경영역량의 조직적 체화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6. 장성근, 신영수, "R&D 투자, 기술경영능력, 기업성과간의 관계 : 기술경영능력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경영과학회 하계통합학술대회논문집, 2008, pp. 1-25. 

  17. 장성근, 신영수, 정해혁, "R&D 투자, 기술경영능력, 기업성과간의 관계", 경영학연구, 제38권 제1호, 2009, pp. 105-132. 

  18. 장영, "기술사업화 역량과 시장지향성이 중소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9. 주설군, "기업의 기술혁신역량과 기술사업화 역량이 기술성과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0. Afuah, A., Innovation Manag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pp. 291-305. 

  21. Bremser, W. G. and Barsky, N. P., "Utilizing the balanced scorecard for R&D performance measurement", R&D Management, Vol. 34, No. 3, 2004, pp. 229-238. 

  22. Coombs, J. E. and Bierly, III, P. E., "Measuring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performance", R&D Management, Vol. 36, No. 4, 2006, pp. 421-438. 

  23. Cooper, R. G. and Kleinschmidt, E. J., "Winning Business In Product Development :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Research-Technology Management, Vol. 50, No. 3, 2007, pp. 52-66. 

  24. Davidson, W. H., "Beyond Re-engineering : The Three Phases of Business Transformation", IBM Systems Journal, Vol. 32, No. 1, 1993, pp. 65-79. 

  25. Kaplan, R. S. and Norton, D. P., The Strategy-Focused Organization : How Balanced Scorecard Companies Thrive in the New Business Environment,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0. 

  26. Karkkainen, H., Myllarniemi, J., Okkonen, J., and Silventoinen, A., "Assessing Maturity Requirements For Implementing And Using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 Business, Macau, Nov. 30-Dec. 4, 2009. 

  27. Kocaoglu, D., "Research and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ngineering Management Discipline", IEEE Transaction on Engineering Management, Vol. 37, No. 3, 1990, pp. 172-176. 

  28. National Research Council, Management of technology : The Hidden Competitive Advantage,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 C., 1987. 

  29. Oswald, J. and Smith, D., "Strategic technology management in a mid-corporate firm : the case of Otter Controls",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Vol. 34, No. 4, 1997, pp. 511-536. 

  30. Tuncay, A. and Cilingir, F. C., "Technology Management Capability Assesment an Empirical Study in Izmir Turkey for Model Development", Europea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Vol. 2, No. 8, 2013, pp. 176-187. 

  31. Venkatraman, N., "IT-Enabled Business Transformation : From Automation to Business Scope Redefinition", Sloan Management Review, Vol. 35, No. 2, 1994, pp. 73-87. 

  32. Wolff, M. F., "Forget R&D Spending-Think Innovation", Research-Technology Management, Vol. 50, No. 2, 2007, pp. 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